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좋은 대학 수업, 어떻게 할 수 있을까? : 광고홍보 전공 대학생 PR론 강의 변화 방안

        김찬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8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concrete way for good college classes. It is important to a developmental alternative for quality change of classes about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rough a case study of 'Public Relations' class which students majoring in strategic communications like Ad and PR. This study is based on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 is applied to this study. Class visibility, thinking muscle, loud class, self-esteem etc are emphasized as conditions for good university classes in this study. This study proposed 5 developmental ways for better classes; public relations class card, 10-minutes professorship, generalization of discussion, collaboration with mobile, 7 evaluation factors and feedback. It is meaningful to concretely propose good university classes based on a professor's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대학 수업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광고홍보와 같은 전략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많이 수강하는 ‘PR론’ 수업 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인문사회과학 수업의 질적 변화를 위한 하나의 발전적 대안을 찾 아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참여관찰법(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을 기반으로 하였 다. 본 연구는 ‘수업 가시성’, ‘생각 근육’, ‘시끄러운 강의실’, ‘자아존중감’ 등의 키워드에 기 반하여 좋은 대학 수업의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 ‘PR론 카드’, ‘10분간 교수되기’, ‘토론 일상 화’, ‘모바일과의 콜라보레이션’, ‘7가지 평가요소와 피드백’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변 화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교육 현장에 있는 교육자의 참여관찰에 의해서 좋은 대학 수업의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SMTCR 모델을 이용한 지질자원기술 연구성과 커뮤니케이션 방안 연구

        김찬석,김성용,Kim, Chan-Souk,Kim, Seong-Y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2

        본 연구는 지질자원기술 연구성과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주요 일간신문에 지질자원기술의 연구주체에 대한 보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 2) 지질자원기술 연구성과의 커뮤니케이션 상의 강점과 약점, 위기요인과 기회요인은 무엇인가? 3) 지질자원기술 연구성과 커뮤니케이션 과제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SMTCR (송신자-메시지-도구-경로-수신자의 유기적 관계)모델을 이용한 지질자원기술 연구성과의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ek communication programs of geo-technology R&D outcome. For thi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How much portion do KIGAM as the main body of geo-technology R&D among articles reported by major newspapers? 2) What are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factors of geo-technology R&D outcome from the communication view point? 3) What is the communication tasks and the communication ways for them? In conclusion, the communication programs of geo-technology R&D outcome using SMTCR(Sender-Message-Tool-Channel-Receiver) model were suggested.

      • KCI등재

        지질자원기술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홍보 전략 및 방안 연구

        김찬석,김성용,이재록,Kim, Chan-Souk,Kim, Seong-Yong,Lee, Jae-Roc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6

        본 연구는 서울과 청주에 거주하는 일반 국민들의 지질자원기술과 연구성과 인식 정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지질자원기술 및 연구성과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질자원기술 위상 제고를 위한 홍보 전략과 방안을 SMTCR 모델에 입각하여 도출하였다. 실행주체(S) 측면에서는 홍보위원회 운영 및 홍보가산점 평가제, 메시지 창출(M) 측면에서는 미디어 캐러반 투어 및 지질자원기술 관련 기고문 활성화, 도구 및 채널(T/C) 측면에서는 지질과학대상 신설 및 지구과학의 해 활용, 공중 반응(R) 측면에서는 공중 반응 측정 상시화 및 홍보 목표/실적 주기적 평가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public recognition of geo-technology and its outcome. On the basis of the study, the task of PR/communication to promote status of geo-technology and the PR program by stage(SMTCR) for strategy of geo-technology outcome were suggested as follows; operation of PR committee and plus-one appraisal system on a sender scope, media caravan tour and opinion editorial for geo-technology on a message scope, geoscience award and active use of "the year of earth science" on a tool and channel scopes, and regular measurement of public response and regular appraisal of PR goal/results on a receiver scope.

