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문화와 제주어 ; 한국학의 전통에서 본 제주 바람 -"바람, 흐름"의 철학적 접근

        김치완 ( Chi Wan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한자문화권에서 인문(人文)은 예교문화(禮敎文化)를 가리키는 말로서, ``길 가 는 존재(homo viator)``인 인간의 본질을 관계 속에서 실현해내는 일체의 행위이다. 한편 제주는 자연경관적 특성 면에서 분명한 정체성을 드러낸 것으로 주목 받았다. 이에 비해 제주의 인문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지리적 특수성을 전제로 하였음에도, 오히려 그래서 제주문화 정체성의 모색이 여전히 진행형일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바람``을 소재로 한국학의 전통에 서 제주 정체성을 검토하였다. 그 어원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지만, 한국 학의 원형을 논할 때 ``풍류(風流)``, 곧 바람의 흐름은 빠지지 않고 논의되었고, 제주의 신화와 설화 가운데서도 ``바람``을 매개로 한 것들이 얼마간 발견되기 때 문이다. 우선 한국학의 이념형(理念型, ideal type)으로 논의되었던 풍류에 대해서는 1920년대 이래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그 가치를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오늘날에는 오히려 민족종교 분야로 한정되어 보편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치원의 문집과 정약용의 문집에서 확인되듯이, 풍류는 말 그대로 ``풍 속을 교화함``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풍류를 글자 그대로 ``바람의 흐름``으로 이해할 때, ``변화와 지속``이라는 의 미를 찾을 수 있다. 동북아시아의 지정학적 위치와 기후적 위치로 보건대, 한국은 변화 속에서 지속을 바랄 수밖에 없는 삶의 자리(Sitz im Leben)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서 바람은 구체적인 현실을 바라보고, 풍요로 운 미래를 바라는 구체성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현 상이 아닌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할 때, 희망의 향유와 지킴으로서 제주 바람 의 특성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Humanities(人文) is a word to designate the education culture on courtesy and the whole action to implement the ``human essence`` as ``homo viator`` in relations. Meanwhile, Jeju drew attention to its obvious identity in the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natural landscape. Contrary to this, even though the humanistic characteristics of Jeju premised geographical particularities, the appearance of Jeju`s cultural identity is still progressive. Based on the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examined the Jeju identity with an emphasis on the subject of ``wind``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dition of Korean studies. There are still arguments on its origin but when the original shape of Korean studies is discussed, ``Pung-ryu(風流)`` namely the flow of a wind hasn`t been missed for discussion and some of the myths and tales of Jeju with the intermediate of ``Wind`` were found for a certain period. First of all, there had been many studies in the 1920s on Pungryu discussed as the ideal type of Korean studies. However, as its value was emphasized excessively, today it is limited to the field of the ethnic religion to lose its universality. Accordingly, as it was confirmed in the anthology of Choi Chi-won(崔致遠) and that of Jeong Yak-yong(丁若鏞),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Pungryu as ``enlightenment of manners and customs`` as it is. When Pungryu is understood as ``flow of a wind`` as it is, the meanings of ``change and consistency`` can be found. When it comes to the geopolitical and climatical location of Northeast Asia, Korea can be considered to Sitz im Leben that has to long for consistency in the progress of changes. In addition, a desire here can be understood as a symbol that discloses concreteness that looks at the concrete reality and hopes for the abundant future. Consequently, when it approaches in the viewpoint of not the natural phenomenon but the human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d of Jeju can take concrete shape from enjoyment and preservation of hope.

