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항지진의 피해 결과를 반영한 기존 저층 필로티 건물의 지진취약도함수

        김진영,김태완,Kim, Jinyoung,Kim, Taewan 한국지진공학회 2021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25 No.6

        Current seismic fragility functions for buildings were developed by defining damage state threshold based on story drift concerning foreign references and using the capacity spectrum method based on spectral displacement. In this study, insufficient details and dependence on the core location of piloti-type buildings were not reflected in the fragility function because it was developed before the Pohang earthquake. In order to develop an improved one for piloti-type buildings, several types of core were selected, damage state threshold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apacity of structural members, and three-dimensional analyses were utilized. As a result, seismic fragility functions based on spectral acceleration were developed for various core locations and different shear strengths of the column stirrup. The fragility of piloti-type buildings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core location, an additional single wall, and whether the contribution of column stirrup was included or not. To estimate fragility more reasonab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parameters to reflect actual state well.

      • KCI우수등재

        지하수위와 세립분 함유량에 따른 지반함몰 메커니즘

        김진영,이성열,최창호,강재모,강권수,정효진,홍재철,이재수,백원진,Kim, JinYoung,Lee, SungYeol,Choi, ChangHo,Kang, JaeMo,Kang, KwonSoo,Jeong, HyoJin,Hong, JaeCheol,Lee, JaeSoo,Baek, WonJin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9 No.5

        Recently, ground subsidence frequently occurs in downtown area. The major causes of the subsidence on the subsurface were the damages of the water supply and sewer pipelines and excavation works in adjacent areas, etc. Because of these various factors, it is not easy to analyze the tendency of occurrence of ground subs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ground subsidence by the change of the fine particle content and ground water level and to establish the ground subsidence mechanism. In this study, a model soil-box was manufactured to simulate the failure of the old sewer pipe which is one of the causes on ground subsidence. And a model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ne contents and ground water level on the cavity occurrence. From the test results, firstly the higher the ground water level, the faster the primary cavity is formed as the seepage stress increases. As a result, the secondary cavity and the ground subsidence rapidly progress due to the relaxation of the surrounding ground. The total amount of discharged soil was decreased as the fine content increased.

      • KCI등재

        묵시적 가중 예측기법을 이용한 저 메모리 대역폭 인터 예측기 설계

        김진영,류광기,Kim, Jinyoung,Ryoo, Kwangki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12

        In this paper, for improving the H.264/AVC hardware performance, we propose an inter predictor hardware design using a multi reference frame selector and an implicit weighted predictor. previous reference frame are reused for Low Memory Bandwidth. The size of the reference memory in the predictor was reduced by about 46% and the external memory access rate was reduced by about 24% compared with the one in the reference software JM16.0. We designed the proposed system with Verilog-HDL and synthesized inter predictor circuit using the Magnachip 0.18um CMOS standard cell library. The synthesis result shows that the gate count is about 2,061k and the design can run at 91MHz.

      • KCI등재

        K-means 알고리즘과 GBR 알고리즘을 이용한 정수장 응집제 투입률 결정 기법

        김진영,강복선,정회경,Kim, Jinyoung,Kang, Bokseon,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6

        In this paper,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the coagulant input rate in the drug-injection tank during the process of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was derived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predic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analysis of big data technology and AI algorithm application methods and existing academic and technical data were reviewed to analyze and review application cases in similar fields. Through this, the goal was to develop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the coagulant input rate and to present the optimal input rate through autonomous driving simulator and pilot operation of the coagulant input process. Through this study, the coagulant injection rate, which is an output variable, is determined based on various input variables, and it is developed to simulate the relationship pattern between the input variable and the output variable and apply the learned pattern to the decision-making pattern of water plant operating workers.

      • KCI등재

        분자동역학 해석 기반 가교율에 따른 에폭시 폴리머의 항복 표면 형상 평가

        김진영,박형범,Jinyoung Kim,Hyungbum Park 한국복합재료학회 2023 Composites research Vol.36 No.5

        본 연구에서는 복합소재의 기지재로 활용되고 있는 에폭시 고분자의 가교율이 항복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동역학 해석을 통해 평가하고자 한다. 분자동역학 해석을 활용하여 가교율에 따른 에폭시 모델을 형성한 후, 상온-대기압 조건하에서 단축 변형 해석 및 평면응력 조건을 고려한 다축 변형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 데이터를 통하여 가교율에 따른 영률, 항복점, 항복표면, 그리고 경화지수를 도출하였다. 해석 결과, 영률 및 응력은 기존 선행 연구들에서 조사되었듯이, 가교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다축 변형 시에는, 이러한 가교율과 도출된 응력간의 관계가 하중의 방향에 따라 의존적임을 확인하였는데, 가교율이 증가할수록 단축 인장 영역에 비해, 이축 압축 영역의 항복표면은 빠른 속도 팽창하였으며, 이로 인한 항복표면의 상이함을 관측하였다. 이를 통해, 고분자 소재의 항복 표면의 압력의존성은 소재의 가교 정도에 의존적이며, 항복이 진행될수록, 압력의 존성은 동일 소재 하에서도 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실증분석을 통한 감사원의 부패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 지자체와 공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영(Kim, Jinyoung),심재승(Shim, Jaeseung) 한국부패학회 2019 한국부패학회보 Vol.24 No.4

