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告子의 性論에 대한 考察

        김학목 건국대학교 1994 대학원 학술논문집 Vol.39 No.-

        What has been considered was from Mencius' point of view, speaking about the debate between Kao Tzu and Mencius. But their demonstrations were proposed only from their point of view respectively, and their arguments are supposed to have something with the school of names at that time. On this article, new interpretation of Kao Tzu's point of view was presented with consideration of index by Chu Hsi(株憙) and Zho Qi(趙岐). The debate between Kao Tzu and Mencius was about how to define Human Nature. Mencius used the term 'Human Nature' as special character of essence of all human being, on the other hand, Kao Tzu saw Human Nature as the meaning 'being so and so with birth'. Interpretation of human-heartedness and righteousness can be differenciated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to Human Nature. For Mencius, Human Nature was human being's essence and the essence maintains human-heartedness and righteouseness. Kao Tzu's interpretation of Human Nature should be explained in a different way from Mencius, because Human Nature proposed by Kao Tzu was being so and so with birth. The Kao Tzu's interpretation was arranged in the book 'Mencius Ⅵa4'. And new interpretation of the book 'Mencius Ⅱa 2(chapter stable mind) for Kao Tzu's point of view was presented in this article in order to present new study. While arranging this article, the most difficult problem was arised in short of direct data. But sincere efforts was made to set up a whole story with all data available. And we could know all true thought of Kao Tzu when we study his proposal in relation with School of Names at that tim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서계 박세당의 『도덕경』 주석 목적

        김학목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모시사변록』은 65세에 시작하여 「소아」 「채록편」에서 그쳤지만, 박세당은 자신의 주요저술 『사변록』과 『신주도덕경』 및 『남화경주해산보』를 그의 나이 52세(숙종 6년)에서 65세(숙종 19년) 사이 14년 동안에 대부분 완성했다. 『사변록』은 사서삼경에서 『역경』이 제외된 것으로서 주자성리학의 고원한 사유방식에 대한 비판이니, 그는 당시에 예송논쟁을 벌일 정도로 문 곧 명분에 치우친 세태를 깨우치기 위해 이것을 저술했다. 그의 저술에서 특이한 점은 그가 『대학사변록』을 52세(숙종 6년)에 완성하고 이어 다음해에 이단의 서적인 『도덕경』을, 그리고 다음해에 『남화경주해산보』를 완성한다는 점이다. 그가 『대학사변록』에 이어 이단의 서적인 『도덕경』 주석을 주자의 고원한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을 차용하여 그의 저술 초기에 이처럼 빨리 완성했던 이유는 『논어』의 문질빈빈을 기준으로 『도덕경』의 박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노자의 도가 성인의 법에 어긋날지라도 수기치인에 유용하다는 『신주도덕경』 「서문」의 말로 볼 때, 그는 주자성리학과 동일하게 『도덕경』의 내용 역시 고원하다고 비판했지만 박을 강조하는 것 때문에 시대적인 필요에 따라 주석했던 것이다. 곧 그는 당시 학자들이 가장 익숙한 사유방식을 이용하여 『도덕경』의 박을 강조함으로써 명분에 치우친 세태를 바로잡고자 했다는 것이다.

      • 孟子의 修養論 : 人性論과의 關係下에서

        김학목 건국대학교 1995 대학원 학술논문집 Vol.41 No.-

        Mencius' whole proposition is summed up as the Royal Road(王道)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Royal Road is the ethical doctrine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性善論). So we must know the meaning of the ethical doctri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yal Road. For understanding the ethical doctrine, exact understanding about the four cause of the good(四端) as well as 'the wide and large energy'(浩然之氣) and 'night energy'(夜氣) is necessary. Furthermore, we must understand the close co-relation of the three things at the same time. For this reason, I demonstrated the logical course from the four cause of the good to the four virtue(四端 : 仁ㆍ義ㆍ禮ㆍ智) when human being's inborn good nature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ideas of morals after prescribing the meaning of human being's inborn good nature with studying the meaning of 'inborn' in 'the human being's inborn good nature' used by Mencius in order to show the ethical doctrine as the foundation of the Royal Road. In this line, I criticized Mencius' proposal of the relation between the four cause of the good and the four virtue, and explained why Mencius proposed the ethical doctrine in the light of that times. From that on, I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course from the four cause of the good to the four virtue with separating Mind as activity and status of the two modes in the course of realizing the four cause of the good. For the last step, I explained how ordinary people cultivate his inborn nature reversely taking the completed Saint's four virtue. Also I explained what 'the wide and large energy' and 'the night energy' are and how these things are connected to 'the inborn nature' by reasoning 'mine'(心), 'willingness'(志), 'energy'(氣) and 'activity'(身). this kind of proposition could be felt strange to the people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Mencius with the foundation of Sung Confucianism, but this proposal will present a new point of view for the 'real' thought of Mencius.