      • KCI등재
      • KCI등재

        동양적 생태담론 가능성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 대안적 패러다임론과 오리엔탈리즘적 접근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중심으로

        김치완(Kim Chi-Wan) 역사실학회 2011 역사와실학 Vol.44 No.-

        We are looking for the solution today for diverse adverse effects caused by western industrialization. Especiall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 among those diverse adverse effects, that is to say the reason why the ecology issue has received attention is Rationalism?Scientism in modern West certainly have brought the greatest material affluence since the beginning, however, is that it reached counting the cost of threat to human survival because of ecosystem destruction on that process. Being established awareness that why it happened is based on the paradigm of western modern science, by extension, on the philosophical · theological context supporting it, ie. anthropocentricism and instrumental view of nature, the Orient and Oriental thinking has been given attention. By the way, between scholars majored in ‘Oriental studies, Oriental Ecological Discourse’ or ‘Oriental Ecologism’ is generally thought it takes on character of ‘Parasitism Discourse’ under a negative view of approach of the alternative paradigm and Orientalism. Therefore, so far, Oriental Ecological Discourse have not gone any further than contrived combination of each notion in disjoined-contextual quotation from Confucianism and Taoism, or than emphasizing human’s moral act as one element of all things in universe. In this thesis rejected the approaching way up to date, that it has approached the oriental thinking through the alternative paradigm or orientalism, rather looked the Oriental Ecological Discourse would be possible only if understanding the oriental thinking could be defined by anthropocentricism as well.

      • KCI등재후보

        天眞庵走魚寺講學會의 성격에 관한 연구 : 茶山의『自撰墓誌銘』을 중심으로

        김치완(Kim Chi-Wan) 역사실학회 2012 역사와실학 Vol.47 No.-

        Today we intend to emphasize the fact those around Dasan(茶山) aimed to actively accept the Western culture because we think that in this way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of Joseon(朝鮮實學)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Neo-Confucianism of Joseon(朝鮮性理學). Therefore we sometimes arbitrarily analyze historical material on the basis of probability. One of these examples is the issue of time and contents of the study group that was reportedly held at Chunjinam Jueosa in 1777 or 1779. As we lay stress on "the voluntary acceptance by the intellectuals",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Korean Catholic church, we come to analyze that this study group should have been held in 1777 rather than in 1779 and its characteristics should be like medieval Christianity. However, according to 'Jachanmyojimyoung(自撰墓誌銘)' by Dasan, this study group was held in 1779, and the books that were reportedly read and discussed at that time are the Neo-Confucianist books of Confucianists of Sung Dynasty(宋代). Of course, it can be that Dasan, who was afraid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roup might be attacked politically, did not clearly revealed the time and contents of the study group. But, as we underline the hidden intention like this, historical facts get rather distorted. In particular, this issu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dentity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of Joseon, which is more important than to embo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atholic churc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atholic church can be embossed just by the fact that Seunghun Lee(李承薰, 1756~1801), who was baptized in Beijing(北京), came back to Joseon in 1784 and spread Catholicism to the Namin scholars(南人學者). But, if we further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group in 1779 as 'a Christian meeting', it comes to be as i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of Joseon was based on Christianity. This is not true, and rather reduces the significance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of Joseon. Therefore, as Dasan recorded, this study group can be provided as 'a symposium of young scholars', and it is valid to consider its characteristics to be 'a meeting for preparation for the state examination(科擧)'.

      • KCI등재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역량기반 대학교양교육 현황과 과제 : 제주대학교 2021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치완(Kim, Chi Wa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18

