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레이저 광압력을 이용한 원자의 냉각과 포획

        김진승,장수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1 基礎科學 Vol.14 No.2

        레이저 광압력을 써서 나트륨 원자선다발을 감속시키고, 냉각시키며, 허공에 붙잡아두는 일과 관련된 이론과 실험에 관해 설명하였다.

      • KCI등재

        A Theory of Scalar Wave Scattering by a Circular Cylinder and a Planar Substrate

        김진승 한국물리학회 2017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0 No.6

        The problem of scalar wave scattering by a cylinder on or near a planar substrate is analytically solved. The solution is in the form of a coupled set of linear equations relating the coefficients of scattering and transmission of the cylinder and those of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planar substrate. The coupling is due to the process of multiple scattering by the two objects. Iterative substitution gives the solution in the form of a set of infinite series, and each term explicitly shows the effect of multiple scattering of increasing order.

      • UV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올리고머와 응용

        김진승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광경화란 일반적으로 광의 조사에 의해서 광개시제(photoinitiator)로 부터 생성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이나 양이온(cation)에 의해 개시반응이 시작되어 반응성을 가진 단량체(monomer)나 올리고머(oligomer)가 연속 반응을 통해 경화되는 과정이다. 자외선(UV, ultraviolet)이나 가시광선(visible ray) 또는 전자빔(EB, electron beam) 등을 이용한 광경화중에서 상업적으로는 대부분 자외선을 이용한 경화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자외선이 상온에서 국소부분에 조사하여 짧은 시간에 경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른 에너지 절감, 생산비 절감과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공해문제가 해결되며 원료의 손실없이 100% 고형분의 형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외선 경화기술로 얻어진 제품은 고광택, 내후성, 내충격성 등이 뛰어난 물성을 가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용 잉크, 플라스틱, 목재, 금속 등에의 코팅, 광학, 전자재료, 의료용, 홀로그램 저장 매체, 접착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외과적 감염 환자에 대한 Dibekacin Sulfate의 임상적 고찰

        김진승,이조현,박정수,민진식 中央醫學社 1976 中央醫學 Vol.30 No.5

        Dibekacin sulfate is a new aminoglycoside antibiotic which is effective for kanamycin resistant organisms, particularly Escherichia coil, Staphylococci and Pseudomonas groups. Our clinical studies were performed on 34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Surgical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tal from July 75 to March 76. They were all infected patients and they were given surgical treatment. Concomitantly, they were injected 100mg. of Dibekacin sulfate daily via intramuscular route. The cultured organisms were as follow: 19 were E. coli, 5 were Staphylococci, 6 were Pseudomonas, 5 were Klebsiella, 6 were Enterococci and one was Bacteroides. Among 34 patients, 21 were excellantly improved and 9 were moderately responded, but 4 patients were not improved. So, 88% of the patients were controlled with Dibekacin sulfate administration. Two cases of side reaction developed during period of Dibekacin sulfate adminis?tration.

      • KCI등재

        복부비만을 동반한 여성에서 DEXA로 측정된 국소적 체지방과 대사적 위험요인

        김진승,이가영,김준수,박태진,이상엽,김영주,김윤진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7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regional body fat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body fat and metabolic risk factors. Methods: A total of 98 women aged 18∼65 years with central obesity (waist circumference ≥80 cm) took the evaluation for metabolic risk factors (blood pressure, fasting glucose, insulin,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 lipid profil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regional body fat measurement using DEXA. The relationship of regional body fat with the metabolic risk factors, the metabolic syndrome (MS)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R, defined by HOMA-IR≥2.48) were assessed. Th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total body fat (%), legs fat (%)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LDL-C, triglyceride, HOMA-IR, and hs-CRP, while positively with HDL-C. The 1% increase of legs fat was associated with the MS by odds ratio of 0.82 (95% C.I 0.71∼0.96) and with the IR by odds ratio of 0.80 (95% C.I. 0.67∼0.95). Trunk fat (%)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LDL-C, triglycerides, and HOMA-IR. The 1% increase of trunk fat was associated with the MS by odds ratio of 1.32 (95% C.I. 1.03∼1.71) and with the IR by odds ratio of 1.33 (95% C.I. 1.01∼1.77). The ratio of android fat to gynoid fat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LDL-C, triglycerides, glucose, and HOMA- IR, while negatively with HDL-C. The 0.1 increase of the ratio was associated with the MS by odds ratio of 1.66 (95% C.I. 1.07∼2.60). Conclusion: The trunk fat, and legs fat, the ratio of android fat to gynoid fat assessed by DEXA seemed to be useful indicators to predict the metabolic risk factors in women with central obesity. 연구배경: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DEXA)으로 측정된 국소 체지방과 대사적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DEXA가 비만의 치료방침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인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18세에서 65세 사이의 복부비만 (허리둘레≥80 cm)을 동반한 95명 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적 위험요인인 혈압, 공복혈당, 인슐린, 중성지방, 고밀도 (HDL-C-C)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과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DEXA로 측정한 체지방률 간의 관련성 및 대사증후군(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기준)과 인슐린저항성 (HOMA-IR≥2.48)의 유무와 국소적 체지방률 간의 관련성을 선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나이와 전체 체지방률을 보정한 후 하지 체지방률의 증가는 LDL-C, 중성지방, HOMA-IR, hs-CRP의 감소 및 HDL-C-C의 증가와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고, 하지 체지방률이 1% 증가하면 대사증후군의 이환 교차비는 0.82 (95% 신뢰구간 0.71∼0.96), 인슐린저항성의 이환 교차비는 0.80 (95% 신뢰구간 0.67∼0.95)이었다. 반면에 몸통 체지방률의 증가는 LDL-C, 중성지방, HOMA-IR, hs-CRP의 증가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고, 몸통 체지방률이 1% 증가하면 대사증후군 이환 교차비는 1.32 (95% 신뢰구간 1.03∼1.71), 인슐린 저항성의 이환 교차비는 1.33 (95% 신뢰구간 1.01∼1.77)이었다. 여성형지방에 비하여 남성형지방이 상대적으로 증가할수록 LDL-C, 중성지방, 혈당, HOMA-IR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HDL-C-C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그 비율이 0.1 증가하면 인슐린 저항성 이환 교차비가 1.66 (95% 신뢰구간 1.07∼2.60)이었다. 결론: 복부비만을 동반한 여성에서 DEXA로 측정된 몸통 체지방률, 하지 체지방률, 남성형지방과 여성형지방의 비율은 대사적 위험요인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