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riental 백합의 종구 샌상에 있어 고랭지와 평난지의 구근 비대 능력 시험

        김학기 강릉대학교동해안지역연구소 1999 東海岸硏究 Vol.10 No.1

        高冷地에서의 球根栽培가 百合의 球重 增加와 硬化에 유리하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大關嶺 고랭지 지역에서의 구근생산성을 평난지인 江陵과 비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관령은 백합재배기간 중 고온기 (7∼8월) 平均氣溫이 19.4℃로서 강릉에 비해 6.1℃ 낮았고 地溫은 5.6℃ 낮았다. 2. 강릉과 대관령의 지역별, 품종별 출현 소요일수는 20일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으며 출뢰기의 경우 품종에는 관계없이 강릉이 대관령보다 일주일 정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3. 대관령에 비해 강릉의 地上部生育은 품종에 관계없이 草長, 葉數,葉長, 葉幅 등 전반에 걸쳐 생육이 촉진적이었으나 莖葉重은 전 품종에서 대관령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고랭지의 초세가 건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4. 根圈의 발육에 있어 根重은 대관령이 강릉에 비해 2~5배 정도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根群의 발육도는 대관령 3.63, 강릉 2.05로 대관령이 현저히 높았다. 5. 乾草重에 있어서 대관령은 강릉에 비헤 매우 큰 차이를 보였으며 건물 생산율에 있어서는 대관령은 1.1∼2.59%로 높아 고랭지의 물질생산력이 높았다. 6.구주의 발달에 있어 대관령에서는 Con Amore 를 제외하고는 모든 품종에서 종구 생산 목표 규격이 18cm 이상에 도달했으나 강릉에서는 Marco Polo만 18.8cm 로 규격생산이 가능했다. 7. 球重에 있어서도 Con Amore를 제외하고는 대관령은 강릉에 비해 45~50% 증가하는 현저한 차이을 보여 전체적으로 구주와 함께 5%수준의 유의 차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대관령 고랭지 기후를 이용한 백합의 種球生産은 매우 능률적임이 입증되었다.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that bulb and scale hardness of lily cultivated in high lands(alphine area) were highly improved, future potentials for mass bulb production in high land were evaluated by comparing with cultivation in Kangnung called low lands.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1. The average temperature in high temperature season (July -August) during lily cultivation period of Daekwanreong was 19.4℃ which was 6.1℃ lower than Kangnung and soil temperature was 5.6℃ lower compared with that of Kangnung area. 2. Considering cultivation area and cultivars in Kangnung and Daekwanreong cultivation about 20 days for sprouting were required and in case of bulb sprouting period, Kangnung area was 1 week faster than Daekwanreong areas. 3. The growth responses of above the ground parts such as plant height, leaf number leaf length, leaf width of all cultivars were highly improved, compared with Daekwanreong was the highest, resulted in showing the most excellent growth reponses. 4. Root weight of bulbs cultivated in Daekwanreong was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Kangnung and the growth indicator root growth system was 3.63 in Daekwanreong, compared with 2.05 of Kangnung. 5. Dry weight of bulbs cultivated in Daekwanreong was much higher than that Kangnung and in the dry weight production rate, Daekwanreong cultivation was 1.1-2.59% higher than Kangnung. 6. The bulb size of all cultivars except for Com Amore in Daekwanreong was reached to 18cm which was highly desirable, but only Marco Polo in Kangnung cultivation showed 18.8cm in bulb size. 7. Daekwanreong cultiv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bulb weight up to 45-50% which showed the 5%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 to Kangnung.

      • KCI등재

        계쟁물 승계와 기판력의 작용

        김학기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6 동북아법연구 Vol.10 No.2

        전소의 변론종결 뒤에 계쟁물의 승계가 있는 경우 전소의 기판력이 승계인이나 전소 당사자가 제기한 후소에 작용하여 미치려면 전소 판결의 기판력이 객관적·주관적·시적 범위 내에서 발생한 다음에(기판력의 발생범위), 후소의 소송물이 전소의 소송물과 동일하거나 선결관계 또는 모순관계에 있는 청구를 기판력의 주관적 범위 내에 있는 자가 제기한 경우이다(기판력의 작용). 따라서 전소와 후소가 이러한 요건을 갖추어야 전소의 기판력이 후소에 미치게 되고 승계인은 민소법 제218조 1항의 변론종결 뒤의 승계인에 해당된다. 전소 피고로부터 제3자가 계쟁물을 승계한 경우와 동일하게 물권에 기한 소의 변론종결 뒤에 계쟁물을 패소한 원고로부터 승계한 경우에도 전소와 후소의 청구가 동일한 경우로 보아 기판력이 미쳐서 작용한다고 보아야 한다. 패소한 원고로부터 계쟁물을 승계한 자가 제기한 후소가 전소의 기판력에 저촉되지 않는다면 이는 일반 법감정에 반하고 계속분쟁이 이어질 수 있어서 분쟁종식 내지 법적안정이라는 기판력제도취지가 몰각될 수 있고 등기의 공신력을 인정한 것과 같이 되어 부당하다. 다만 원고 또는 피고로부터 계쟁물을 승계한 자가 원고가 되어 전소의 청구의 근거와 다른 실체법상 독자적인 권원을 주장하여 제기한 후소는 전소의 기판력이 미치지 않게 되므로 후소를 제기한 승계인은 변론종결 뒤의 승계인에 해당되지 않게 된다. If there is a succession of the subject-matter in dispute after the termination proceedings, the res judicata from the result of the before lawsuit needs to occur within the objective, subjective, reference point range (generation range of res judicata), it should be the case where the object of after lawsuit is identical to that of before lawsuit or the person effective of the res judicata raises a claim in pre-defined relationships or contradictory relationships (effect of res judicata) in order for the res judicata of the before lawsuit to affect the successors or the before lawsuit parties. In the case of succession of the subject-matter after the termination proceedings in the lawsuit of real rights, the effectiveness of the res judicata is decided not upon the theory of the object of lawsuit or the theory of parties stand succession, but when an after lawsuit is claimed regarding the successor, the res judicata of the before lawsuit has an effect on the object of the after lawsuit only within the range of the object of the before lawsuit. If the successor who is endowed with the substantive law’s independent and inherent basis for the object of a lawsuit uses this as a basis of the object of lawsuit to file an after lawsuit against the previous party, the claim is free of the res judicata of the before lawsuit, since it is outside of the objective range of the res judicat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