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 통제수행평가 체제 분석 및 적용가능성 탐색

        김천홍(Kim, ChunHong),홍수진(Hong, Su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본 연구는 영국의 표준화된 고부담 수행평가인 통제수행평가의 체제를 분석하여 한국의 수행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제수행평가의 평가내적 영역과 외적 영역 측면에서 내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통제수행평가는 영국자격시험감독청, 외부 인증평가기관, 단위학교 간 수직적 감독과 수평적 협력의 거버넌스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둘째, 통제수행평가는 교과의 특성과 측정 영역에 따른 다양한 평가 도구를 활용한다. 셋째, 통제수행평가의 평가절차는 과제 설정, 과제 수행, 과제 채점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평가 단계별로 차별적인 통제수준을 적용하여 수행평가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한다. 넷째, 통제수행평가는 교사 채점과 외부 채점조정관의 채점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조정한 후 중등교육자격 수여 및 대입전형 자료로 활용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제수행평가의 한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수행평가의 확대 적용 측면, 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 측면, 교사의 평가 업무 부담의 가중 측면, 대규모 고부담 평가에서의 채점 절차 측면, 사교육과 같은 학교 외적 요인의 영향 측면에서 논의 하였다. 영국 통제수행평가에 대한 분석 결과와 한국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확장하여 수행평가 영역별, 교육 주체별 실천 방안을 단기, 중기, 장기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수행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rolled assessment in GCSEs and then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it to performance assessment in Republic of Korea. Adapting a content analysis with related documents issued by the Ofqual, Ofsted, QCA, awarding body in England, this study scrutinizes the governance, the procedure, the use of result, the quality assurance, the cultural aspect of controlled assessment. The major findings show that firstly, controlled assessment is governed by the tripartite system, which allocates the responsibility and delegates authority to Ofqual, awarding body and school with vertical accountability and horizontal collaboration. Secondly, controlled assessment consists of three stages: task setting, task taking and task marking. The level of control at each of three key stages falls into one of three categories: limited-, medium- and high control. Thirdly, the weighting of controlled assessment result is one of three defined ratio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assessed subjects. Lastly, for the purpose of keeping the consistent standard of marking, the original assessed marks by teachers are either accepted without any change or adjusted through the moderation process conducted by the external moderator. Based on the analysis of controlled assessmen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and feasibility of applying the main principle and feature of controlled assessment to carrying performance assessment in Republic of Korea. To do so, this study critically takes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s and assessment policy aims into account, such as enlarging performance assessment, enhancing validity, reliability and transparency of it, reducing teachers’ assessment burdens, and restraining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고교 학점제의 학생평정 방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천홍(Kim Chunhong),홍수진(Hong Su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고교 학점제에서의 평가 내실화 방안을 교사의 학생평가 및 수능에서의 평정 방식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고교 학점제와 연계한 성취평가제와 수능에서의 평가 관련 쟁점을 분석한 후 평정 방식 측면에서 교사의 학생평가와 수능으로 구분하여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후 양 평가의 평정 방식의 조합에 따른 대입선발전형에의 영향력을 논의한 후 고교 학점제에서의 평가 내실화를 위한 평가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고교 학점제에서는 교사의 학생 평가와 수능의 평정 방식을 일원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사별 평가와 절대평가를 평정 방식의 원칙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선발적 목적과 함께 개정 2015 교육과정에서 공통교과 도입을 고려하여 고교 학점제에서도 상대평가 평정 산출을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고교 학점제에서의 교사의 학생평가와 수능의 평정 방식 조합에 따라 현행 대입전형별 영향력이 차별적으로 변동할 수 있음을 예상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 학점제에서의 평가 내실화를 위한 평가 정책의 방향으로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간의 연계성 강화, 평가 방법의 혁신성추구, 평가 목적과 결과 활용의 적합성 진작, 교육외적 요소의 영향력 최소화 방안의구안, 평가제도 운영의 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ssessment issues, raised by introduc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HSCS) and explore the possible reference standards. To do so, this study, firstly, discussed the assessment issues both in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ASA)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Secondly, this study explored three methods for examining test results, norm-referenced, criterion-referenced and mixed methods, which would have influence on the HSCS significantly. Lastly, it was discussed the impact of the combination of reference system in ASA and CSAT on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it was critical that the principle of the single grading system in the same subject and its assessment should be applied in order for the HSCS to be effective. In addi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give more power for teacher to assess the students with autonomous and professional ways. Furthermore, aligning the criterian-reference system with the HSCS would be more in line with the assurance of subjects’ choice. On the contrary, 1st high school grade could be more flexible of using the various reference system, given the fact that the common subjects were introduced in the revised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various way of combining reference system in ASA and CSAT would either enhance or diminish the certain type of college admis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principle of assessment in HSCS in terms of the alignment among the various assessments, innovation of assessment, fitness for purpose and use of tests, the minimiz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out of school factors, and the stability of running assessment system.