        본 논문은 실증분석을 통해 감사원의 부패예방 공공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패는 없을 수 없지만 부패를 예방하는 노력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필요한 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부정이나 비리 문제로 감사를 받고 감사원으로부터 처분을 받은 기초자치단체와 공기업의 각각 2곳을 선정하여 해당 기관의 감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부패발생원인, 부패예방의 대응방안을 비교하고 근절 대책을 감사원의 감사활동 효과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특히, 구성원들이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집단 내의 사건의 맥락 흐름 구조 속에서의 감사 전후의 구성원들의 인식이나 제도 변화의 심층적 분석을 위해 현상 이면의 가치체계를 파악할 수 있는 질적 연구 방법을 시도했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effect of the audit office’s corruption prevention roles on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through empirical research. Despite the fact that it is hardly possible to remove corruption completely, the effort to reduce the corruption is still necessary. This article explores the effect of audit activity that attempts to prevent said corruption. As part of this research, four institutions were selected: two local governments and two public enterprises. All institutions were subjected to disciplinary measures for corruption scandals in various ways. The effectiveness of these countermeasures for the four institutions were compare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erception of the staff and also the systematic changes required in audit activity using qualitative methods.

      • KCI등재

        잠재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교육과 건강의 궤적 간 관계 분석

        김진영(Kim Jinyoung)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2

        동일인을 여러 시점에 걸쳐 조사하는 패널 조사는 개인 내 건강의 변화와 같은 예처럼, 특정결과의 시간에 따른 궤적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잠재성장곡선 모형은 그러한 개인 내 궤적의 개인 간 차이를 연구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론적 모형으로, 특히 결과치가 주관적 척도로 조사된 경우 측정오차를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화벡터 접근이란 잠재성장곡선 모형과 단기간의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특정 결과의 장기간 생애과정에 걸친 궤적을 연구하는데 사용되는 접근으로 광범위한 연령 코호트가 포함되어 있는 자료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6차년도부터 8차년도에 걸친 자료를 이용하여 교육수준에 따라 주관적 건강상태의 궤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만 25세 이상 연령 집단에 대해 검토한다. 노화벡터 접근을 이용한 결과에 따르면, 고졸미만 집단의 경우, 20~30대와 노년에 건강이 악화되는 궤적을 보인 반면, 중년의 경우는 별 변화가 없었다. 고졸 집단의 경우, 전 연령대에서 건강이 악화되는 궤적을 보이며 청ㆍ장년 집단의 경우 코호트 간 추세가 거의 없기에 연결된 벡터들을 통해 청ㆍ장년기 전체에 걸친 건강의 궤적을 파악할 수 있었고, 노년 집단의 경우는 건강이 타집단보다 많이 악화되는 변화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대이상 집단의 경우, 20~30대는 건강이 악화되는 궤적을 보인 반면, 중년과 노년 집단에서는 건강이 오히려 향상되는 궤적을 보였다. 누적적 이익 가설은 교육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에 누적적 차이를 가져와 교육집단 간 건강 격차가 성인기의 전 생애과정에 걸쳐 증대됨을 제시한다. 본 연구 결과, 중년기와 노년기에 대학수준 집단과 그 이하 집단들 간 건강 궤적이 분기할 뿐 아니라 노년집단에서 그 건강 격차 증대의 정도가 더 강화되었기에 대체로 누적적 이익 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표적인 사회경제적 지위의 지표 중 하나인 교육수준이 전 성인기에 걸쳐 건강에 누적적 차이를 가져오는 완강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Panel study, in which data are collected from the same persons at several points in time, can examine a trajectory of an outcome, such as health, over time within a person. Latent-growth-curve modeling is an effective method to study between-person differences in the trajectory, and it has an advantage to adjust for measurement errors when the outcome is subjectively measured. The aging-vector approach is a method to study inter-cohort trends or long-term life-course trajectories using growth-curve modeling and short-term panel data for a broad range of age-cohorts.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from 2003 to 2005, this study examines education-based differences in trajectories of self-rated health for adults aged 25 years and more. The results from the aging-vector approach, displays that the health of those with less than a high school diploma gets worse over time for younger/older adults but no change for middle-aged adults. The health of high school graduates gets worse for all age groups and there is no inter-cohort trend for young and middle-aged adults, providing the long-term health trajectory over young and middle adulthood. The health changes for older adults are worse than other groups. And, there are inter-cohort trends disfavoring the older adults. Finally, the health of those at college level gets worse over time for younger adults but gets better for middle-aged/older adults. There are inter-cohort trends favoring the middle-aged/older adults. The cumulative advantage hypothesis suggests diverging education-based gaps in health over time. The results in this study support the cumulative advantage hypothesis because the initial health gap between those at college level and high school graduates or less diverges over time in most adult age groups.

