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조사

        김지효,박성만,이영림,주미란,박은서,박종태,Kim, Ji-Hyo,Park, Seong-Man,Lee, Young-Lim,Joo, Mee-Ran,Park, Eun-Seo,Park, Jong-Ta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어교육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교사들은 가상현실 활용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사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해 심리적 부담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상현실 기반 영어콘텐츠가 교육현장에 실용적일 것이라는 기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보다 부정적인 반응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상현실 활용한 영어교육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상현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경험공유,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가상현실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교육 및 연수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a plan for effective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in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wa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eachers(n=20)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e followings: 1) Teachers are positively aware of the necessity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but most teachers complained of a psychological burden on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2) negative responses were somewhat higher than positive responses to the expectation that virtual reality-based English content would be practical in the educational field; 3)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it is necessary to share experiences for educational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and need to provide various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4) For virtual reality educational application, there is a high demand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education and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and provision of guidelines for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 RPS 도입 하의 신재생에너지 지불의사 연구

        김지효(Kim, Jihyo),김민지(Kim, Minji),김해연(Kim, Haeye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본 연구는 2012년 시행할 예정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하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추가비용 발생 시 국민들이 RPS 제도의 목표 및 형태에 대하여 어떤 선호를 가지고 있으며, RPS 제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소비자 선호를 조사하는 대표적인 연구방법론인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활용하여, RPS 제도 하에서 발생 가능한 소비자 선호, 구성요소 합산효과 및 지역별 선호의 차이의 3개 주제에 대한 연구를 3차례 설문을 통해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국민들의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WTP는 가구당 1,456~1,560원/월 수준으로 이는 우리나라 가구당 월 평균 전기요금의 약 3.7~3.5% 수준에 해당한다. 이를 토대로 추산한 신재생에너지 전력 이용에 대한 국민들의 편익은 2011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관련 예산의 42.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민들은 에너지원의 선택에 대한 비용 차이가 있을 시에는 개별 신재생에너지원을 대체재(substitutes)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에너지원의 선택에 대한 비용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특정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선호를 보이며, 특히 태양광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셋째,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따른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연 2,618~2,806 GWh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2010년도 우리나라 전체 전력 수요의 0.62~0.66% 정도로 RPS에서 목표로 하는 의무비율을 이행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선호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 간 저항응답의 비율, 재생에너지 시설 인근 경험 및 재생에너지 시설 입지에 대한 찬반의사 등의 지역별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2013년과 2016년 비교

        김지효(Kim jih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with their college entrance and how the decision making factors of these groups had changed between 2013 and 2016.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1st~6th year(2010~2015) data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and the Career College Attendance penal data.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decision according to yea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decision was parental supporting in 2013, and experiences of career program in 2016. Second,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were school type in 2013, 2016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yea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was mothers’ education,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in 2013, otherwise career program management, career counseling in 2016. Third,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sired college entrance was self-concept,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2013, 2016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anothe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sired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year. Those results will suggest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college entrance education program in high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영향요인들이 연도별(2013년, 2016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1~6차 년도 자료와 진로진학조사 1, 2차 자료를 이용하여 2013년과 2016년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및 만족도 영향요인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다. 부모학습지원이 2013년에 진학결 정에 영향을 미친 반면 2016년도에는 영향력이 사라졌으며, 2016년도의 경우 학생의 진로·진학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진학결정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교유형은 두 시점 모두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도별로 진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차이를 보였는데 2013년의 경우 모의 최종학력,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가 2016년도의 경우는 진로프로그램 운영정도, 학생의 진로상담 경험이 진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고 졸업생의 희망대학 진학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학생특성의 자아개념, 사교육 참여는 두 시점 모두 희망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영향변수들은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다. 본연구는 변화하는 진로교육 및 정책의 효과성 검증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진로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IPA를 활용한 대학생의 진로교육 요구도 분석:

        김지효(Ji Hyo Kim),이정은(Jeong 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인식 및 교육요 구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충남소재의 D대학에 재학중인 27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 개발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IPA분석을 통하여 진로결정 상태별 진로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개발역량의 중요도에 차이를 보인 요인은 ‘진로계획 수립’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별 수행도의 차이는 ‘진로전환’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IPA 분석을 통해 진로결정상태에 따른 진로교육 요구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강화해야하는 요인은 ‘경력개발’과 ‘진로정보탐색’으로 나타났으며, 미결정편안은 ‘경력개발’, ‘진로정보탐색’, ‘진로계획 수립’이 강화해야하는 교육내용으로 밝혀졌다. 축소해야하는 교육내용은 진로결정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결정편안과 결정불편은 ‘진로계획 수립’, ‘자아탐색’, 미결정편안은 ‘효과적인 대인관계’, ‘자아탐색’, 미결정불편은 ‘진로계획 수립’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결정 상태를 고려하여 이에 따른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집단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need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according career decision statu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97 students at D university. We were analyzed by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were confirmed their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status using IPA analysis. As a result for the study, career plan implementation was differed in importance of career development capabilities according career decision status and all factors except for the factor of career trans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d in performance according career decision status. Career management capabilities and career information search were found to be in the high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in all group. Career management capabilities, career information and career plan implementation were found to be in the high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in undecided-comfortable type. Career plan implementation, self-concept search were found to be undervalue area in decided-comfortable type. And effe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concept search were found to undervalue area in undecided-discomfort type. Those results will suggest basic directions for the content changes of career education subjects at college.

