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 신문기사 및 연구논문을 통해 본 아동학대 동향 연구
김춘경,이주옥,송영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9 놀이치료연구 Vol.13 No.3
This study analysed 184 newspaper articles and 585 research papers about child abuse since 1990. Results showed that child abuse mentioned in research and articles uprised constantly. Reports about physical abuse decreased, while articles of sexual abuse and negligence increased since year of 2000. While many researches were about the policy and the negative effects of child abuse, the reason of child abuse was less explored. Whereas family including parents was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 to explain child abuse,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abused children was adopted as dependent one frequently.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이루어진 국내의 아동학대 신문기사와 관련 연구에 나타난 아동학대 관련 연구동향 및 시각을 살펴보기 위하여 C일보에 나타난 아동학대 관련 기사 184건과 아동학대 주제의 연구논문 58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학대에 관한 신문기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00년 이후에 많은 양적 상승을 보여주었다. 또한 2000년 이전에는 신체적 학대 기사가 가장 많았으나 이후 성적 학대와 방임에 관한 기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논문 역시 2000년 이후에 많은 양적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대책방안과 학대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의 원인에 대한 연구는 더 적게 나타났으며, 이들 연구의 경우 부모를 포함한 가족을 아동학대의 원인으로 다루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또한 학대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동의 생활과 행동 부적응, 정서 부적응 등 사회 정서적 문제를 주로 설명하였다.
대학생 정서문제 잠재프로파일 분석: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자살위험성 차이 및 대인관계 유능성의 영향력 검증
김춘경,조민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대인관계 유능성이 정서문제/자살위험성 집단특성 변화를 예측하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문제, 자살위험성, 대인관계 유능성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들 중 최종 354명을 선정한 후, M-plus 8.7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문제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수는 3개로 나타났다. 고수준 정서문제 집단, 중수준 정서문제 집단, 저수준 정서문제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정서문제 수준에 따라 자살위험성 집단을 분류한 결과, 잠재프로파일 수는 3개로 분류되었다. 고수준 정서문제/자살위험성 집단, 중수준 정서문제/자살위험성 집단, 저수준 정서문제/자살위험성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대인관계 유능성은 정서문제/자살위험성 집단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유능성 하위요인 중 권리나 불쾌감에 대한 주장 요인이 고수준 정서문제/자살위험성 집단의 특성 변화를 가장 많이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권리나 불쾌감에 대한 주장이 높아질수록 중수준 정서문제/자살위험성, 저수준 정서문제 자살위험성 집단으로 속할 확률이 가장 높아지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college student interpersonal competence predicts changes in emotional problem/suicide risk group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emotional problems, suicide risk,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After selecting the final 354 people among them,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M-plus 8.7 program.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otential profiles according to emotional disorders was found to be three. They were named the high-level emotional problem group, the intermediate- level emotional problem group, and the low-level emotional problem group. Second, as a result of classifying suicide risk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problem, the number of potential profiles was classified into three. They were named the high-level emotional problem / suicide risk group, the intermediate emotional problem / suicide risk group, and the low-level emotional problem/suicide risk group. Thir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found to predict changes in the emotional problem/suicide risk group. Among the sub-factor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claim for rights or discomfort factor was found to be the most predictive of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the high-level emotional problem / suicide risk group.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laim to rights or discomfor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medium emotional problem / suicide risk group or low emotional problem/suicide risk group.
