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지상파 TV 8-VSB 방식의 채널등화기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김철민,박성우,김대진 전남대학교 전자통신기술연구소 2001 전자통신기술논문지 Vol.4 No.1

        In this paper, we proposes the structure of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oing update of coefficient substituted LMS algorithm for kalman algorithm for channel equalizer on 8-VSB transmission system. The convergence speed of LMS algorithm is slow for portable, pedestrian, mobile reception where exist multipath, in fact, it is insufficient that LMS algorithm solves the problem of current 8-LMS system. On the contrary, kalman algorithm will show the very strong performance in multipath channel because convergence is realized theoretically at repetition in two times of tap numbers, convergence speed is fast and residual error is smaller than that of LMS algorithm.

      • KCI등재
      • KCI등재

        두 대의 압축기를 적용한 에어컨의 오일분배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철민,황윤제,정백영 대한설비공학회 2003 설비공학 논문집 Vol.15 No.2

        The common accumulator was designed for solving the maldistribution problem of oil at the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two compressors. The oil level inside two compressors was visualized by using a common accumulator on the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visualization, oil distribution inside two compressors was achiev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each compressor. Uniform distribution of oil was also accomplished at on and off operation condition.

      • KCI등재

        동유럽·발칸 민족분쟁과 공존 가능성: 21세기 코소보 사례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4 동유럽발칸연구 Vol.48 No.2

        20세기 말 ‘코소보(Kosovo) 전쟁’은 21세기 ‘신냉전’ 서막을 연 국제 분쟁이자, 국제역학 구도에서 코소보의 지정학적, 지전략적 중요성을 국제 사회에 분명히 각인해 준 사건이었다. 국제관계사적 측면에서 코소보 전쟁이 남긴 일련의 시사점과 그 의미들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는 NATO의 전통적 ‘방어전략’ 개념을 ‘공격전략’ 개념으로 전환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이다. 1999년 역외 국가를 향한 NATO의 전쟁 참여로 NATO는 21세기 미국 이해 지역에 있어 자국의 영향력을 추구할 토대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는 ‘러시아 제국의 부활’과 ‘푸틴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1999년 코소보 전쟁 결과 러시아는 2000년 푸틴을 선택하였고, 그는 21세기 러시아를 냉전 시대와 같은 제국으로 부활할 것이라 약속하였다. 이것은 2014년 크름반도 합병과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이어졌다. 코소보의 지정학적 중요성이 확인됨에 따라 미국과 유럽은 유럽 평화에 있어 코소보의 영구적 평화 구축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코소보를 둘러싼 세르비아와 코소보 정부 간 평화 정착과 공존 가능성은 여전히 많은 장애물을 지닌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선 동유럽·발칸 민족분쟁 기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21세기 진행형인 코소보에서의 다양한 민족분쟁 양상과 그 특징들 소개 및 그 공존 가능성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The ‘Kosovo War’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was an international conflict that ushered in the ‘New Cold War’ of the 21st century. And it was an event that clearly impress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the geopolitical and geostrategic importance of Kosovo in the international dynamics. In terms of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re are two main implications of the ‘Kosovo War’. Firs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convert NATO's traditional concept of ‘defensive strategy’ into the concept of ‘offensive strategy’. The Kosovo War was the first war involving NATO in a country outside the region. And through this, NATO can be said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pursuing its own influence in the Interest Sphere of United States in the 21st century. The second can be said to be the ‘resurrection of the Russian Empire’ and the ‘emergence of Putin’. As a result of the 1999 Kosovo War, Russia chose Putin in 2000, and he promised to revive Russia in the 21st century as an empire similar to that of the Cold War era. And this led to the annexation of the Crimean Peninsula in 2014 and the outbreak of war in Ukraine in 2022. As Kosovo’s geopolitical importance has been confirmed,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gree on the need to establish permanent peace in Kosovo for peace in Europ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still many obstacles to the possibility of peace and coexistence between the Serbian and Kosovo governments surrounding Kosovo today.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origins of national conflicts in Balkan Europe, I will introduce the various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conflicts in Kosovo in the 21st century, an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their coexistence.

      • KCI등재

        화합의 관점으로 본 보스니아사회 통합 노력과 실천적 사례 분석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8 국제지역연구 Vol.22 No.2

        Bosnia has a unique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of ‘One State-Two Systems’ according to the ‘Dayton Peace Agreement’. It is true that since the end of the 1995 civil war, the problem of nation and peace in Bosnia has been attracted by the broad concept of Europe as a whole, beyond the local dimension of the Balkans. Bosnia is a typical ‘Mosaic of Religion and Culture’ region in Europe. And Sarajevo, the capital of Bosnia, where various religious and cultural features of Europe are gathered, is called ‘Jerusalem in Europe’. For this reason Bosnia has repeated a history of cultural and religious conflict since the Middle Ages. However, before the civil war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nations in Bosnia also had experience of ‘harmony among various nations, religions and cultures of East and Wes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EU, has paid attention to this point as it promotes Bosnia's reconstruction and peace settlement. And these are working to restore the history of harmony among nations in Bosnia today. In the past, research on Bosnia has focused primarily on national conflicts between religions and cultures. However, in this study, I will try to analyze the practical cases of peace settlement and harmony among nations in Bosnia as follows: First, ‘Bosnia's accession to the EU’ which means active intervention and continued interes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econd, ‘the resolution of war crimes and liquidation of past history’ through the end of ICTY mission in December 2017. And third, ‘reflection of international society and historical reconciliation of Serbia’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the Srebrenica massacre. 보스니아는 ‘데이턴 평화안(Dayton Peace Agreement)’에 따라 ‘1국가 2체제(One State-Two Systems)’란 독특한 정치, 사회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1995년 내전 종결 이후 보스니아내 민족 문제와 평화 정착은 단순히 발칸 반도란 지엽적 차원을 뛰어넘어 유럽 전체의 광역 개념을 지니며 관심을 받아온 게 사실이다. 보스니아는 통상 유럽에서 대표적인 ‘종교와 문화의 모자이크(A Mosaic of Religion and Culture)’지역이며, 유럽의 다양한 종교-문화적 특징이 한데 모인 수도 사라예보(Sarajevo)는 ‘유럽의 예루살렘(Jerusalem in Europe)’으로 불린다. 이런 이유로 중세 이후로 보스니아는 갈등과 충돌의 역사를 반복해 왔다. 하지만, 20세기말 민족 간 내전을 겪기 이전까지 이 지역은 ‘동·서양의 종교와 문화, 다양한 민족 간 조화와 화합’의 경험 또한 지녀왔던 게 사실이다. EU 등 국제 사회는 보스니아 재건과 평화 정착을 추진하면서 이 점에 주목하여 왔다. 그리고 오늘날 보스니아에서 그 조화와 화합의 역사를 다시 회복하기 위해 노력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전 종결 20주년을 맞이해 과거 갈등 사례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 일반적 연구 틀을 벗어나 보스니아 평화 정착과 민족 간 화합에 필요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소들을 제시하고 그 실천적 사례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첫째, 국제 사회의 적극적 개입과 지속적 관심을 의미하는 ‘보스니아의 EU 가입 추진’, 둘째, 2017년 12월 ICTY 임무 종료를 통한 ‘전범 문제 해결 및 과거사 청산’, 셋째, 스레브레니짜 학살 사건 재조명을 통한 ‘국제사회 반성과 세르비아의 역사 화해 추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