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조사

        김지효,박성만,이영림,주미란,박은서,박종태,Kim, Ji-Hyo,Park, Seong-Man,Lee, Young-Lim,Joo, Mee-Ran,Park, Eun-Seo,Park, Jong-Ta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어교육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교사들은 가상현실 활용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사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해 심리적 부담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상현실 기반 영어콘텐츠가 교육현장에 실용적일 것이라는 기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보다 부정적인 반응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상현실 활용한 영어교육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상현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경험공유,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가상현실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교육 및 연수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a plan for effective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in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wa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eachers(n=20)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e followings: 1) Teachers are positively aware of the necessity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but most teachers complained of a psychological burden on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2) negative responses were somewhat higher than positive responses to the expectation that virtual reality-based English content would be practical in the educational field; 3)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it is necessary to share experiences for educational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and need to provide various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4) For virtual reality educational application, there is a high demand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and provision of guidelines for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 RPS 도입 하의 신재생에너지 지불의사 연구

        김지효(Kim, Jihyo),김민지(Kim, Minji),김해연(Kim, Haeye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본 연구는 2012년 시행할 예정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하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추가비용 발생 시 국민들이 RPS 제도의 목표 및 형태에 대하여 어떤 선호를 가지고 있으며, RPS 제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소비자 선호를 조사하는 대표적인 연구방법론인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활용하여, RPS 제도 하에서 발생 가능한 소비자 선호, 구성요소 합산효과 및 지역별 선호의 차이의 3개 주제에 대한 연구를 3차례 설문을 통해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국민들의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WTP는 가구당 1,456~1,560원/월 수준으로 이는 우리나라 가구당 월 평균 전기요금의 약 3.7~3.5% 수준에 해당한다. 이를 토대로 추산한 신재생에너지 전력 이용에 대한 국민들의 편익은 2011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관련 예산의 42.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민들은 에너지원의 선택에 대한 비용 차이가 있을 시에는 개별 신재생에너지원을 대체재(substitutes)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에너지원의 선택에 대한 비용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특정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선호를 보이며, 특히 태양광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셋째,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따른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연 2,618~2,806 GWh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2010년도 우리나라 전체 전력 수요의 0.62~0.66% 정도로 RPS에서 목표로 하는 의무비율을 이행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선호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 간 저항응답의 비율, 재생에너지 시설 인근 경험 및 재생에너지 시설 입지에 대한 찬반의사 등의 지역별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 2차 실증사업의 효과 분석

        김지효 ( Jihyo Kim ),이수민 ( Soomin Lee ),장희선 ( Heesun Jang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2022 자원·환경경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2021년 5월부터 9월까지 시행된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 2차 실증사업의 효과를 2단계 전력수요 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이 실증사업은 전국 7개 지역의 아파트 및 단독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누진제, TOU-일반형 요금제, TOU-단순형 요금제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차 실증사업에 참여한 1,292가구의 계시별 요금제 적용기간(2021년5~9월) 및 전년 동기(2020년 5~9월)의 전력소비량 및 사회경제적 특성자료를 기초로, 계시별 요금제의 도입에 따라 (1) 요금단가가 높은 시간대의 상대전력수요가 가격 변화에 반응하여 감소하였는지, (2) 일일전력수요의 가격반응도에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차 실증사업에 적용된 두 종류 계시별 요금제 모두 상대전력수요와 일일전력수요의 가격반응도를 유의하게 변화시키지 않았다. 이는 실증사업에서 제시된 계시별 요금제의 전력량 요금 수준과 시간대별 구분이 참여자의 전력 수요 패턴 변화를 유인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2<sup>nd</sup> pilot test of Tiime of Use (TOU) pricing for Korean households using a two-level electricity demand model. The test, implemented from May to September 2021,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TOU pricing rates and the standard rates for households living in apartment and detached house in 7 provinces of Korea. Based on the data on electricity consumption during the test period and during the same period last year of the 1,292 participants and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s (1) whether the relative demand across periods has changed in response to hourly price changes and (2) whether the price responsiveness of daily consumption has chan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OU pricing. The results show that both types of TOU pricing affect neither the relative demand across periods nor the price responsiveness of daily consumption. The reason behind the results could be related to the level of TOU pricing rates and the periodical classification, which were not sufficient to induc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electricity demand patterns.

      • KCI등재

        전기차 충전소 화재 사고 대응 위한 컴퓨터 비전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김지효(Jihyo Kim),정대교(Daekyo Jung),정대교(Minsoo Park),박승희(Seunghee Park) 한국방재학회 202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4 No.4

