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경력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학급 경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변화

        김평국,원정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교육논총 Vol.34 No.1

        이 연구는 한 초등 경력 교사가 대학원에서 학급운영에 대하여 학습하며 반성하고 학생중심으로 학급을 운영하기 위하여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W교사가 대학원에 진학하기 이전 학급운영에 대해 지녔던 실천적 지식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둘째, W교사가 대학원에서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학생에게 적용하는 동안 경험한 학급운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탐구하였다. 셋째, W교사가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학생에게 적용한 이후 학급운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W교사는 학급운영 규칙을 교사가 제정하고 집행해야 한다는 지식에서 학생이 제정하고 집행해야 한다는 지식으로의 변화, 학급운영에서 물질적인 보상이 효과적이라는 지식에서 정신적인 보상이 더 효과적이라는 지식으로의 변화, 학생은 자기를 규제할 줄 모른다는 지식에서 학생은 자기를 규제할 줄 안다는 지식으로의 변화를 경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W교사의 경험이 학생중심 학급운영을 위한 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듀이와 오우크쇼트의 교육 목적론 비교

        김평국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6 교육논총 Vol.26 No.2

        이 연구는 듀이와 오우크쇼트의 교육 목적론을 비판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육 목 적에 관한 이들 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듀이는 경험의 계속적인 성 장을 교육 목적으로 제시하면서 교육의 과정 밖으로부터 미리 정해져서 부과되는 목적을 반 대하였다. 이로써 그는 달성되어야 할 교육 목표는 강조하였으나 실현되어야 할 교육 목적 은 소홀히 하였다. 반면에 오우크쇼트는 교육 목표는 교육 활동에 내재하면서 교육 활동을 이끌어가는 것이라고 하였고, 이와 함께 교육 활동을 초월하는 지위를 차지하는 교육의 규 범적 ․ 내용적 ․ 방법적 준거와 이 준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교육 목적에 관한 설명을 제시하면서 교육 목표와 교육 목적을 모두 강조하였다. 이 연구가 교육자들에게 주는 시사 점은 교육 활동에는 교육 목표의 측면과 교육 목적의 측면이 모두 관련된다는 것이다. 따라 서 바른 자세로 글씨 쓰기 등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이 전개될 때에도 동시에 전인적 성장 등 교육 목적도 함께 실현되도록 적극적으로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새로운 교원 연수 모형으로서의 해석적 교원 연수 모형

        김평국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기술공학적 교원 수 모형은 단위 학교가 교육과정의 편성 · 운영에 관한 자율성과 전문성을 발휘해야 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의식 하에 새로운 교원 연수 모형을 탐구,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첫째, 제 7차 교육과정의 적용을 따르고 있는 기술공학적 교원 연수의 모형을 기술하였고, 그 주된 문제점으로 의사결정과 자원배분이 중앙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며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의 적용과 교원 연수에 관한 기술공학적 모형의 대안으로서, 해석적 교원 연수 모형을 기술하였다. 해석적 모형은 개별 학교의 상황적 맥락과 교사 간의 차이를 중시하므로 교사의 목적관, 전인으로서의 교사, 교수 맥락, 협력적 교직 문화 등에 기초하여 학교 내에서 교사 집단 중심으로 때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서 이루어지는 소규모의 교원 연수 활동을 강조한다는 점을 기술하였다. 셋째, 한국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적용을 돕는 교원 연수 방식의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framework for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adopts a less centralized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an the previous ones, having the government, provinces, school districts, and individual schools share decision making on the curriculum. Thus, under this framework, individual schools are to make discretionary judgments in developing different ways to implement the centrally developed curriculum as well as the school-based curriculum. This changed role by the school requires a different approach to staff development. However, as exemplified in those of Incheon Staff Development Center, staff development strategies at the provincial level still follow the traditional technical staff development model. Preferring a top-down approach to staff development, this technical model centralizes resources and decision making with regard to the content and forma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in any school can successfully implement a new curriculum, developed by specialists, when they are given basic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new curriculum, this model adopts a service-delivery mode in which teachers are cast in a fundamentally passive role. Thus, even after participating in staff development programmes led by sophisticated presenters, teachers have difficulty in developing their capacity and expertise to make informed discretionary judgments in creating ways to implement the centrally developed curriculum as well as the school-based curriculum in their classrooms. In contrast to the technical model, the hermeneutic staff development model, first, takes into account the teacher's purpose, advocating listening actively to the teacher's voice and establish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confront the assumptions and beliefs of favored new instructional strategies. Second, this model respects the teacher as a person, understanding that age, stage of career, life experiences, and gender factors-things that make up the total person-affect people's interest in and response to innovation and their motivation to seek improvement. Third, the hermeneutic model recognizes the impact of the real world context in which teachers work on the implementation of a new curriculum. Fourth, the model values the collaborative culture of teaching which helps teachers trust, value, and legitimize sharing expertise, seeking advice, and giving help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plan together and share resources and supplies; and thrash issues out in reaching a common focus. Taking into account the four main elements, the hermeneutic model supports small-group activities led by either a specialist or a group of teacher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collaborative work for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curriculum; mutual classroom observations and discussion among teachers; workshops, experimentation, and study groups initiated and led by a group of teachers. In order to better support teachers for developing various ways to implement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chool-based curriculum, policy makers and other administrators at the provincial level need to create an administrative and legal support system that decentralizes the resources and decision making centered around staff development centers to allot more financial resources for small group activities inside a school or among a group of schools.

