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신장 ; 지방흡인술 시술과 관련된 횡문근융해증에 의한 급성 신손상 1예

        김채림 ( Chae Rim Kim ),홍문기 ( Moon Ki Hong ),남우진 ( Woo Jin Nam ),한민지 ( Min Jee Han ),수현 ( Su Hyun Kim ),도형 ( Do Hyo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1

        지방흡인술 시술은 점차 우리나라에서도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수술로, 수술 시 주의가 필요하다. 횡문근융해증의 조기 징후를 보일 때에는 빠른 뇨 검사와 혈액 검사를 통하여 횡문근융해증을 진단하고 충분한 수액 공급 및 이뇨제투여가 필요하다. 또한 수술 후에도 주의 깊은 관찰을 해야할 것이다. Rhabdomyolysis is defined as a skeletal muscle injury with release of muscle cell constituents into the plasma. It can occur invarious diseases and conditions, including muscle strain, drug or alcohol abuse, connective tissue disease, excess exercise, or followingsurgery. Only one case of rhabdomyolysis has ever been associated with liposuction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rhabdomyolysis that developed after liposuction surgery. The patient was a 39-year-old woman presenting with abdominal pain1 day after liposuction. She was treated with general supportive care, including massive hydration and absolute bed rest. Renal replacementtherapy was performed due to pulmonary edema. She, finally, recovered fully. Acute kidney injury caused by liposuction-induced rhabdomyolysis is a rare disease. Therefore, we presen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청소년 작업치료에 관한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의 인식도 분석: 대한민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배수빈(Su-Bin Bae),채림(Chae-Rim Shin),서효원(Hyo-Won Seo),이민경(Min-Gyung Lee),은택(Eun-Taek Kim),감경윤(Kyung Yoon Kam)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4 재활치료과학 Vol.13 No.1

        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의 청소년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3년 1월 9일부터 동월 13일까지 대한한국과 미국에서 작업치료를 전공하는학생 각각 55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관련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국문과 영문으로 작성되어 해당 국가 학생에게 제공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독립표본t-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 : ‘청소년 작업치료를 들어본 적 있는가(Q1)’에 대한 문항에 대한민국 학생은 65.5%가 ‘있다’라고답했고, 미국 학생은 58.2%가 ‘없다’라고 답했다. 양국 학생 모두 ‘청소년 삶의 질에서 청소년 작업치료의 중요성(Q10)’라는 문항에는 높은 평균점수를, 반면 ‘청소년 작업치료의 발전 현황(Q11)’에 대한문항에서는 낮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청소년 작업치료의 향후 발전 가능성(Q12)’에 대해서는 양국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5). 결론 : 양국 학생들은 청소년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발전 가능성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adolescent occupational therapy (AOT)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an online survey. Methods : Th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9 to 13, 2023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bout AOT among 55 students majoring in O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 online survey was formulated in Korean and English.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independent t-test. Results : In response to the question “Have you ever heard of AOT?”, 65.5% of Korean students answered yes and 58.2% of the United States students answered no. In both countries, the average score for the question “Can AOT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eenagers?” was the highest, while the score for “Is AOT sufficiently advanced in your country?” was the lowest. For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 of AOT,” the scores for the two countr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5). Conclusion : Students in both countries acknowledg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OT, but there were differences noted in terms of prospects of the therapy.

      • KCI등재

        증례 : 신장 ; 신이식 후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을 동반한 감염성 심내막염 1예

        홍문기 ( Moon Ki Hong ),도형 ( Do Hyoung Kim ),김채림 ( Chae Rim Kim ),홍준화 ( Joon Hwa Hong ),미경 ( Mi Kyung Kim ),수현 ( Su Hyun Kim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5

        저자들은 신장이식 후 면역억제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환자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과 함께 병발한 아스페르길루스 심내막염 1예를 경험하였다. 최근 면역억제제 사용이 증가하면서 면역 저하와 함께 기회 감염의 빈도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을 동반할 경우 면역 억제의 정도가 심해지면서 그 빈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아스페르길루스와 같은 진균 감염의 경우 혈액배양 검사에서 동정될 확률이 낮고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 사망률이 높음으로 기회 감염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가 진단 및 치료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Advances in immunosuppressive therapy have increased the survival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yet suppression of the immune system after transplantation can promote infectious complications. Cytomegalovirus (CMV) infection remain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lications following kidney transplantation and it is a risk factor for developing superinfections with other organisms. Aspergillus endocarditis is a rare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in kidney transplantation. Coinfection of CMV and Aspergillus endocarditis is rare worldwide and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Aspergillus endocarditis that developed in a patient with CMV infection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His clinical condition did not improve despite mitral valve replacement and empirical antibiotic treatment, but he was eventually treated successfully with antifungal agents for 6 weeks. (Korean J Med 2014;86:627-631)

      • 박물관 브랜드 마케팅 및 공간 프로모션 전략 -숙명여자대학교 내 정영양자수박물관 C·E·M 공간디자인을 중심으로-

        은애,예은,채림,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정영양자수박물관의 콘텐츠를 활용한 통합 브랜드를 개발함에 있어 브랜드·디자인 ·마케팅을 융합한 시점에서 바라보고 그래픽아이덴티티, 제품아이덴티티, 공간아이덴티티 통합브랜드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박물관 방문자들과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된 측면에서 도출된 ‘C·E·M’을 物, 事, 人, 場가 융합된 문화로 한정한다. 그 결과, ‘C·E·M’은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을 융합하여 로고 및 사인물의 그래픽디자인부터 제품디자인, 공간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객관성, 스토리성을 도출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가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더 체계화된 G·I, P·I, S·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향후 이와 관련된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오감각적 자극과 감성 브랜드 프로모션 공간 연출 디자인에 관한 연구 -마임 건강식품 알로주스 프로모션 연출을 중심으로-

        은애,예은,채림,진산,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최근 감성중심의 디자인 환경에서 화두되고 있는 ‘오감’을 활용하여 브랜드 프로모션 공간을 연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범위는 2017년 3월~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융합연출디자인>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4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물이다. 연구방법은 오감에 대한 문헌 연구와 융합연출 디자인 조사 정리한 사례 연구로 한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산업체 <마임>과 연계하여 오감을 융합하는 쇼케이스 프로젝트부터 실제 브랜드 프로모션 공간 연출에 이르기까지 건강식품에 대한 브랜드의 일관성과 감성, 스토리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오감 을 활용한 공간 연출 디자인으로, 브랜드와 실질적으로 융합하여 브랜드를 프로모션함에 있어서 감성적인 접근방안을 제시 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본 연구는 이와 관련된 공감각, 오감을 담은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과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공간 연출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