        최근 전기차의 보급 증가로 인하여 전기차 충전시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빌딩과 아파트 등에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로 전기차 충전기에 활용하는 충전스테이션이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한, 전기차 배터리 및 부품 결함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대형 화재로 번져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외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기차 보급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이나 화재 절감대책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차 충전기 화재사례, 친환경 신재생충전스테이션, 가스 질식 화재 감시시스템을 포함한 도시방재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을 제안하였다. 특히, 딥러닝과 컴퓨터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에서의 화재 발생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예방하는 방법에 중점을 둔다. 본 연구의 화재 예방 시스템을 통해 보다 안전한 친환경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도시 환경에서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안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Owing to the recent popularity of electric vehicles (EVs), EV charging facilities have become mandatory, and charging stations that use electricity produced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are being actively installed in buildings and apartments. As the number of these charging stations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EV batteries overheating and causing a fire, which may spread and cause damage, also rises. However, current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do not suggest new and renewable energy supply or fire reduction measures for the supply of EVs. Therefore, to propose new-renewable energy EV charging stations for urban disaster prevention, in this study, we review EV charger installation cases, eco-friendly new renewable energy-based charging stations, and AI-based fire monitoring system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optimal operation. Through the fire preven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e anticipate a novel approach for building a safer and more sustainable green energy supply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IPA를 활용한 대학생의 진로교육 요구도 분석:

        김지효(Ji Hyo Kim),이정은(Jeong 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인식 및 교육요 구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충남소재의 D대학에 재학중인 27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 개발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IPA분석을 통하여 진로결정 상태별 진로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중요도에 차이를 보인 요인은 ‘진로계획 수립’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별 수행도의 차이는 ‘진로전환’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IPA 분석을 통해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교육 요구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강화해야하는 요인은 ‘경력개발’과 ‘진로정보탐색’으로 나타났으며, 미결정편안은 ‘경력개발’, ‘진로정보탐색’, ‘진로계획 수립’이 강화해야하는 교육내용으로 밝혀졌다. 축소해야하는 교육내용은 진로결정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결정편안과 결정불편은 ‘진로계획 수립’, ‘자아탐색’, 미결정편안은 ‘효과적인 대인관계’, ‘자아탐색’, 미결정불편은 ‘진로계획 수립’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결정 상태를 고려하여 이에 따른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집단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need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according career decision statu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97 students at D university. We were analyzed by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were confirmed their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status using IPA analysis. As a result for the study, career plan implementation was differed in importance of career development capabilities according career decision status and all factors except for the factor of career trans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d in performance according career decision status. Career management capabilities and career information search were found to be in the high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in all group. Career management capabilities, career information and career plan implementation were found to be in the high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in undecided-comfortable type. Career plan implementation, self-concept search were found to be undervalue area in decided-comfortable type. And effe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concept search were found to undervalue area in undecided-discomfort type. Those results will suggest basic directions for the content changes of career education subjects at college.

      • KCI등재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2013년과 2016년 비교

        김지효(Kim jih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with their college entrance and how the decision making factors of these groups had changed between 2013 and 2016.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1st~6th year(2010~2015) data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and the Career College Attendance penal data.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decision according to yea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decision was parental supporting in 2013, and experiences of career program in 2016. Second,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were school type in 2013, 2016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yea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was mothers’ education,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in 2013, otherwise career program management, career counseling in 2016. Third,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sired college entrance was self-concept,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2013, 2016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anothe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sired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year. Those results will suggest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college entrance education program in high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영향요인들이 연도별(2013년, 2016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1~6차 년도 자료와 진로진학조사 1, 2차 자료를 이용하여 2013년과 2016년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및 만족도 영향요인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다. 부모학습지원이 2013년에 진학결 정에 영향을 미친 반면 2016년도에는 영향력이 사라졌으며, 2016년도의 경우 학생의 진로·진학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진학결정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교유형은 두 시점 모두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도별로 진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차이를 보였는데 2013년의 경우 모의 최종학력,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가 2016년도의 경우는 진로프로그램 운영정도, 학생의 진로상담 경험이 진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고 졸업생의 희망대학 진학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학생특성의 자아개념, 사교육 참여는 두 시점 모두 희망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영향변수들은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다. 본연구는 변화하는 진로교육 및 정책의 효과성 검증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진로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미래의 괜찮은 일 및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일의 심리학의 적용

        김지효(Jihyo Kim) 한국경영학회 2023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8

        본 연구에서는 일의 심리학(Psychology of Working Theory:PWT)을 적용하여 대학 신입생(N=251)을 대상으로 미래의 괜찮은 일과 학습참여 및 만족감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장벽과 미래의 괜찮은 일의 관계를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이 매개하는 경로를 설정하고 미래의 괜찮을 일에 대한 지각과 대학의 학습참여 및 만족의 관계를 포함하는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고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모형의 적합도는 대학생들의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장벽에서 진로적응성, 일의 자유의지에서 미래의 괜찮은 일의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직접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미래의 괜찮은 일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은 대학의 학습참여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이 일의 자유의지를 매개하여 진로적응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장벽이 일의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을 매개하여 미래의 괜찮은 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대학생의 괜찮은 일자리와 학습성과를 위한 진로지도 및 상담 개입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e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decent work and academic engagement and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N=251) were investigated based on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PW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future decent work was investigated, and the pathways mediated by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a model that includes the perception of future decent work and its relationship with college learning engagement and satisfaction was established . The fit of the research model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investigate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overall fit of the model adequately explained the data of college students. With the exception of the path from work volition to future decent work, all direct paths were significant. Positive perception of future decent work was found to boost college learning participation. Furthermore, career barriers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work volition, and career barriers mediated the static effect on future decent work through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future decent job and academic performance for students in local univers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