      • KCI등재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의 상징구조와 마음 비움 - 곽상(郭象)의 장자주(莊子注) 를 중심으로 -

        김학목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2 No.-

        이 논문의 목적은 장자가 전략적으로 <소요유> 전체의 상징적 비유를 통해 사람들이 점 진적으로 마음을 비우도록 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소요유> 첫 단락의 붕과 작은 새는 삶의 형태가 사람들에게 천양지차로 다를지라도 단순하게 욕망을 쫓는다는 점에서 사람을 동 물로 격하시켜 이야기한 것이다. 그 다음 단락의 송영자와 열자는 욕망을 벗어던지려고 수행 한다는 점에서 사람을 사람으로 언급한 것이다. 그 다음 단락의 요와 허유는 임금 자리마저도 서로 양보할 정도로 사람다운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성왕이나 현인을 빌어 표현한 것이다. 그 다음 단락의 막고야산의 신인은 사람이 사람답게 되면 세상을 떠나 흔적 없이 산다는 점에서 신선으로 말한 것이다. <소요유>의 기괴하고 신비한 이야기 전개는 마지막 단락 ‘무하유지 향’으로 마무리되니, 그것은 <소요유> 전체를 ‘마음 비움’으로 매듭짓기 위함이다. 장자는 사람들이 마음을 비우도록 상징적 비유를 통해 아주 교묘하게 그 이야기를 전개 했다. 이런 점에서 붕을 비상하는 성인으로 보는 것은 장자의 의도를 어기는 것이고, 또 장 자의 문장 전개 방식과 맞지 않는 것이다. 장자가 붕과 작은 새를 가지고 욕망에 찌든 인간 군상의 상징으로 표현한 것은 욕망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해야 사람이 된다는 복선이다. 사람 으로 표현되는 송영자 열자를 거쳐 요 허유를 등장시킨 것은 사람다운 사람의 완성을 상 징적으로 비유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흔적 없이 사는 신인이 등장하는 것도 결국 성인이나 현인이라는 이름까지 모두 버려야 한다는 상징적 암시이다. 마지막의 무하유지향은 마음을 비운 그곳이 우리의 낙원이라고 장자가 자신의 입으로 직접 강조하는 것이다. 이 글은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소요유>를 읽을 때, 장자의 의도를 더 깊이 완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Zhuangzi gradually makes a effort to have people empty their mind with strategic symbolic metaphors. In the first paragraph of <Carefree journey(逍遙遊)>, the plight, shelf, and small bird are expressed by degrading people into animals in that they pursue their desire like a beast even though the forms of life differ from one another. In the next paragraph, Rongzi of Song(宋榮子) and Liezi(列子) expressed people as people in that they tried to overcome their desires. In the next paragraph, Yao(堯) and XuYou(許由) are expressed in terms of the king or the sage, in that even the wage positions are humane enough to yield to each other. The Spirit-like man of Mt. Makgoya in the next paragraph is a fresh expression in that when a person becomes a person, he leaves the world and lives without a trace. The story of <Carefree journey> s bizarre and mysterious story ends with the next paragraph, a tract where there is nothing else(無何有 之鄕) , so that it is to knot the whole of <Carefree journey> with empty heart . Zhuangzi tricked the story through symbolic parables to help people empty their hearts. From this point of view, seeing Peng(鵬) as an extraordinary adult violates the intention of Zhuangzi and does not match the way Zhuangzi develops sentences. Zhuangzi's representation of a human army symbolized by desire with a shelf and a small bird is a double track of becoming a person by trying to escape from their desire. The appearance of Yao and XuYou through the Rongzi of Song and Liezi, which are expressed as people, is to symbolize the completion of a man of man. Subsequently, the appearance of a Spirit-like man who lives without a trace is a symbolic metaphor that eventually, even the wise man or a sage should be abandoned. The last a tract where there is nothing else orientation is that Zhuangzi directly emphasizes that his empty space is our paradise. This article is that if you read <Carefree journey> with this in mind, you can deepen the intention of Zhuangzi.