      •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평가에 있어 Process evaluation 적용 가능성 고찰

        김지효(Kim, Ji-Hyo),박주영(Park, Joo-Young),허은녕(Heo, Eun-Nye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 산하 EERE(the office of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에서는 시행되고 있는 일반 프로그램 평가(General Program Evaluation) 중 하나인 과정 평가(Process Evaluation)는 프로그램의 수행의 효율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EERE에서는 프로그램 별로 매 2~3년에 한번, 프로그램의 진행에 장애요인을 시행하기 위해 부정기적으로 과정평가를 수행하여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개선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과정평가의 방법론으로는 사례연구(case study),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메타평가(meta evaluation), 델파이분석(delphi-analysis), 외부 동료평가(peer review) 등의 방법론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EERE는 Peer Review Guide(2004)을 발간하여 과정평가에서 있어 외부 동료평가의 방법론을 정리하였다. 과정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수행결과의 중간점검과 동시에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 전문가의 제언을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과정평가의 결과는 프로그램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장기 과제인 경우 프로그램 관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업 수행 시 '진도보고'나 '중간결과 발표' 등을 통하여 동일한 내용의 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나, 평가의 항목.시기.예산 등에 대한 지침(guideline)이 구축되었다고 볼 수 없는 상황이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은 국가적인 중요도, 투입예산의 규모 및 수행기간 등을 고려할 때 과정평가를 통해 정기적으로 사업의 진행과정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사업의 관리에 적용될 수 있는 EERE의 과정평가를 한국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이를 정규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진로지원, 진로준비행동, 진로목표특성의 관계 분석

        김지효(Ji Hyo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진로지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목표특성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와 충청남도 소재 4년제 대학생 4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학진로지원, 진로목표특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모형 중 가장 적합한 모형을 찾고,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진로목표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진로지원 중 실제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진로지원 중 정서적 지원에 대한 인식은 진로목표특성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진로지원, 진로목표특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 with characteristics of career goal which is between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68 students at D university. It is analyze the hypothetical structural to relation with career support from college, characteristics of career goa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study was analysed to mediation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career goal on relat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upport from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represents that the students perception of practical support among career support from college has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haracteristics of career goal has a mediation effect between the students perception of emotional support among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sequentially, it shows the possibility liner causality that the mediation factor give the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is results, we should offer various strategies and ways to increase career preparation. Implications for further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practi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so,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proposed.

      •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소비자 선호의 지역별 차이 연구

        김지효(Kim, Jihyo),김해연(Kim, Haeyeon),허은녕(Heo, Eunnye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RPS)의 도입을 확정하였다(지식경제부 고시 제2010-244호). RPS 제도는 기존의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 중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토록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RPS의 도입을 통해 일차적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부차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확대의 비용의 소비자 귀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RPS 제도로 인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의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는 가정 하에, 조건부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을 적용하여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분석하는 데 있어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에, 서울, 울산, 강원도, 전라남도의 4개 지역을 설문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은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 관련 시설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는 비교군에 해당하며, 강원도와 전라남도는 신재생에너지의 이용이 활발한 지역을 대표하는 대조군에 해당된다. 울산은 신재생에너지 이용이 활발하지는 않으나 굴지의 산업단지가 입지한 지역으로, 대형 에너지 관련 시설에 대해 특수한 선호를 보일 것이라 추측되어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4개 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적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도출한 후,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에 관련된 경험이 선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도출된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은 향후 RPS 정책 도입시 전기요금 산정 관련 논의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교과-비교과연계 수업에서 과제가치, 협력적 자기조절, 과업응집성 및 학습성과의 관계

        김지효(Kim Ji H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온라인 교과-비교과연계 수업의 학습공동체에서 과제가치가 협력적 자기조절과 과업응집성을 매개로 학습성과(성취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성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교과-비교과연계 수업 수강생 108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과 경로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과제가치는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가치는 협력적 자기조절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제가치는 협력적 자기조절을 매개로 과업응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교과-비교과연계 수업의 학습공동체에서 과제가치, 협력적 자기조절, 과업응집성, 학습성과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협력학습 장면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교수·학습설계에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ask value affecting the learning performance(achievement,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um of collaborative self-regulations and task Cohesiveness in the learning community in the college s online co-curriculum class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ata from 108 students who participated online co-curriculum class were collect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of the Suitability and the Path Structur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ake value has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he task value has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the medium of collaborative self-regulations. Third, the take value had positive effect on task Cohesiveness through the medium of collaborative self-regula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of research in that it has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learning performance in the learning community of the co-curriculum clas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by identify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task value, collaborative-regulations, task Cohesiveness, learning performance in learning community of college s online co-curriculum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