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모드 광대역 Tonpilz 트랜스듀서의 설계 및 제작

        김진욱,김회용,노용래,Kim, Jinwook,Kim, Hoeyong,Roh, Yongrae 한국음향학회 2013 韓國音響學會誌 Vol.32 No.3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Tonpilz 트랜스듀서를 설계하고, 설계 결과의 타당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광대역 주파수 특성을 이루기 위해서 전면추의 flapping 모드를 트랜스듀서의 종방향 공진 모드와 결합시켰으며, 유한요소 해석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어진 설계조건, 구동조건 하에서 가장 넓은 송신 비대역폭(fractional bandwidth)을 확보할 수 있는 트랜스듀서의 최적 구조를 설정하였다. 최적화된 구조는 단일모드 트랜스듀서에 비해 월등히 넓은 -6 dB 송신 비대역폭을 나타내었다. 설계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도출된 최적 구조대로 트랜스듀서 시험편을 제작하여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는 설계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In this paper, we designed a wideband Tonpilz transducer,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design through experiments. The wide frequency bandwidth was achieved by coupling the fundamental longitudinal mode of the transducer with a flapping mode of the head mass. Structure of the Tonpilz transducer was optimized by means of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genetic algorithm to achieve the widest fractional bandwidth under design constraints. The optimized structure showed a far wider -6 dB fractional bandwidth of transmitting responses than that of single mode transducers. For verification of the design result, we manufactured a transducer prototype of the designed structure and characterized its performance, which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design results.

      • KCI등재

        수직 배열된 원형 코일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 계산 및 해석

        김진욱(JinWook Kim),손현창(Hyeon-Chang Son),김도현(Do-Hyeon Kim),김관호(Kwan-Ho Kim),박영진(Young-Jin Park) 한국전자파학회 201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2 No.10

        본 논문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원형 코일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 계산 방법과 이를 이용한 해석 결과를 제시한다. 두 원형 코일은 수직으로 배열되었다. 상호 인덕턴스 계산을 위해 수직 배열된 수전부 원형 코일의 면적을 일정한 높이의 단위 셀로 나누고, 각 단위 셀에 쇄교하는 자속 밀도를 구하여 상호 인덕턴스를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 두 원형 코일을 필라멘트 코일로 모델링하였고, 각 코일에서의 전류는 균일 하다고 하였다. 검증을 위해 헬리컬, 스파이럴 형태로 두 원형 코일을 제작하였고, z 방향의 간격이 50~100 cm인 구간에서 상호 인덕턴스를 측정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이론값과 일치하였다. In this paper, calculation method of mutual inductance for two circular coils which are widely used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analysis results using the method are proposed. Two circular coils are arranged in a perpendicular way. For calculation of the mutual inductance, an Rx coil placed perpendicularly with the other coil is uniformly subdivided into many unit cells and both magnetic flux density linked with the Rx coil at each unit cell and the total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Rx coil are obtained. Two circular coils are considered as a filamentary coil and uniform current density on each coil is assumed. For verification, helical and spiral coils are fabricated. As a result of measurement in 50 cm to 100 cm distance, theoretical mutual inductance is almost agreed with measured one.

      • KCI등재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 효과

        김진욱 ( Kim Jinwook ),유미선 ( You Misun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4

        본 연구는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포함된 중학생 1,622명을 분석하였다. 신뢰도,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조절효과 검증 방법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을 분석한 결과 평일과 주말 모두 미디어, 게임 및 놀이, 교제활동, 스포츠 순으로 시간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게임 및 놀이, 미디어에 여가시간을 사용하고 있으며, 여학생은 미디어, 게임 및 놀이, 교제활동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은 평일보다 주말이 더 높았으며,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혼합모형과 남학생 모형에서는 교제활동, 미디어, 게임 및 놀이가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학생 모형에서는 미디어와 교제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여가 유형별 사용 시간과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 관계에서 성별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미디어와 게임 및 놀이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제활동과 스포츠는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즉 미디어, 게임 및 놀이 시간이 증가할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행복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ime spent by leisure type on subjective happ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o this end, 1,622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2019 living time survey were analyzed. To this end, 1,622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2019 living time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ion effect verificatio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ime spent by leisure typ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both weekdays and weekends, media, games and play, social activities, and sports spend a lot of time. The female stud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media, games and play, and social activities. Seco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on weekends than on weekdays,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ime spent by leisure type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mixed model and male student model, social activities, media, games, and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female student model, it was found that media and soci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gender contro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time of each leisure type and the subjective feeling of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media, games, and play, but not in social activities and sports.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as media, games, and play time increased, men’s subjective happiness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for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梅泉 黃玹 漢詩에 投影된 民衆觀 硏究