      • KCI등재

        영국의 공립학교 구조 개혁 : 아카데미의 자율성, 책무성, 협력적 거버넌스 측면에서

        김천홍 ( Chunhong Kim ),홍수진 ( Sujin Ho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공립학교의 아카데미 전환 정책의 배경, 내용, 특징 및 주요 쟁점을 분석하여 학교 구조 개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아카데미는 학력 저하 학교들의 성취 수준 향상을 위해 도입된 자율형 공립학교로서, 2022년까지 모든 초·중등 공립학교를 아카데미로 전환할 것을 공표한 후 다양한 논쟁이 진행 중이다. 분석 결과 영국의 아카데미 정책은 첫째, 국가수준의 학교 구조 개혁을 통해 교육 제 영역에 대한 혁신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특징이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육 재원의 사용, 교원 선발과 급여 수준 결정 등에 대한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폭넓게 부여하고 있다. 셋째, 아카데미는 내적 책무성과 성과주의 학교 책무성 체제 간의 제도적 긴장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넷째, 아카데미는 다양한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학교 간 협력 강화를 학교 발전의 핵심적 원리로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교육 개혁을 위해서는 학교 구조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단위학교의 자율성 강화는 학교 및 교사의 자율적 교육 활동 실천을 위한 역량과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제도적 지원 방안이 중요함을 제언하였다. 끝으로 단위학교의 자율성에 비례하는 명확한 학교 책무성 체제 구축과 함께 학교 간 협력적 네트워크 강화와 질 관리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hool reforms whereby which all maintained schools will convert to academies by 2022 in England. Although converting maintained schools to academies, the flagship education policy for educational reform in England, has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search on academy policy remains an under-explored area, and there is a noticeable lack of research exploring the background, key characteristics, impacts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The major findings show that the model of academization focuses on the educational structure to foster school innovation through school collaborative partnerships. The policy also emphasizes that school autonomy regarding curriculums, school management, initial teacher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s the driving force for school improvement. The academization model shares the feature of vertical and horizontal school accountability system. However it is apparently to enhance vertical aspect of accountability, resulting in the institutional tension between two different type of school accountability. Finally it is found that school-to-school collaborative governance is the underpinning principle of academization as the effective means in supporting underperforming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reflects on a number of issues related with the academization of maintained school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school reform in terms of school autonomy, accountability,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 KCI등재

