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의 자기효능감이 돌봄로봇 수용에 미치는 영향: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윤희정,김하율,신혜리,김영선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6

        본 연구는 고령자의 자기효능감이 돌봄로봇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집단에 따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희대학교 노인학과에서 실시한 ‘2022년 한국 고령자 기술수용도 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전국 60세 이상 고령자 506명(남성 203명, 여성276명)을 대상으로 전체 연구대상자 및 성별 집단을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STATA 17.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은 기술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돌봄로봇 수용이 높으며, 여성은 기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좋을수록 돌봄로봇 수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을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기술 자기효능감을 세분화하여 고령자의 돌봄로봇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성별 집단을 구분하여살펴봄으로써 고령자의 돌봄로봇 수용 연구를 확장하였다. 또한, 성별 집단에 따라 돌봄로봇 수용을 높이기 위한 별도 실천방안을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고령자의 디지털금융서비스에 대한 지각이 디지털 금융서비스 수용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이론을 중심으로

        박명아(Myeong A Park),김하율(Ha Yul Kim),곽은선(Eun sun Kwak),오민규(Min Gu Oh),임근형(Geun hyung Lim),김선주(Sun Ju Kim),신혜리(Hye Ri Shin),김영선(Young Sun Kim) 경기연구원 2024 GRI 연구논총 Vol.26 No.2

        본 연구는 고령자의 디지털금융서비스에 대한 지각이 디지털금융서비스 수용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기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경희대학교에서 수행한 2022년 한국 고령자 기술수용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고 SPSS 21과 AMOS 20 통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고령자의 디지털금융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수용태도가 디지털금융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금융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 수용태도,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금융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태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수용의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디지털금융서비스에 대한 수용태도는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고령자 측면에서 디지털금융서비스 수용의도를 실증하였다. 또한 디지털금융서비스 수용의도의 예측요인을 검증하는데 있어 기술수용이론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연구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고령자의 디지털금융서비스 수용의도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적 개입의 이론적, 실무적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 research model was derived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elderly’s perception of digital financial services on their attitude and intention to accept digital financial services. To verify the research purpose, the 2022 Korean Senior Technology Acceptance Panel data conducted at Kyung Hee University was used and SPSS 21 and AMOS 20 statistical program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ttitude and acceptance intention of digital financial services among the elderl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digital financial ser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cceptance attitude and acceptance intention of digital financial services. Seco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financial ser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attitude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of digital financial services. Lastly, the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gital financial services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of digital financial servic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pirically analyzed the intention to accept digital financial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and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echnology Acceptance Theory(TAM) in verifying the predictors of intention to accept digital financial servic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mak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o strategic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elderly’s intention to accept digital financial services.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 대상 목공프로그램의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성 검증

        반시우,이현주,신혜리,정하윤,전명옥,김계연,김하율,최돈하,황의도,김영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2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본 연구는 비약물적 중재의 하나로써 목공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서울시 Y 치매센터를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노인 32명, 경증치매노인 28명을 실험군, 통제군으로모집하여, 실험군은 5주간 주 2회씩 약 120분 동안 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MoCA-K를 통해 인지기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통제군의 집단간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증치매 실험군의인지기능 평균점수가 사전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사전-사후 인지기능의 평균 변화를살펴보았을 때, 경증치매 실험군의 인지기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본 연구는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인지기능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경도인지장애와 경증치매노인으로 집단을 세분화하여 치매 전 단계와 초기 단계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대한 인지기능의 변화 차이를 검증하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로서 목공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