        이 연구에서는 “제주대학교 2021교육과정”의 사례를 통해 교육환경 변화가 교양교육에 미친 문제점과 과제를 검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80년대 교육개혁에서 요구된 “고등교육의 질 제고”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고등교육재정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대학이 자율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의 질 제고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 대신, 고등교육의 보편화라는 현실적 요구에 집중한 것이다. 다음으로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사례를 분석 검토하여 보았다. 역량기반을 전면에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교육정책당국에서 주도하는 평가, 그리고 그것에 연동되는 재정지원사업 유치를 위한 보여주기식 개편이 의심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양교육의 현주소와 과제를 도출해보았다. “교양교육의 질 제고”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활용되는 IMD 교육 부문 경쟁력 지표는 교육재정지원 확대와 연계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 당국에서는 재정지원사업을 구조조정과 연계하였고, 대학은 교육재정을 확보하기 위해 지표 중심이 변화에만 집중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교양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평가와 연계된 사업 방식이 아닌, 자율성을 보장한 교육재정 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교양교육과정은 ‘지표 중심의 역량’이 아니라 ‘사람 중심의 콘텐츠’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the problems and tasks of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n liberal education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rough the cases of the "Jeju National University 2021 Curriculum." For this, the problems of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required in the educational reform in the 1980s were examined. Instead of stably securing higher education finances so that universities can seek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autonomous and practical education, the practical demand for the gener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was emphasized. Next, the cases of competency-based liberal education were analyzed and reviewed. Although the competency base was put at the forefront, it was noted that in reality, evaluation led by education policy authorities and a pretending reorganization to attract financial support projects linked to it were suspected. Based on this,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liberal education in the post hybridity era were derived. The IMD education sector competitiveness indicator used to emphasize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s linked to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financial support. Nevertheless, policy authorities have linked financial support projects to restructuring, and there is a vicious cycle in which universities focus only on indicator-oriented changes to secure educational finances. In order to normalize liberal education, educational financial support that guarantees autonomy, not a business method l inked to evaluation, must b e preceded. It is because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focus on "People-centered Contents" rather than "Indicator-oriented Competency."

      • KCI등재

        성리학적 정치이념의 양면성과 正祖의 실리주의적 정치관 연구

        김치완(Kim, Chi-wan)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59 No.-

        조선은 성리학적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건국되었다. 그래서 조선은 중앙집권적 정치체제 하에서도 왕권이 적절하게 견제되는 이른바 ‘士大夫의 나라’, 곧 성리학적 질서가 확립된 나라로 유지되었다. 이는 조선이 유가 전통의 가치와 그것에 기초한 정치의 公共性을 무엇보다도 강조했음을 뜻한다. 이 연구에서는 유교국가 조선이 표방했던 성리학적 질서로서 禮制가 사실상 두 측면이 있음에 주목했다. 그 하나는 만인에게 적용되는 무차별적 원칙이고, 다른 하나는 신분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되는 차별적 규범이다. 이는 유교 윤리학의 오래된 개념인 常道와 權道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전제이다. 이 전제에서 출발하여 정조가 성리학적 정치이념의 양면성을 어떤 논리로 어떻게 돌파해나갔는지를 다산의 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다산의 기록에 따르면, 정조는 정치적으로 살해당한 사도세자의 친아들이면서 왕위계승자로서는 백부인 효장세자의 아들이라는 이중적 신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臣權을 파편화시키는 실리적인 전략을 사용하였다. 정조가 反正이라는 역풍 대신 개혁군주로 역사에 기록되고, 이후로 조선이 이상적 유교국가로서 지속될 수 있었던 까닭도 여기에 있다. 곧 정조의 실리주의적 정치관은 성리학적 질서에 도전하지 않고, 오히려 그 틀 속에서 실리적 전략을 선택하여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해체시킨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Joseon Dynasty(朝鮮) was founded based on the Neo-Confucianism"s ruling ideology. Therefore, the Joseon Dynasty was maintained as a ‘nation of the gentry(士大夫)’ where the royal power had been properly contained even under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namely, a nation that established the Neo-Confucianism"s order. This means that the Joseon Dynasty put the value of Confucian traditions and publicness of politics on the value ahead of everything.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two aspects ; one is the indiscriminate principle that the ritual system(禮制) of the Neo-Confucianism"s order supported by the Joseon Dynasty as a Confucianism nation was applied to all people and the other is the discriminate norms that wer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positions. Furthermore, it analyzed the data focused on how King Jeongjo slipped through the ambivalence of the Neo-Confucianism"s political idea. According to the record of Dasan(茶山), King Jeongjo as the son of Prince Sado(思悼世子) who was politically murdered and the successor to the throne with the status of the son of his uncle, Prince Hyojang(孝章世子), fully utilized his dual identity and used a practical strategy to fragmentize divine right. The reason why King Jeongjo was recorded as a reformative king instead of headwind of renovation and could continue the Joseon Dynasty as an ideal Confucianism nation was not because he did not challenge the Neo-Confucianism"s system but because he chose a practical strategy in the frame.