        김진욱(Kim Jinw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논문은 한시 작품에 투영된 매천의 민중관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매천 한시에 나타난 민중의 양상을 먼저 고찰하였다. 철저한 조선조 유자였던 매천은 첫째 민중을 관념 속의 정형화된 틀로서 인식하였다.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민중이 그의 작품 속에서는 시화되었다. ‘있음의 세계’는 종종 부정되었고, ‘있어야 할 세계’를 관념 속에서 현재화한 것이다. 둘째 역사가이기도 했던 매천이기에 현실 속의 민중 역시 그의 한시 작품에는 존재하였다. 그는 현실에서 고통 받고 있는 백성의 삶을 직시하였고, 그 안타까움을 시화하였다. 이러한 작품 속의 백성들은 더 이상 관념의 대상이 아니었다. 艱難한 백성의 삶을 세밀하게 그려낸 매천의 작품 역시 그의 인식의 산물이었다. 매천의 한시 작품에는 관념 속의 백성 못지않게, 살아 있는 현실 속 백성들이 함께 존재하였다. 이러한 이질적인 요소가 공존할 수 있었던 것은 작가 삶의 이력과 시대적 영향이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이 매천 문학의 중요한 특성이다. 매천 한시 작품에 나타난 민중을 매천이 어떻게 시화하였는가를 고찰하였다. 매천의 민중관을 고찰하기 위해서였다. 매천이 민중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를 한시 작품을 통하여 살펴보는 것이 본 논의의 주요 목적이기 때문이다. 매천은 과거를 포기하고 구안실로 칩거한 이후 빈한한 삶을 살았다. 그래서 매천은 비록 신분이 양반이었지만, 현실적 삶은 민중이었다. 매천은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시로 많이 창작하였다. 시에 나타난 매천의 모습은 민중 그 자체였다. 이처럼 매천은 양반이면서 민중적 삶을 살았다. 매천은 민중을 자신과 더불어 오늘을 살아가는 존재로 인식하였다. 매천에게 민중은 또 하나의 나였다. 매천은 관리에게 수탈당하고, 일제에 의해 침탈당한 민중의 삶을 시화했다. 매천은 분노했지만 作詩 이상의 실천적 방도는 강구할 수 없었다. 매천에게는 수탈당하고 핍박 받는 민중만이 존재하였다. 그들에 대한 연민은 분노가 되었고 책임이 되었다. 이것이 매천의 민중관이다. 매천에게 민중은 수탈당하는 존재, 그래도 오늘을 가장 열심히 사는 존재였다. 그래서 매천에게 민중은 연민의 대상이었고, 선비의 한사람인 본인이 책임져야할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aecheon’s view of the people projected on a Hansi. To this end, the aspects of the people in the Hansi of Maecheon were examined first. Maecheon, who was a thorough Joseon Yuja, first recognized people as a standardized framework in the idea. People who did not exist in reality were poetic in his work. The “world of being” was often denied, and the “world that should be” was made present in the notion. Second, real people also existed in for Maecheon’s temporary works as a historian. He witnessed people suffering in reality and expressed his sorrow. The people in these works were no longer the object of ideas. Maecheon’s works, depicting the lives of poor people in detail, were also a product of his recognition. In Maecheon’s Hansi work, people in the lived reality existed as well as conceptual people. The reason that these disparate elements could coexist is probably the life history of the artist and the influence of the times worked. Thi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Maecheon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how Maecheon Hansi portrayed the people in the works of Maecheon Han Poetry. It aimed to examine the public view of Maecheon. This is because the main purpose of this discussion was to examine how Maecheon perceived people through a Hansi work. Maecheon lived a poor life after giving up his past and started living in a guan room. Therefore, although Maecheon was from a noble class, his real life was people. Maecheon has sincerely created many poems from his own stories. The appearance of Maecheon in the poem was the people themselves. Thus, Maecheon lived a common life while being from a noble class. Maecheon recognized people as beings who lived today with him. To Maecheon, the p eople were “another me.” Maecheon portrayed the lives of the people who were exploited by officials and invaded by Japanese imperialism. Maecheon was angry, but he could not come up with more practical measures than the poem. Maecheon portrayed that only the people who were exploited and persecuted existed. Compassion for them developed into anger and responsibility. This was Maecheon’s v iew of people. To Maecheon, people were being exploited, but still living the hardest life today. Therefore, to him, the people were the object o f compassion, and h e perceived it as h is responsibility a s a scho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