예비영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성격특성, 인성문제 간의 관계: 애착유형 별 차이검증
김춘경,조민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2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find adult attachment which effect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from attachment styles and to effective were ways to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personality problems. For this research, 1,000 numbers of college students(three-year and four-year) were responded, and the student are currently using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The research compared 4 types attachment,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was set up with five character(Neuroticism, Extro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 and characteristic trait, personality proble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attachment. Second, adult attachment(intimacy, attachment anxiety, dependence potential) influence on the internal personality problem showed the differences in attachment style. Third, among adult attachment whereas effect of dependence potential and attachment anxiety was small or not-significant, intimacy was increase external personality problems. 본 연구는 애착유형에 따라 성격특성 및 인성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애착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애착유형에 따라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성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있는 4년제와 3년제 유아교육과 및 보육관련 예비영유아교사 1,000명을 대상으로 4개의 애착유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인성을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과 성격특성, 인성문제는 애착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성인애착 요인 중 애착친밀과 애착의존의 효과는 유형에 따라 낮거나 유의하지 않았으며, 애착불안은 애착유형 모두에서 성격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친밀성, 애착불안, 의존가능성)이 내재화 인성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애착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성인애착 요인 중 의존가능성과 애착불안의 효과는 유형에 따라 낮거나 유의하지 않았으나 친밀성은 애착유형에 관계없이 외현화 인성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 별 자기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춘경,김숙희,조민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4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influences of self-control and resilience on the experience of bully depending on sleep dur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ixth longitudinal panel data set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inning at 2010 by Seoul Office of Education was used. The total of 3,648 subjects in the 3rd grade at middle schoo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AMOS 18.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of the influences of self-control and resilience on committing school violence depending on sleep duration of middle schoolers, the self-control of middle schoolers was worked 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case of classifying hourly according to the length of sleep. Improving self-control of students with a sleep duration of under 8 hours more than 6, it works as a significant factor in reduction of the experience of bully. 본 연구는 수면시간별 자기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에서 2010부터 실시한 패널조사 데이터에서 6차년도(2015)에 서울 시내 국립․공립․사립 중학교 3학년인 총 3,648명 중 누락 및 불성실한 응답을 한 20명을 제외한 최종 3,628명을 선발하였다. 최종적으로 5집단을 분류한 후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면시간에 따라 자기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해본 결과, 6시간 이상에서 8시간 미만의 수면시간을 가진 중학생들의 자기통제력은 학교폭력 가해경험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이 학교폭력 가해경험 감소 및 예방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수면시간별 분류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6시간 이상에서 8시간 미만의 수면을 취하는 중학생들의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면 그들의 가해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후기 아동기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집행기능곤란, 그릿 간 구조분석:미디어기기 중독 수준에 따른 집단비교
김춘경,조민규 육아정책연구소 2023 육아정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집행기능곤란, 그릿 간 영향력을 검증하고, 미디어 기기 중독 수준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13차년 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AMOS-18.0을 활용하였으며, .05에서 통계적 유의 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군 집단은 잠재적 위험군 집단에 비해 교사-아동 간 친밀감, 그릿에서 더 높은 평균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아동 간 갈등, 집행기능곤란은 더 낮은 평균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집행기능곤란 그릿 간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위험군 집단은 일반군 집단 에 비해 집행기능곤란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conflict,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grit, and to reveal the difference in influ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media device addiction.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13th year of the Korea Children's Panel Survey were used. The Analysis of Moment Structures(AMOS) 18.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average values for teacher-child intimacy and grit than the potential risk group, and lower average values for teacher-child conflict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all pathways between teacher-child intimacy and conflict,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gri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on grit was greater in the potential risk group than in the general group.
학습부진아의 심리역동성에 관한 연구 : Adler의 개인심리학을 중심으로
김춘경 한국발달장애학회 1998 발달장애연구 Vol.2 No.1
학습부진아는 학습면에서 뿐 아니라, 학교 및 일반 생활전반에 걸쳐 어려움과 문제를 지니고 있다. 학습부진아의 내면적 심리역동성을 이해하지 않고는 학습부진아가 경험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할 수 없다. 본 연구는 Adler의 개인 심리학적 심리치료 및 상담이론을 바탕을 학습부진의 문제의 근원을 이해하고, 그들이 경험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하고 예방할 수 있는 치료교육 또는 심리 치료적 차원에서 치료적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학습부진아의 심리적 역동성을 분석해 보았다. 개인심리학에서는 학습부진아가 생활전반에서 다양한 형태의 장애를 지니게 된 것이 열등감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잘못 빚어진 열등감의 병리적 현상(열등콤플렉스)과 공동체감의 부족의 결과로 인한 잘못된 생활양식의 형성 때문인 것으로 파악하고, 치료 및 교정 대책을 열등감이 계속하여 악순환 되는 과정 속에서 병리화 또는 이상 행동화되는 열등콤플렉스의 오류를 교정하고, 공동체감을 향상시켜 잘못된 생활양식을 수정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