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김지심(金志心),강명희(姜明嬉)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인 이러닝의 특성에 기초하여 공급자 측면이 아닌 학습경험을 중심으로 기업 이러닝 품질을 평가하였다. 이에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지각하는 수업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인 교수실재감과 학습자의 내재적 지각을 의미하는 학습실재감의 두 요인인 인지적, 감성적 실재감, 그리고 학습효과 요인인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기업 이러닝의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러닝 설계와 운영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기업에서 이러닝을 수강한 415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학습효과 간의 직접적 · 간접적 효과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실재감은 인지적 실재감을 매개로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적 실재감을 매개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 이러닝의 품질 향상을 위해 설계와 운영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써,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요인인 인지적, 감성적 실재감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As e-Learning continues to grow in popularity as training program in organizations, they strive for high quality of e-lear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perceived differently by students depending on various e-learning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415 cases participating in e-learning in a corporate set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presence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Second,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ing presence had a direct effect on both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eaching presence had an influence on learning persistence and emotional presence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However, unexpectedly,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presence was not a highly influential factor for satisfaction and emotional presence did not directly influence learning persistence. Finally, the results revealed that cognitive pres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Also, it was seen that emotional pres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However, emotional presence did not mediate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Consider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as the quality of e-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lead to an implication that the quality of e-learning in the corporate setting will be increased by for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which can enhance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resence.

      • KCI등재

        석독구결 ‘여(如)’구문의 의미와 논항구조

        김지오 ( Kim Zi-o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9 No.-

        석독구결의 ‘如’자에는 다섯 가지(這, 印, 八, I, 支)의 구결자가 현토된다. 본고에서는 이런 현상이 ‘如’의 의미와 구문적 차이에서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如’구문을 살펴보았다. ‘如’에 현토 양상은 의미와 논항구조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제1류는 ‘這’와 ‘印’와 ‘八’이고 제2류는 ‘I’와 ‘支’로, 문헌 계통에 따라 표기하는 구결자가 다르게 나타난다. 먼저 제1류 현토는 의미나 출현 환경이 매우 단조롭다. ‘如’의 의미 가운데 [동일함]만을 강조할 때 사용되며 ‘NP(法ㆍ理致류 명사)같이 어떠하다’의 형식에서 주로 쓰인다. 반면 제2류는 제1류에 비해 의미역과 출현 구문이 다양하다. ①비유구문, ②명사구 나열구문, ③반복지시구문에 ‘如’자가 나타날 때 사용되며, 의미는 [동일함], [한 부류에 속함], [유사함]까지 넓은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如’에 현토된 구결은 모두 ‘같다’의 의미로 귀결될 수 있지만, 의미를 세분화해보면 [동일함]을 강조하느냐, 아니면 [한 부류에 속함]이나 [유사함]의 의미까지 모두 아우르느냐에 따라 다른 현토 방식이 사용된 것이다. There are five Kugyeol characters(這, 印, 八, I, and 支) attached to ‘如’ in Seokdokkugyol. Focusing on that Hyeonto(懸吐) patter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reasons why various Kugyeol characters were Hyeontoed for a single Chinese character. ‘這, 印, 八, I, and 支’ attached to ‘如’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meanings and argument structures. The first group includes ‘這’, ‘印’, and ‘八’, and the second group includes ‘I’ and ‘支’. There are only two ways of Hyeonto for 如 in comparison sentences since different Kugyeol characters are merely chosen according to the literary materials. The first group has very monotonous meanings and appearance environments. It is used to emphasize the meaning of "identical or same" of ‘如’ and usually employed in the form of "being something like NP." The second group has more various meanings and appearance sentence structures than the first one. It is used when there is ‘如’ in sentence structures for ① figurative phrases, ② enumeration of noun phrases, and ③ repetitive- instruction phrases. It has three kinds of meanings including "identical(same),"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nd "similar." In short, all the Kugyeol characters that were Hyeontoed to ‘如’ are concluded to have the meaning of "kathta(같다)"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y were used in two ways according to whether they emphasized the "sameness" or included even the meanings of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and "similar."

      • KCI등재

        죄인에서 명현으로: 김식의 ‘망명’을 해명하는 글쓰기의 전략과 복권운동과의 관계

        김지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4

        The repute of Kim Shik(김식, 金湜,1482∼1520) had fluctuated dramatically through and after his last days. As a prominent figure of Jo Gwang-jo's party, he was one of the main targets of the Purge of 1519. After his abscondence and suicide, he was blamed as the 'disgrace' of Gimyo group. Inheritors of the group sought strategies to defend his abscondence, as their repute was gravely related to those of their ances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defending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 to later reinstatement of Kim Shik. It discusses how the abscondence impacted and what debates has made after his decease.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writings on him in later generations and the movement for his reinstatement follows the examination of defending strategies found in memory-making writings on him.

