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몽성과 통속성이라는 핵심어 근처에 머물기 - 이태준 장편소설 연구사 검토

        김택호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2 No.-

        주로 신문연재소설이었던 이태준 장편소설에 대한 연구는 단편소설 연구에 비해 양적 열세를 보이고 있지만, 다양하고 진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발판으로 기본적인 연구 기반이 다져졌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이태준 장편소설의 지배소를 규정하거나, 개별 작품과 당대의 사회문화적 조건을 조응시키는 방식으로 연구에 임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이태준 장편소설에 대한 전면적인 이해는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 시점까지도 이태준 장편소설이 목표하고 있었던 ‘통속과 계몽의 결합’이 무엇인지 명료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이를 잘 말해준다. 이와 같은 연구의 정체현상을 돌파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의견을 제안한다. 첫째 1930년대 이태준의 작가기자로서의 삶을 조명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태준 장편소설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취급되어온 ‘통속과 계몽의 결합’ 문제는 신문연재소설이 지니고 있어야 할 대중성과 공공성의 결합을 부르는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이태준은 재직 중이었던 『조선중앙일보』 지면에 여러 편의 소설을 연재했다. 당시 『조선중앙일보』는 지면을 점차 늘려가면서도 저가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이른바 ‘틈새시장’을 공략했으며 사장인 여운형까지 광고유치를 위해 동분서주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이상과 박태원의 실험적인 작품들을 독자들에게 보이고, 자신은 다분히 통속적인 작품을 연재했다는 사실이 말해주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기자로서의 이태준의 ‘직장생활’이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이와 관련하여, 장편소설과 단편소설을 통합하는 이태준의 문학세계를 찾으려는 노력이 이태준 장편소설 연구에 중요한 과제로 설정되어왔던 기존 연구태도의 유효성 문제도 검토해야할 과제이다. ‘생산주체-수용자-텍스트’라는 삼각체제의 관계성을 의식하면서 수행될 수밖에 없는 것이 문학연구라면, 이태준의 장편소설을 하나의 장르로 구분하여 접근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것이며, 그것이 이태준에 문학에 대한 연구를 불완전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장편소설 개별 작품과 당대성과의 관계, 이태준 장편소설의 의미, 나아가 이태준의 작가정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길도 열릴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태준의 장편소설과 단편소설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중요한 만큼, 이태준의 장편소설이 당대, 혹은 그 이전시기 신문·잡지 연재소설들과 맺고 있는 내·외적 영향 수용관계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Studies on Yi Taejun's novels, most of which appeared serially on newspapers, are outnumbered by those on his short novels. The primary basis of the studies, however, was hardened based on the interests of a variety of serious researchers. Researchers have studied in a way that they define the dominants of Yi Taejun's novels or in other way that they correspond the individual work to the background sociocultural conditions. Nevertheless, it is evaluated that the entire understanding has not been achieved yet. The fact that we fail to explain the concept of 'combination of popularity and enlightenment', aimed by Yi, clearly even now, indicates the point.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s some ideas. First, it is necessary to shed light on a life of Yi Taejun as a novelist-cum-journalist. 'Combination of popularity and enlightenment'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property in a study on Yi is another name for the popular appeal and public interest that are required for newspaper series novels. Yi published series novels on Chosunjungang-ilbo where he worked. Chosunjungang-ilbo at the moment gradually started to increase the printed columns while sticking to the policy of low priced newspaper, which was aimed at targeting a niche market and so even the president, Yeo Woonyeong, tried to attract as many as advertisements.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t that he showed somewhat popular works while introducing Yi Sang's and Park Taewon's experimental works to readers, we should examine Yi Taejun's 'office life' as a novelist-cum-journalist in details. Second, we are also required to review the validity of existing study attitudes that set Yi Taejun's effort for finding his literature world by combining novels and short novels as an important assignment for studying Yi Taejun's novels. If literature study can be considered being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of triangle system of 'producing subject - receiver - text', it is possible enough to approach Yi's novels defining it as a single genre, which can not be recognized as what makes study on Yi Taejun imperfect. By doing so, we can pave the wa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s and individual work, the meaning of Yi' novels, and, furthermore, specific explanations for his spirit as a writer, because it is as important as th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novels and short novels to understand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 receiving relationship related to previously published newspaper series novel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게임놀이 학업동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김택호,배숙경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3 초등상담연구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게임놀이 학업동기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학업동기의 변화, 특히 학업적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수준 선호)과 학업적 실패내성(감정, 행동, 과제난이도선호)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5, 6학년 학습부진 학생 1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학교에서 실시한 기초학습능력평가에서 평균 ‘하’에 해당되는 학생들이었다. 게임놀이 학업동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총12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후로 구분하여 학습동기 검사를 실시하여 대응표본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과정 동안 학생들이 보이는 행동특성의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참여관찰을 통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게임놀이 학업동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실패내성이 증가하여 학생들의 학업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행동특성 변화에 대한 행동관찰 내용 분석에서도 아동들의 행동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게임놀이 학업동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 학생의 학업동기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의 효과