      • KCI등재후보

        학술발표논문 : 서계 박세당의『도덕경』주석 목적

        김학목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모시사변록』은 65세에 시작하여 「소아」 「채록편」에서 그쳤지만, 박세당은 자신의 주요저술 『사변록』과 『신주도덕경』 및 『남화경주해산보』를 그의 나이 52세(숙종 6년)에서 65세(숙종 19년) 사이 14년 동안에 대부분 완성했다. 『사변록』은 사서삼경에서 『역경』이 제외된 것으로서 주자성리학의 고원한 사유방식에 대한 비판이니, 그는 당시에 예송논쟁을 벌일 정도로 문 곧 명분에 치우친 세태를 깨우치기 위해 이것을 저술했다. 그의 저술에서 특이한 점은 그가 『대학사변록』을 52세(숙종 6년)에 완성하고 이어 다음해에 이단의 서적인 『도덕경』을, 그리고 다음해에 『남화경주해산보』를 완성한다는 점이다. 그가 『대학사변록』에 이어 이단의 서적인 『도덕경』 주석을 주자의 고원한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을 차용하여 그의 저술 초기에 이처럼 빨리 완성했던 이유는 『논어』의 문질빈빈을 기준으로 『도덕경』의 박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노자의 도가 성인의 법에 어긋날지라도 수기치인에 유용하다는 『신주도덕경』 「서문」의 말로 볼 때, 그는 주자성리학과 동일하게 『도덕경』의 내용 역시 고원하다고 비판했지만 박을 강조하는 것 때문에 시대적인 필요에 따라 주석했던 것이다. 곧 그는 당시 학자들이 가장 익숙한 사유방식을 이용하여 『도덕경』의 박을 강조함으로써 명분에 치우친 세태를 바로잡고자 했다는 것이다. 樸世堂在六十五歲, 開始著述『毛詩思辨錄』, 到「小雅」「采錄篇」爲止. 但是他的主要著述『思辨錄』和『新註道德經』以及『南華經註解刪補』, 大多完成了在從五十二歲(肅宗六年)到六十五歲(肅宗一十九年)之間. 在『思辨錄』討論的是除了『易經』以外『四書, 三經』的全部. 其內容大都是批判對於性理學的高遠的思惟方式. 其著述目的是爲了提醒當時太重視名分的禮訟論爭的不良世態. 在樸世堂之著述過程中, 特異的事是, 他在五十二歲完成『大學思辨錄』, 翌年連著完成被認爲異端書籍的『道德經』, 再次年又完成『南華經註解刪補』. 他著述完成『大學思辨錄』以後, 如此迅速著述對『道德經』的註釋之理由, 是爲了以『論語』的文質彬彬槪念爲標準, 强調『道德經』的樸槪念. 他的註釋方法是借用朱子的高遠的形而上學的思惟方式的. 他在『新註道德經』「序文」中, 說了老子的道槪念, 雖然差了儒家聖人的法, 可是有用於修己治人的修養法. 由此可知, 他認爲老子『道德經』的內容亦是和朱子性理學一樣太高遠的弊端, 强調『道德經』的樸槪念爲當時的時代的要求. 因此, 樸世堂借用以當時學者熟慣的思惟方式來强調『道德經』的樸槪念, 又以要糾正當時太重視名分的不良世態.