      • KCI등재
      •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갈등해결 교육의 효과

        김진영(Jinyoung Kim)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논총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인 갈등해결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사회적인 갈등해결 능력의 구성 요인으로 정서조절, 사회적 기술, 공감능력, 사회적 성향, 대인 관계 능력을 선정하였고, 갈등해결 전략은 절충 및 협력, 양보, 회피, 지배전략 중 절충 및 협력 전략을 증가 시키는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경기도에 위치한 모 초등학교 2학년 두 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 나머지 한 개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고, 실험을 시작할 시점에 실험집단 아동은 40명, 통제집단 아동은 39명이었으나, 전학을 가거나 설문지를 누락시킨 부분이 많은 아동은 배제하여 실험집단 아동 37명, 통제집단 아동 36명만 통계적 처리를 하였다.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경우에는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사전검사 점수의 영향을 배제한 공변량분석(ANCOVA) 을 실시함으로써 갈등해결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였다.<BR>  연구의 결과 공감 능력은 p<.01 수준, 대인관계는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었고, 정서조절, 사회적 기술, 사회적 성향은 p<.001 수준에서 통계적인 의의가 있었다. 이연구 결과는 인지적 영역과 마찬가지로 정의적인 영역도 학교교육을 통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의 기초가 되는 갈등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있는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학교교육과정 중에 가르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갈등해결교육 결과 갈등해결전략의 경우는 ‘절충 및 협력’ 전략과 ‘회피’전략에서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고, ‘양보’전략과 ‘지배’전략에서는 통계적인 의의를 보이지 않았다. ‘양보’ 전략과 ‘지배’전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은 연구결과는 저학년 아동의 자기 중심적인 경향이 단기간의 교육으로 학습되기 어려운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저학년 아동의 경우 갈등해결 전략교육에서 자기중심성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내용에 대한 단계별 연구의 필요성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onflict-resolv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 developed 12 sets of social conflict-resolving program. The social conflict-resolving program consisted the students" abilities of emotional control, social skill, sympathy, social attitude, personal relation, and conflict resolving strategy.<B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executed the multivariate analysis and ver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 by the subordinate elements of each area.<BR>  The result of the study are follows:<BR>  Firs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social conflict-resolution than control group.<BR>  Second, the experiment group did not show higher conflict resolving strategy than control group.<BR>  As a conclusion the social conflict-resolving educ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conflict-resolving but partially effective in elements of conflict resolving strategy.

      • KCI등재

        교육수준과 건강의 관계: 소득과 통제감의 매개효과 비교

        김진영(Jinyoung K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19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1

        It is well known that the sense of control is an important mediator linking education to health in the US. The human capital hypothesis that education fosters psychological resources and provides benefits to health is applicable to the US. An alternative is the credentialism hypothesis that education as a symbolic credential rather than human capital increases income and provides benefits to health. The third is the compromise hypothesis that the sense of control and income play a similar level of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health. These hypotheses were examined with data from the Korea Health Inequality Study and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028 adults). In the results, the third hypothesis was supported. In comparison with the finding of US studies, the mediating role of personal control was smaller and that of income was greater in South Korea. These results imply that both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the credentialism theory are applicable to South Korea. 미국의 경우 교육수준과 건강의 관계를 매개하는데 있어, 통제감과 같은 심리적 자원이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교육이 심리적 자원을 육성하여 건강에 이로움을 준다는 인적 자본론은 미국에 잘 들어맞는 가설이다. 대립 되는 가설은 교육이 인적자본을 육성하기보다는 학력이 라는 상징자본을 통해 소득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건강 혜택이 있다는 학력주의 가설이다. 세 번째 가설은 교육과 건강의 관계에서 통제감과 소득이 유사한 수준의 매개역할을 한다는 절충가설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성인에 대한 대표성을 갖는 한국건강불평등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9세 이상 2,028명이다. 결과에 따르면, 미국과 달리 한국에서 통제감과 가구소득의 매개역할은 유사한 수준이었다. 미국과 비교하여, 통제감의 매개역할은 더 작고 소득의 매개역할은 더 컸다. 한국에서는 학력주의로 인해 교육이 소득을 높이는 측면이 좀 더 강한 것으로 보이며, 소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적자본론이 우세한 미국과 달리, 한국의 경우 인적자본론과 학력주의론이 함께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함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