      • KCI등재

        초등 교사의 프로젝트 접근법 실행에서 실천적 지식의 변화

        김평국,송진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1

        이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대학원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학습하고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는 동안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S교사가 교직 생활 초기에 지녔던 학생, 교과, 학부모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내용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둘째, S교사가 대학원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학습하고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와 1차와 2차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동안 경험한 실천적 지식의 변화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셋째, S교사가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행 후 학생, 교과, 학부모에 대하여 경험한 실천적 지식의 변화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S교사는 학생이 수동적이며 산만하다는 지식에서 능동적이며 몰입한다는 지식으로의 변화, 교과 내용을 주어진 대로 가감 없이 전달해야 한다는 지식에서 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지식으로의 변화, 학부모를 멀리하고 배제해야 한다는 지식에서 학부모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협력할 수 있다는 지식으로의 변화를 경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S교사의 경험이 교사의 교육과정과 교수법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과 연수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inquiry into how a Korean elementary teacher acquired new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based instruction. During the inquiry,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went through a process of collaboration involving mutual storytelling and restorying. The study investigated what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the teacher held in the early stages of her career, how she realized her lack of expertise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and how she acquired new practical knowledge after implementing project-based instru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acquired new practical knowledge by overcoming her assumption that students are passive and inattentive, she must deliver subject matters as they are given, and she must prevent parents from intervening in students' learning in the classroom. The teacher realized that: 1) students can be active and immerse themselves in learning; 2) she can reorganize subject matter according to students' needs; and 3) she can get help from and cooperate with, parents to maximize students' learning. The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that could help teachers broaden their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expertise.

      • KCI등재

        초등 교사의 통합 교과 단원 재구성 과정에서의 집단 숙의 양상

        김평국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1

        이 논문은 2007 개정 초등학교 1학년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의 교과용 도서에 동일한 제목으로 등장하는 “즐거운 학교생활”이라는 단원들을 초등 교사들이 통합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집단 숙의가 전개되는 모습과 특징을 드러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화 기술적 사례 연구 방법을 따라 숙의의 전 과정을 녹음하였고 이를 전사한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 숙의의 내용 측면에서 주요 쟁점은 세 교과의 활동 내용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소주제들을 묶어 학교 안의 생활과 학교 밖의 생활이라는 중주제들로 구분하는 것과 그 하위에 속하는 일부 소주제들을 중주제의 경계를 넘어 이동시킬 수 있는지 사이의 갈등임이 드러났다. 그리고 숙의의 절차 측면은 설계자들이 보고, 브레인스토밍, 설명, 문제, 제안, 주장, 사례, 동조 등 의 숙의적 공헌들을 통해 이런 쟁점을 확인하고, 확인된 쟁점을 심의하고 합의에 이르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숙의자들 사이의 약한 이해의 차이와 약한 갈등, 우호적인 공동체 형성을 통한 원만한 숙의, 전통과 개성에 영향을 받은 숙의, 학생을 중시하면서 학생 지도 경험, 학생 활동의 연속성, 내용의 중복 회피를 이유로 한의사 결정, 논리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을 모두 보여준 숙의로 특징지어졌다. This ethnographic case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ar delibe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in designing an integrated unit “Pleasant School Life” for first graders in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Data were gathered through audio taping. The main issue was a conflict between integrating several small topics into two themes and shifting some small topics from the original theme to the other theme. The teachers followed the procedure of identifying the issue through deliberative contributions of reporting, brainstorming, explication, problem, proposal, argument, and agreement; considering the relative weights of contributions; and reaching a conclusion. The deliberation was characterized as one in which teachers had mild conflicts; a smooth one in a supportive environment; one relying upon tradition and individual character; one with more emphasis upon students than subject matter, teachers, and surroundings; one in which decision making was based on teachers' experiences, continuity of student activities, and avoidance of overlapping contents; and one with both rational and political dimensions.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eachers' roles in reorganizing textbooks and curriculum,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upon community building.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지역화 실태와 그 활성화 방향

        김평국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교육논총 Vol.2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과서 중심’ 학교 교육에서 탈피하여 ‘교육과정 중심’ 학교 교육으로 진행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교과 내용 지역화 실태를 파악하고, 교과 내용 지역화를 활성화하는 방안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 로는 설문지 조사, 수업 관찰 및 면담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역 적 소재를 활용하는 교과 내용 지역화 정도는 전반적으로 대단히 미미하였다. 또한 교과 내용 지역화는 교과별로도 큰 차이가 있었다. 사회과에서의 지역화 정도가 가장 높았으 며, 수학, 과학, 영어 교과에서 가장 미미하였고, 국어, 도덕, 실과, 체육, 음악, 미술 교 과에서의 지역화는 그 중간 정도였다. 교과 내용 지역화를 활성화하는 방안 및 방향으로 지역화 자료 개발 및 보급, 교과 교육과정 지역화 연수의 강화, 교과서관의 변화, 교과용 도서의 개선, 학교 내의 지역화 지원 체제 확립, 교육과정 전문 인력 확충, 지방자치단체 의 지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