      • KCI등재

        『순언』과 『남화경주해산보』에서 노장의 마음 비움

        김학목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3 No.-

        이 논문의 목적은 율곡 이이와 서계 박세당이 노자와 장자의 마음 비움을 가지고 조정 의 붕당과 정쟁을 막기 위하여 순언 과 남화경주해산보 를 지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조선시대에 성리학이 무르익으면서 사대부들은 그 명분론을 바탕으로 붕당으로 나누어지고 당파로 갈라져서 정쟁을 시작한다. 성리학이 절정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조정이 계속 분 열되고 정쟁이 심화되는 것은 성리학의 내적 수양론이 그 한계를 넘어 더 이상 그 역할을 감당할 수 없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이가 순언 을 지어 노자의 마음 비움을 강조한 것은 사대부들에게 새로운 내적 수양 론을 제시하여 붕당이 종국으로 치닫지 않기를 염원한 것이다. 또 서계가 장자 전체를 주석해서 장자의 마음 비움을 외치는 것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조정을 떠나는 자신의 마 음을 달램은 물론 남들도 마음을 비움으로써 명분에 집착해서 더 이상 정쟁을 일삼지 않 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조선조에서 노장의 마음 비움이 유학의 새로 운 내적 수양론으로 제시됨을 논증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at Yi-I and Park Se-Dang wrote Suneon and NamHwaGyeongJooHaeSanbo in order to prevent the factions and political struggle with the emptying mind of Lao-tzu and Zhuangzi. In the Joseon Dynasty,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of the ZhuXi school was ripe, and the noblemen were divided into the factions based on the justification, and divided into partisans and began a struggle. Despite the peak of Neo-Confucianism, the continual division of Royal Court and deepening of the struggle reveal that the inner cultivation of Neo-Confucianism can no longer handle its role beyond its limitations. Yi-I emphasized the emptying mind of Lao-tzu by writing Suneon, suggesting a new inner cultivation theory to the noblemen and hoping that the party would not end up in the end. In addition, Park Se-dang s exclamation of emptying the mind by commenting on the whole of Zhuangzi is to make sure that he does not struggle any more to obsess over the cause by making the noblemen empty their mind as well as soothing his heart leaving Royal Court at a relatively early age. So, in this article, it is argued that the emptying mind of Lao-tzu and Zhuangzi is presented as a new inner cultivation theory for Confucianists i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18~9세기의 조선조 『도덕경』 주석 고찰

        김학목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6 No.-

        성리학을 국시로 하는 조선은 개국초기부터 불교와 함께 도교도 부정했다. 그런데 성리학이 절정에 오르는 16세기에 『도덕경』 주석이 대학자 율곡 이이(1536~1584)에서 비롯되니 그것이 『순언』이다. 이이는 관료들이 절정에 오른 성리학을 바탕으로 서로 政爭을 벌이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덕경』에서 마음 비움과 절제에 관련된 구절들을 발췌하여 『순언』을 편집?주석했다. 이어지는 서계 박세당(1629~1703)의 『신주도덕경』은 임진왜란(1592-1598)과 병자호란(1636~1637)이라는 큰 국난을 당하고도 민생과 국익을 돌보지 않고 명분론에 빠진 조정을 질타하기 위해 원시유학의 문질빈빈을 기준으로 박을 강조하는 『도덕경』을 주석했다. 성리학의 단점을 보완 또는 비판하기 위해 시작된 『도덕경』 주석은 박세당 이후에 세 가지 다른 형태로 나타나지만 여전히 성리학을 부정하니, 이것이 본고에서 다룰 주된 내용이다. 보만재 서명응(1716~1787)의 『도덕지귀』는 가치론 위주의 의리학을 벗어나 상수학?선천학 등의 관점에서 주석되었다는 점에서 주자성리학과 결별을 고한다. 강화학파 초원 이충익(1744~1816)의 『초원담노』는 노자의 무위를 기준으로 주석되었다는 점에서 성리학은 물론 원시유학까지 벗어난다. 연천 홍석주(1774~1842)의 『정노』는 주자성리학에서 성리학을 제거하여 주자학을 원시유학으로 복귀시킨다는 점에서 성리학을 이탈한다. 以性理學爲國是的朝鮮朝, 一開國就不肯認了佛敎與道敎. 可是進入16世紀, 性理學到了顚峯時, 栗谷 李珥(1536~1584)却註釋『道德經 』, 而稱爲『醇言 』. 李珥緩和當時官僚們以性理學爲根據展開的政爭爲目的, 從『道德經 』拔萃有關‘虛心’與‘節制’的章句, 編輯?註釋來著作了『醇言 』. 接着, 西溪 朴世堂(1629~1703), 叱責蒙受壬辰倭亂(1592-1598)與丙子胡亂(1636~1637)的恥辱還不顧民生與國益, 陷入名分論的朝廷爲目的, 以原始儒學追求的文質彬彬的精神爲基, 註釋强調‘樸’的『道德經 』. 爲了批判或補充性理學的缺點開始的朝鮮朝對 『道德經 』的註釋, 從朴世堂以後顯示三種不同形態, 還是都不肯認 『道德經 』. 保晩齋 徐命膺(1716~1787)在『道德指歸 』, 脫離價値論爲主的義理學, 從象數學?先天學觀點註釋了『道德經 』, 告別了朱子性理學. 江華學派 椒園 李忠翊(1744~1816)在『椒園談老 』, 以老子無爲思想爲據註釋『道德經 』, 脫離了性理學及原始儒學. 淵泉 洪奭周(1774~1842)著『訂老 』, 在朱子性理學, 除去性理學, 把性理學復歸於原始儒學, 而最終脫離了性理學.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