        영국 국가교육과정평가 체제 분석과 시사점

        김천홍(Kim, Chun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영국의 ‘국가교육과정평가(National Curriculum Test: NCT)’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개정된 평가 체제를 분석하여 한국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재구조화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NCT의 제도적 변화 과정을 통시적 관점에서, 2016년부터 새롭게 실시된 NCT 체제를 평가 구성 요소 측면의 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영국의 NCT는 국가교육과정과 학교 책무성 정책과 긴밀히 연동되어 발전되어 왔으며 특히 책무성 목적을 위한 NCT 의 활용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어 왔다. 다음으로 개정 NCT는 PISA와 연계한 평가 문항이 구안되었고 초등학령 문해력과 수해력을 강조한 평가로 전환되었음이 확인 하였다. 이와 함께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NCT의 도구적 성격과 평 가 결과 공표 방법에 대한 지속적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학교 간 협력을 위한 정책기제로서의 활용이 확대된 특징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목적을 재정립하고 평가 목적에 부합하는 체제로 의 재구조화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역량중심 평가로의 전환을 위해 다양한 평가 도구 활용을 모색하고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와 연계한 평가 문항의 구안 필요성과 학생 표집 방법 변화에 따른 평가 실시 시기의 조정안을 제언하였다. 끝으로 교 실평가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정 체제를 일치시켜 고교 내신의 타당성 점검 및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과 단위학교의 자가 평가를 위해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study is to analyzing ‘National Curriculum Test(NCT)’ in England and find implications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n the Republic of Korea. Considering the procedures and contexts of the reform in NCT since 1988, this study analyzes the assessment framework and its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NCT: firstly, the purpose of holding schools and teachers to account has been emphasized, even though there are the various assessment purpose, such as recognizing levels of pupil achievement on a standardized basis, promoting pupil’s achievement level monito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econdly, new NCT is developed in line with 2013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n alignment with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Moreover, the scope of new NCT assesses literacy and numeracy in the key stage 1 and 2 more rigorous way. Thirdly, new NCT provides teachers with the specialized skills required to utilize test results and linked with developing assessment literacy effectively. Lastly, not merely for school accountability but for school improvement, new NCT will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inform school policy and ascertain the effects of education policy in the context of evidence-based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reorganizing NAEA in terms of purpose of assessment, test design, test subjects and frequency and timing of testing, reporting and the use of test results.

      • KCI등재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의 국내 공교육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천홍(Kim Chun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이하 IBDP)의 국내 공교육 도입에 대한 교육 정책적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IBDP 공교육 정책 실행과 효과를 다양한 교육주체와 연계하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사교육 및 교육 거버넌스 영역에서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정책 실행 측면에서 IBDP 공교육 도입은 IBO의 인증 및 운영비용이 매우 높고, IBDP 성적을 대입에 활용하기 위한 평가 기술적 선행 조건들이 복합적이며 교육 주체별 공교육 도입의 정책적 수용성 수준이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와 함께 정책 효과 측면에서 공교육에서의 IBDP 적용 대상의 타당성과 적절성 및 교육 형평성 측면에서 교육 기회 및 대입 활용에서의 차별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등교육 전반 의 교육 권한과 책임을 IBO에 위임해야 한다는 점에서 국내 교육정책 거버넌스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IBDP 국내 공교육 도입 주장은 그 실행을 위한 재정적 소요, 기술적 실현가능성, 교육 주체의 정책 수용성과 정책 도입의 효율성, 정책 파급성, 형평성에 대한 엄밀한 논의와 연구에 기초하여 재검토한 후 교육정책 실행 여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in Korean public school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policy, this study explored the mai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BDP, and then a two-pronged analysis, which focused on the issues surrounding its implementation and the effects of the policy, was conducted. In doing so, the various stake-holders and specified dimensions such as curriculum, assessment, teacher education and educational governance were taken into account.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cost incurred by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implementing the IBDP policy would be very huge and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using the IBDP score for the university admission seem to be low. In addition, the various stake-holders would not give enough support for the policy to be implemented. .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policy, the high demanding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aims of IBDP would not fit for the purpose if it was to be introduced in public schools located in socio-economically deprived area. It would also produce different opportunities of providing IBDP in school level and create inequalities of university admission in student level, due to the chances of applying to foreign universities with IBDP certificates. Moreover, substantial changes on education governance would be accompanied because the IBO will have th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ver curriculum, assessment and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ccredited public schools as IB World School.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introduction of IBDP in Korean public schools should be revised with rigorous research on the issues of policy implementation such as cost, technical feasibility, various actors’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n the targeted problem, equity on students’ group and influence on the other domestic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