      • KCI등재

        『합부금광명경(合部金光明經)』의 부호 연구

        김지오(金志悟) ( Kim Ji-oh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고려시대 釋讀口訣 자료인 『合部金光明經』 권3을 대상으로, 여기에 기입된 부호들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合部金光明經』은 點吐 口訣과 字吐口訣이 동시에 기입되어 있는 자료로, 부호 역시 두 가지 구결을 위한 부호가 모두 나타난다. 먼저 點吐釋讀口訣을 위한 부호로는 合符, 逆讀線, 合符逆讀線, 指示線, 境界線이 있는데, 이들은 기입 방식에 따라 角筆 부호와 墨書 부호로 구분된다. 角筆 부호는 지금껏 알려져 왔던 『瑜伽師地論 (3·5·8권)』의 부호들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墨書 부호는 기존의 부호 체계와는 다른, 독특한 모양과 새로운 기능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묵서 역독선은 선의 빼침이 3가지 방향으로 나타나는데, 右下向과 左上向은 논항성분이 같은 줄 안에 위치하는지 다음 줄로 넘어가는지에 따라 그 방향이 결정된다. 그리고 묵서 지시선은 사선의 빼침 모양이 한 방향으로만 나타나며 실수나 미숙함에 의해 잘못된 점토를 수정하는 성격이 강하다. 한편 字吐釋讀口訣을 위한 부호로는 修訂線과 修訂 圈點이 있으며, 이들은 字吐의 잘못된 위치나 吐의 내용을 수정하는 기능을 한다. This article looks at the marks in the Hapbugeumgwanggyeong [合部金光明經]. Most of the marks of the Hapbugeumgwanggyeong are related to point-attached seokdokkugyol, but some also appear to be related to Jato-seokdokkugyol. Among the marks related to point-attached seokdokkugyol are the joint-line, the reverse reading line, the joint reverse reading line, the instruction line, and the boundary line. Each point-attached mark is almost identical to the marks shown in the Yuqieshidilun [瑜伽師地論], but a line drawn with ink has a unique shape and function that is not found in the existing point-attached seokdokkugyol system. Also, the marks related to the Jato a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lines and circle that indicate the wrong location of the Jato or the correction of the Jato.

      • KCI등재

        폭력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자살 생각 및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지,이지선,부윤정 한국학교보건학회 2015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of adolescents who had been bullied.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extracted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4. The data of 1,926 adolescents, in total,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analysis was done using SPSS/WIN. Results: The adolescents with an experience of being bullied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than the average teenagers in Korea. In addition, suicidal thoughts were affected by gender, experience of habitual drug use, subjective happiness, as well as sadness and despair. Suicidal attempts were influenced by gender, grade, smoking experience, experience of habitual drug use, size of the city of residence, subjective happiness, sadness and hopelessness, existence of people to get counseling, and habit of walking for 10 minutes every day. Conclusion: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suicidal risk of adolescents having experienced violenc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uicide prevention targeting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and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 KCI등재

        自動 문법 검사기의 利用 實態와 그 問題點 - 大學生이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를 中心으로 -

        김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how that the automatic grammar checkers frequently used by college students had many problems and prevent the repetition and spread of word spacing errors found in the automatic grammar checker in their writings. Today college students write with a word-processor rather than in handwriting. These Word-processors have a built-in automatic grammar checker, guiding and instructing users to correct their sentences. Automatic Grammar checkers intervene in users' writing in a direct and forceful way compared with th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media, thus having huge influences on the spacing of students. As a matter of fact, 83.2% of students used an automatic grammar checker in Hangul(Hwp) and MS Word, and 95.4% of them said they trusted the check results of their word-processors. Furthermore,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ents were using a grammar checker as a means of learning the grammatical rules as well as an auxiliary means of reviewing the grammar. The automatic grammar checkers of word-processors, however, were not trustworthy at tall. Trying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such check errors, this study categorized the often spacing errors of college students into 16 types and tested grammar checkers for their performance with 100 sentences. As a result, the grammar checkers of Hangul(Hwp) and MS Word recorded a low rate at 42% and 32%, respectively. The findings raise a need to have students clearly recognize the limitations and errors of grammar checkers when it comes to grammar and ask them not to follow the mechanical check results blindly. 이 연구는 大學生들이 자주 사용하는 문법 검사기에 오류가 많음을 보이고, 문법 검사기에서 나타나는 띄어쓰기 오류가 학생들의 글에서 反復, 擴散되지 않게 하려는 데 目的이 있다. 오늘날 대학생들의 글쓰기는 手記보다는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된다. 여기에는 自動 문법 검사기가 내장되어 있어 잘못된 문장이 있으면 그것을 고치도록 使用者에게 案內하고 指示한다. 直接的이고도 積極的인 방식으로 사용자의 글쓰기에 介入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동 문법 검사기가 학생들의 띄어쓰기에 미치는 影響은 방송이나 인터넷, 또는 통신 매체의 영향보다 크다. 그러나 워드프로세서의 자동 검사기는 그리 信賴할 수 있는 수준이 되지 못한다. 대학생들이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사례들을 중심으로 검사기의 性能을 테스트해 본 결과 ‘글’은 정확도 42%, ‘MS워드’는 32%라는 低調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문법 검사기의 限界와 誤謬 實態를 학생들에게 알리고, 기계적인 檢査 結果를 盲目的으로 따르지 않도록 적절한 指導가 必要하다.