        김택호,김재환 한국상담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well-adjusted resilient adolescents and maladaptive adolescents. In addition, it attempted to identify the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s that are likely to facilitate the resilience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ere 2677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among which 442 were students supported from social welfare agencie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adaptation variance was accounted for more by protective factors than by risk factors. Second, in the high risk situations, the resilient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the maladaptive group on the protective factors, such as self-esteem, self-efficacy, optimism,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peer support, teacher support, hope and meaning of life. Meanwhile,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ly hope, teacher support, and meaning of lif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stinguishing the resilient group from the maladaptive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ope and meaning of life act as important factors in distinguishing between resilient groups and maladaptive groups. 본 연구는 역경상황에서 적응을 잘하는 탄력적인 청소년과 적응을 못하는 부적응 청소년의 차이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 과정에서 희망과 삶의 의미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초․중․고 학생 2235명과 서울, 경기, 부산, 광주, 인천 등 19곳의 복지관 이용 청소년 442명 등 총267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는데 있어 위험요인보다 보호요인의 설명변량이 크게 나타났다. 둘째, 부적응 집단보다 적응을 잘하는 탄력성 집단에서 자존감, 효능감, 낙관성, 가족관계의 질, 친구지지, 교사지지, 희망, 삶의 의미 등 모든 보호요인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변인과의 상관을 고려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희망, 교사지지, 삶의 의미 변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희망과 삶의 의미가 부적응 집단과 탄력성 집단을 구분하는데 있어 보다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모더니즘문학의 민족문학적 성격 연구 : 오상원의 단편소설「균열」을 중심으로 Focused on Oh, Sang-Won's short story, 「Break-Up」

        김택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8 대학원논문집 Vol.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closely inquiring into the national-literary character of modernistic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after the Korean War, the logic of recognizing realistic literature as the only method of creating national literature has been accepted. However, this logic can be seen as a result of ignoring the social meaning of modernistic literature. Thus, this paper made clear national-literary character of modernistic literature focused on Oh-Sang-Won's short story,「Break-UP」. Consequently, even in 「Break-Up」 classified as modernistic literature, nationalistic collectivism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ird Countries could be found, where incorporated national problem was suggested as an objectified looks. Of course, this is the part to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author's perception acting on national reality. Also this means that regardless of modernism and realism, the meaning of national literature should be comprehensively understood through minute analysis of each author and work. However, it is the case that modernistic literature is more indirect compared to realistic literature, and it is narrated by hidden voice, so author's actual consciousness is not easily found, which has acted as an obstacle in closely examing national literary character. For the future discussion of national literature, we need to have the attitude of recognizing the utility of realistic literature as national literature, but the work with strong national character as national literature by minute investigation of modernistic literature.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택호,황은일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areer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Research subjects were composed of 10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 city. The measurement tool used was the career development scale. Data analysis used was the paired t-test in order to examine the variation of career development scale according to the pre- and post-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findings were supplemented according to statistical verification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e counselor's observation contents and homeroom teacher's observation evaluation sheet contents. As a result of research analysi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indicat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caree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scale, schoolwork, job search, and career pla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lf-recognition was indicate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zing the contents, job recognition showed an increase. School record also improved.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school life attitude such as changing cooperative attitudes during class hours.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an be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enha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3학년 10명이며, 측정도구는 진로발달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에 따른 진로발달 척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고, 상담자의 관찰내용과 담임교사의 관찰평가서의 내용을 질적 분석하여 통계적 검증에 따른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진로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발달 척도의 하위요인 중 학업․직업탐색 영역과, 진로계획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아인식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적 내용 분석 결과에서 직업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학업성적이 좋아졌으며, 수업시간에 협조적으로 변하는 등 학생들의 학교생활 태도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이 사이버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택호,정형화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1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self-esteem plays a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yber-relationship addiction by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599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using SPSS 22.0.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higher the cyber-relationship addiction.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cyber-relationship addiction Second, self-esteem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yber-relationship addiction. Based on the results,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aware of the risk of game addiction as addiction in cyberspace, it provides the opportunities of change the perception of risk of cyber-relationship addiction. It also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ffective programs that help reduce depression. increase self-esteem and b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cyber-relationship addic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이 사이버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G광역시 대학생 599명을 임의 표집 하였고, SPSS 22.0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사이버 관계중독 수준도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이버관계 중독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Baron과 Kenney의 매개적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은 대학생의 우울과 사이버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사이버 관계중독의 위험성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사이버 관계중독 예방을 위하여 대학생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향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이태준 문학과 이상적 공동체주의