      • KCI등재후보

        노인에서 인지능 평가를 위한 전산화 캠브리지 신경인지검사법의 유용성: 예비연구

        김찬석,이진영,하태현,최재혁,유은미,이선주,이호원,박미영 대한노인병학회 2009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3 No.2

        Background: We selected a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the Cambridge Neuropsychological Test Automated Battery (CANTAB), along with other conventional neuropsychological tes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CANTAB's usefulness in diagnosing dementia in the elderly and to compare it with conventional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kits. Methods: We recruited 17 dementia patient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or vascular dementia for the dementia group and 52 healthy persons who met our criteria for the control group. We administered four CANTAB subtests to assess their cognitive functions along with the conventional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which includes the Rey-Osterreith Complex Figure Test (RCFT) to assess visual memory. The four CANTAB subtests chosen were big/little circle (BLC), paired associates learning (PAL), spatial recognition memory (SRM), and spatial span (SSP). Results: The dementia group showed impairment on the PAL and SRM tasks. The results of the other two subtes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adjusted total errors on the PAL task was higher in the dementia group (130.88) than in the control group (51.38),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percentage of correct response on the SRM task was lower in the dementia group (58.75%) than in the control group (67.25%),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 We also compared the correlations of the CANTAB subtests with the RCFT parameters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and recognition). Aga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L task correlated well with these three parameters (r=-0.59, -0.60, and -0.56,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ANTAB was useful for assessing cognition in the elderly. In particular, the PAL task, which correlated well with the RCFT parameters, can be used to assess visual memory. It showed to be a valuable tool in diagnosing dementia.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치매의 진단에 있 어 Cambridge Neuropsychological Test Automated Battery (CANTAB)를 이용한 전산화 신경심리 검사의 유용성을 알 아보고, 기존의 신경심리 검사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방법: 2007년 5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대구 수성구에 거 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검사를 위해 병원에 내원한 사 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로 진단된 17명을 치매군으로 구성하였고, 정상 인지기능을 보이는 52명을 본 연구의 선별기준에 의거하여 정상군으 로 구성하였다. 모든 피검자에게 시각적 기억력을 평가하 는 Rey Osterreith Complex Figure Test (RCFT)가 포함된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등의 신경심리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어서 CANTAB을 시행하였다. 연 구에 이용된 CANTAB 과제는 Big/Little Circle (BLC), Paired Associates Learning (PAL), Spatial Recognition Memory (SRM), Spatial Span (SSP)이다. 결과: PAL 과제에서 조정오류횟수는 치매군에서 130.88 회, 정상군에서 51.38회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SRM 과제의 정반응의 백분율 또한 치매군에서 58.75%로, 정상군의 67.25% 보다 의미있게 낮았다. BLC, SSP 과제들은 두 군 간 의미있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또, 시각적 기억력을 검사하는 기존의 신경심리검사법인 RCFT 와 비교하였을 때 PAL 과제는 RCFT의 세부변수(즉각회상, 지연회상, 재인점수)와 각각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CANTAB은 국내에서 치매의 진단을 위한 신경심 리검사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특히 PAL 과제는 RCFT와 유사하게 시각적 기억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 며, 초기의 치매환자들에서 유용한 평가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R이론과 과정, 그리고 전략에 관한 일고찰

        김찬석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기존 연구 문헌을 통해 PR 이론과 PR 과정, 그리고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PR의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는 한편 PR 실무에 있어서 PR의 과정과 공중에 관한 전략을 기획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PR 이론은 크게 체계이론과 상황이론을 바탕으로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는데 이 이론들을 실무와 연관시켜 유용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체계이론은 행동적 공중들의 조직에 대한 입력요인을 왜 PR 실무자가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상황이론의 경우 공중은 무엇이며 어떻게 형성되는지, 공중에 따른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PR 전략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답을 함으로써 목표 공중을 선정하여 공중의 특성별로 접근하는 대인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핵심이론이 된다. 우수이론은 우수한 조직이 커뮤니케이션 관리나 PR의 우수성이 높음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PR 프로그램이 연구-기획-행동-평가라는 기초위에서 관리될 때 PR 활동이 갖는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PR 전략은 다양한 공중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메시지를 보낼 것인가의 문제로서 공중별 전략과 상황별 전략으로 나눈다. 이는 허브와 스포크라는 두 측면에 대한 강조로 조직의 PR 전략의 요체이기도 하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previous literature relating to PR theory, process, and strategy in order to encourage the academic discussion of PR and help plan PR process managements and PR strategies to publics. PR theory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system theory and situation theory. These theories have some usefulness in relation to PR practice as follows; System theory provides an answer to the question why PR practitioners have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public and organization. Situation theory gives clues to long-standing discussions, for example, who is public?, and what is an effective communications approach and strategy by public? So, it becomes a core theory of human communications by selecting targeted audiences and approaching them upon its characteristics. The effectiveness of PR programs can be realized when they should be managed by scientific management process, research-planning-action-evaluation. PR strategy, as a scheme how to build relations with various stake-holders around an organization and to deliver its message to them, consists of strategy for public and strategy for situation. This is an important thing emphasizing on two aspects of hub and spoke.