      • KCI등재

        제주(濟州) · 유구(流求) 표류 난민의 신분 위장과 경계인 의식

        김치완(Kim, Chi-Wa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3

        표류가 월경(越境)이라면 표류민은 해난사고로 발생한 난민이다. 동아시아 해역에서 발생한 해난사고의 난민들에 대한 인도주의적인 송환 절차는 오래전부터 갖추어져 있었다. 그런데 유구(琉球)에 표착한 제주 난민과 제주에 표착한 유구(琉球) 난민 가운데는 각각 출신지와 국적을 위장한 사례가 있다. 제주와 유구 표류 난민의 이러한 신분 위장은 당시 동아시아 경계지역출신이라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해난사고를 겪고 간신히 생명을 건져 표착한 곳이 출신지 관할 국가와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지, 그곳 주민과 관리들이 자신들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촉각을 세울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표류 난민은 근대적 의미의 경계인이며, 특히 제주와 유구 표류 난민은 한국과 일본과의 관계에서 근대 이후의 트랜스-네이션을 경험한 주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식민지에 복속되는 과정에서 타자성으로서 네이션(nation)을 자각하고 있었고, 일상의 시공간이 아닌 표착지의 시공간에서 자기를 타자화시키는 전략을 활용한 것이다. Drifting is crossing the border, and drifted refugees result from marine accidents. Humanitarian repatriation procedures have long been in place for refugees from maritime accidents in East Asian waters. However, there was a case that some of the Jeju refugees who drifted ashore on Ryukyu and some of the Ryukyu refugees who did on Jeju disguised their nationality as Japanese and were repatriated to Japan. The false identity of the Jeju and the Ryukyu refugees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ir nations at the boundary regions of East Asia at that time. It was because they had no choice but to be alert to where they came from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had with the jurisdiction nation of their nationality in which they managed to save their lives and to how the residents and officials perceived them. In this regard, the drifted refugees were the marginal men of the modern meaning, and in particular, Jeju and Ryukyu refugees were the main bodies, who experienced the trans-nation after modern times in their relations of Korea and Japan. They were aware of the nation as otherness in the process of not assimilating into the colony, and they used the strategy to otherize themselves in the space and time of the landing site, not in the daily space and time.

      • KCI등재

        ‘카미노’와 ‘올레’를 중심으로 본 문화콘텐츠로서의 길[道]