        김택호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nd the substance of ideal communitarianism in Yi, Tae-jun literature. Especially this research suppose that travel of U.S.S.R. was result of Yi, Tae-jun’s ideal communitarianism. The ideal Communitarianism that can be verified by Yi, Tae-jun's literature Consistently appear from the novels published in the early 1930s to travel of U.S.S.R.. Yi, Tae-jun's set the more spiritual and more cultural values on the other side of material desires, political desires and sexual desires. This attitude is based on belief of community he belonged. Yi, Tae-jun called it 'Nation'. Yi, Tae-jun was a Intellectual in colonial Period. So the affection and attachment to people is natural to Yi, Tae-jun. Yi, Tae-jun tried to analysis and forecast to the reality of the people. We defined it to idealism. Yi, Tae-juns ideal community constructed by recover purity of human. Yi, Tae-jun thought to socialism is a personal desires. But he became a socialist. How could he accept socialism and anti-socialism at th same time? he tried to combine socialism and his idealism in travel of U.S.S.R. I think that the ideal communitarianism of Yi, Tae-jun is just entrance to the heart of Yi, Tae-jun litera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이태준 문학에 투영된 이상적 공동체주의의 실체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소련기행」을 이태준의 공동체주의와 관련된 하나의 귀결점으로 상정하고 그 이전에 발표한 일련의 작품들에서 찾을 수 있는 공동체주의가 「소련기행」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피고 있다. 이태준의 문학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이상적 공동체주의는 대략 1930년대 초반에 발표한 장편소설들로부터 「소련기행」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그의 문학 저변을 흐르는 요소이다. 「구원의 여상」에서 찾을 수 있는 숭고한 정신으로부터 「성모」에서 보이는 국가주의적인 모성까지, 또 「제2의 운명」을 채우고 있는 민족주의적공동체주의로부터 「청춘무성」에서 표출되는 종교적 이상주의에 이르기까지 이태준은 물질적 욕망, 정치적 욕망, 성적 욕망의 반대편에 보다 정신적이고, 보다 문화적인 가치를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의 기반에는 이태준 자신이 속해 있다고 여기는 공동체가 의심할 바 없이 존재한다는 믿음이 자리 잡고 있다. 이태준은 이를 ‘민족’이라고 불렀다. 이태준은 민족이 처해있는 상황의 원인과 미래를 윤리적이고 정신적인 차원에서 분석하고 개척하려고 했다. 우리는 그동안 이러한 이태준의 태도를 정신주의로 규정해 왔다. 또 이 과정에서 이태준의 정신주의를 일제의 대동아주의가 내면화된 기형적인 형태의 민족주의로 이해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태준이 상정하고 있는 이상적 공동체는 본래적인 인간의 순수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통해서 구축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태준이 사회주의에 대해서 가지고 있었던 반감은 그것을 순수성을 상실한 사적 욕망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었다. 문제는 해방 후 사회주의자로서 길을 걷기 시작한 이태준이 자신이 과거에 정치적 욕망의 일종으로 인식했던 사회주의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하는가이다. 「소련기행」에서 이태준은 혁명을 통해 밝고 명랑한 정신을 회복한 민중들에 대한 목격담을 반복한다. 물론 이것은 일종의 타협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어찌되었든 이는 당시 이태준의 내면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부분이다. 그때에도 이태준이 지녀왔던 공동체주의에 대한 태도는 완고해서, 자신이 ‘유물사관’이라고 불렀던 이질적인 세계관을 오랫동안 지켜왔던 이상적 공동체주의에 결합시키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말하고 있는 이태준의 이상적 공동체주의는 어쩌면 지나치게 포괄적이고 느슨한 개념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이 이태준 문학의 전성기 20년 동안 일관되게 유지된 것이었다면, 이것이야말로 이태준 문학에 다가가는 적절한 입구일지도 모를 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