      • KCI등재

        고장력 Mn-Si 강에서의 잔류오스테나이트와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상주,이후철,충수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0 No.10

        The behavior of retained austenite during cyclic heat treatment and deformation in medium carbon Mn-Si steel was investigated using electron microscope. The orientation relation between the austenite and martensite satisfies both K-S and N-W relationships. Austenite was retained as thin films when quenched from γrange and as isolated islands when quenched from (α+γ) range. The amount of retained austenite tends to decrease with increased quench temperature upto 1100℃. The retained austenite was mostly strain induced transformed to martensite in the early stage (1-5%) of tensile deformation The strain hardening exponent and total elongation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volume fraction of retained austenite.

      • KCI등재

        아랍에미리트로의 국제이주 연구동향 분석

        김지 한국아시아학회 2024 아시아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현재까지 수행된 아랍에미리트로의 국제이주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39편의 학술논문을 선별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랍에미리트로의 국제이주와 관련한 연구는 2000년대 초에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2020년 전후 가장 많은 연구물이 출판되었다. 주로 질적연구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특정 송출국과 관련한 연구로는 남아시아 출신 이주자와 관련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관련한 연구 주제는 이주 정책과 이주자의 정체성과 관련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이주자의 건강, 이주 결정요인, 송금, 연속적 이주와 관련한 주제를 다루기도 하였다. 다수의 논문이 아랍에미리트의 이주 제도인 카팔라(kafala) 제도에 대해 다루고 있다는 것도 특징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아랍에미리트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이주의 미시적 요소와 거시적 접근을 종합할 수 있는 연구, 이주자의 직업적 특성을 고려한 이주 경험 비교 연구,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 아랍에미리트 이주의 고유한 특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trends in research on migration to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For this purpose, 39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to the UAE first appeared in the early 2000s,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published in 2020.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s utilized we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nd research on South Asian migrants to the UAE were most common. In terms of research topics, migration policy and migrant identity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migrant health, determinants of migration, remittances, and serial migration. Several papers also focused on the kafala system, which is the UAE’s legal framework on migrant workers’ employment and statu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on the UAE should include studies that link micro and macro approaches to migration, comparative studies of migration experiences that take into account migrant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tudies that utilize multiple research methods, and studies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to the UAE.

      • KCI등재

        무굴 황제와 예수회 선교사의 문화 종교적 대화: 거룩함의 거울의 텍스트와 세밀화 분석을 중심으로

        김지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1 No.-

        본 연구는 무굴 아크바르 황제의 명으로 제롬 하비에르 선교사가 예수의 생애에 관해 저술했던 『거룩함의 거울』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제작 의도에 관한 문화 종교적 분석이다. 먼저 아크바르 황제는 예수의 생애에 대해 다양한 종교에 관한 이성적 관심의 일환으로 예수의 기적과 신성에 관해 왕권 강화적 측면에서 관심을 가졌다. 한편 제롬은 황제를 개종시킬 목적으로 무굴의 문화와 종교를 이해하면서 예수의 생애와 접촉점이 될 만한내용을 선택하여 저술했다. 또한 무굴 궁정의 화가들은 제롬의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슬람과 힌두교 종교예술 양식과 서양 기독교의 양식을 혼합하여 예수의 생애에 관한 그림을 그렸다. 『거룩함의 거울』에 나타난 이러한 문화적 종교적 대화를 통해 직접적인 개종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일방적이고 강압적이지 않았고 서로의 종교와 문화를 이해하려는 열린 마음이 있었다. 이러한 무굴제국의 문화 적응적 예수회 선교의 예는 오늘날 여전히 어려움에봉착한 인도의 모슬렘, 힌두교인의 선교방법에 대화를 통한 선교의 긍정적선례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