        김치완(Kim, Chi-Wan)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30

        오늘날 우리는 ‘문화지향사회’라는 말에 적응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그리고 산업에서 문화로 시대정신이 변화하고 있고,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의 담론이 실현될 수 있다는 기대에 부풀어 있다. 하지만 이 희망은 문화와 콘텐츠라는 말이 사실상 모호하다는 점에서부터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가 상품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카미노 데 산티아고와 제주올레를 비교함으로써 문화 콘텐츠로서 길[道]의 의미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카미노 데 산티아고는 기독교 전통의 순례를 잘 표현해낸 문화콘텐츠이다. 왜냐하면 현실의 삶에서 지친 이들이 그렇지 않은 낯선 공간을 찾아 떠나서, 결국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기 자신의 기대, 그리고 결과를 카미노 데 산티아고의 풍경 가운데 하나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제주올레는 카미노 데산티아고의 亞流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집으로 가는 길’을 뜻하는 올레의 의미를 제대로 구현해내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문화는 없고 ‘콘텐츠-상품’만 남은 것이다. 동양문화의 전통에서 길은 본래 공간에 새겨진 시간의 표시이다. 왜냐하면 길은 공간과 시간의 양 측면에서 여기와 저기, 과거와 미래가 교차하는 일종의 특이점이기 때문이다. 제주의 길로서 제주올레가 문화콘텐츠로서 성공하려면, ‘집으로 가는 길’이라는 올레 본래의 정체성을 회복해야만 한다. 그리고 아울러 길의 보편성 위에서 제주의 문화와 역사를 제대로 녹여 넣을 수 있어야 한다. At present, we reached a point of time to be adapted to the words of ‘culture-oriented society’. Therefore, the spirit of the times is changing from industry to culture and we are full of expectations that discussion over glocalization will be materialized. However, this hope can not help facing a barrier because the words of culture and contents are actually vague. In this context,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emise that cultural contents can have significance more than products and attempted to search for the meaning of The Way(道) as a traditional content of the oriental culture by comparing Jeju Olle with Camino de Santiago. Camino de Santiago is a cultural content that expresses very well a traditional pilgrimage of Christianity. It is because Camino de Santiago enabled those exhausted from the real life to leave for strange space different from the real life and eventually sublimate their own expectations in various ways and results as one of the scenes of Camino de Santiago. Compared to this, Jeju Olle is unable to overcome the imitation level of Camino de Santiago. It is because Jeju Olle could not properly realize the meaning of Olle that means ‘a walk to a home’. In fact, culture is not seen but only ‘content-product’ exists. The way in the tradition of the oriental culture is a mark of time carved in original space. It is because The way in the qualitative aspects of space and time is a specific point in which here and there, the past and the future intersect. In order for Jeju Olle to be successful as The way of Jeju and a cultural content, the Olle’s original identity as The way to a home should be recovered. Furthermore, over the universality of The way, Jeju’s culture and history should be sufficiently contained in Jeju Olle.

      • KCI등재

        우환의식(憂患意識)의 전통에서 본 다산(茶山)의 실학적 경세관(經世觀)과 그 이념적 논거

        김치완(Kim Chi-wa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0 No.18

        오늘날 우리는 이념을 초월한 실용, 곧 〈중도실용(中道實用)〉이라는 목표와 마주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념적 근거가 없는 실천이 사실상 불가능할뿐더러, 오히려 우리가 당면한 현실의 문제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깊은 통찰, 곧 인문학적 반성이 없는 데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이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조선이 오늘날 우리가 지향하는 지식기반사회의 전범(典範)이라는 전제에서 출발, 조선성리학의 지식인을 관통하는 현실인식을 우환의식(憂患意識)이라고 규정했다. 그리고 이러한 우환의식이 조선사회의 당면한 문제에 지식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한 동인(動因)이었으며, 다산의 경세학(經世學) 곧 현실참여론 역시 이러한 우환의식의 전통에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런 관점에 따르면, 다산의 경세학은 정치(精緻)한 이념적 고찰인 경학(經學) 연구를 이론적 근거로 하고 있으며, 비록 불우한 처지에서 학문적으로 구현될 수밖에 없었지만 현실의 문제를 공감함으로써 그 근본원인을 명석판명(明晳判明)하게 파악하고, 개방성을 가지고 유연하게 소통하고 실천함으로써 ‘실학(實學)’이라는 유가적 학문의 본령을 실천할 수 있었다. Today we should meet the purpose of 〈Central Position and Practical Use(中道實用)〉 which means practical use beyond an ideology. However, it is impossible in fact to practice something without any ideological basis. It is a critical mind of this study that our present question results from the lack of a deep insight into human and world; that is a humane reflectio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awareness of reality, which has been a model of our knowledge-based society and a main principle of Neo-Confucianists in the Choseon(朝鮮) Dynasty, as Consciousness of Suffering(憂患意識). It was a motive for many intellectuals in those days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question of the moment. Dasan(茶山)'s Statecraft Study(經世學) or Participation in Reality also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tradition. From this point of view, his study was based on the exquisite consideration of Confucianism(經學). He identified himself with present matters, understood the basic causes precisely, and practiced them with openness and suppleness to show the proper function of the Confucian ‘Shilhak(實學)’, although in adverse circumstances, it was embodied only in academic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