      • 비영리조직의 자원봉사 홍보 방법론

        김찬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비영리 조직 경영에서 필수적인 자원봉사에 대한 홍보 전략 및 방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자원봉사에 대한 미디어 보도가 어떻게 프레이밍 되는 지를 15가지로 살펴보았으며, 자원봉사 홍보에는 메시지의 다양성과 비주도성, 타이밍 설정의 전향성, 타깃 공중의 포괄성, 매스미디어 중심의 매체활용 등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비영리 조직의 홍보 전략과 방법을 제안하고 토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ublic relations strategy and methods of volunteerism which is essential in the non-for-profit organization management. This study examined media coverage on volunteerism with 15 frames, so it is described that its characteristics are diversity and non-initiative of message, proactivity of timing, extensivity of target, mass media-focused orientation. And public relations strategy for non-for-profit organization's volunteerism is proposed and discussed.

      • KCI등재

        PR실행에 관한 연구 메시지, 타이밍, 공중 접촉, 매체를 중심으로

        김찬석,김철호 한국PR학회 2007 홍보학연구 Vol.10 No.3

        Executing PR is actualizing 2W2H. 2W2H is a phrase abbreviating ‘What to say,’ ‘When to say,’ ‘How to contact,’ and ‘How to deliver.’ In other words, it is about making and delivering a message with the concepts of ‘when,’ ‘to whom,’ and ‘with which medium.’ It is the stage of executing internal decision-making related to PR, and the process of executing PR planning papers prepared through the stages of researching and action planning. The ability of forming a message can be extended through exercising message forming, and it consists of ‘30-3-30,’ ‘building a message house,’ ‘EOB,’ and ‘forming a message at a crisis.’ Setting proper timing can be divided into absolute timing and relative timing. Contacting targeted public requiresquickness, two-way communication, understanding the public’s feelings and emotions, overcoming prejudice and stereotypes, and forbearance of using negative words. Selecting and using media requires reminding ‘2 hours S-R media policy’ and the principle of ‘small efforts make big results’ to increase the level of relationship with the media. PR실행이란 2W2H를 구체화시키는 일이다. 2W2H란 What to say(메시지), When to say(타이밍), How to contact(타깃 공중 접촉), How to deliver (매체 선택 활용)의 영문 첫 자를 따서 줄인 말이다. 즉, 메시지를 만들어 이를 언제, 누구에게,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전달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이는 PR과 관련된 조직 내부의 의사결정을 실행하는 단계로서 연구(research)와 기획(action plan) 단계를 거치면서 준비된 PR기획서가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겨지는 과정이다. 메시지 구성하기는 메시지 구성 훈련으로 그 능력이 신장될 수 있는데, 여기에는 30-3-30원칙, 메시지 집짓기, EOB 법칙, 위기 시 메시지 구성 등 네 가지 요령이 있다. 타이밍 설정하기는 절대적 타이밍과 상대적 타이밍으로 구분된다. 타깃 공중 접촉하기에서는 신속성과 쌍방향성, 공중의 감정과 정서 이해, 편견과 고정관념의 극복, 부정어 사용 자제 등이 요구된다. 매체 선택 활용하기에서는 ‘2 hours S-R media policy’와 수적천석 원리 등을 상기해야 한다.

      • 홍보의 개념 및 목적 등에 대한 사회복지 실무자의 인식

        김찬석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7 No.2

        이 연구는 사회복지 실무에 있어서 홍보의 개념과 목적, 그리고 홍보활동의 내용과 장애 요인에 대해서 사회복지 실무자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조사는 장애인 복지 실무자 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2005년 5월 12일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보를 관계의 유지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홍보의 목적은 공중들로부터 자원봉사와 기금모금 등의 조직의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해 인적, 물적 자원을 제공받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홍보 활동을 자신이 속한 조직의 소개에서 시작하여 소식지 발간, 자원봉사자 모집, 부정적 인식의 개선 활동, 기금 모금, 행사개최 등까지 폭넓게 전개하고 있 었다. 이 연구는 먼저 사회복지 활동에서 홍보의 개념을 명확히 하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recognition on concept, purpos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nd obstructive factor of public relation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e survey targeting 92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for the disabled was don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ublic relations is regarded as the maintanance of relation. Secondly, the purpose of public relations is understood to be given resources for volunteer work and fundraising. Thirdly, public relations activities have been taken multip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clarify the concept of public relation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