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사성물질 측정망 현황 및 하천·호소 내 인공방사성물질 (<sup>134</sup>Cs, <sup>137</sup>Cs, <sup>131</sup>I) 조사

        김지유,정현지,안미정,홍정기,강태구,강태우,조윤해,한영운,설빛나,김완석,김경현,Kim, Jiyu,Jung, Hyun-ji,An, Mijeong,Hong, Jung-Ki,Kang, Taegu,Kang, Tae-Woo,Cho, Yoon-Hae,Han, Yeong-Un,Seol, Bitna,Kim, Wansuk,Kim, Kyunghyun 한국분석과학회 2015 분석과학 Vol.28 No.6

        본 연구에서는「공공수역 방사성물질 측정망 운영 계획」에 따른 모니터링 수행 내용을 소개하였고, 하천 및 호소 60 개 지점을 대상으로 인공방사성물질(<sup>134</sup>Cs, <sup>137</sup>Cs, <sup>131</sup>I)의 농도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지표수 내 방사성물질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마리넬리 비커를 이용한 감마분광 분석기법으로 분석하였다. <sup>134</sup>Cs와 <sup>137</sup>Cs은 모든 지점에서 MDA 미만으로 조사되었고, <sup>131</sup>I는 한 지점(0.533±0.058 Bq/L)을 제외한 모든 지점의 농도가 MDA 미만으로 나타났다. <sup>131</sup>I는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물질로 환자의 배설물로 인해 하수처리장 인근 하천수에서 빈번하게 검출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sup>131</sup>I가 검출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하수처리장 방류지점을 포함한 <sup>131</sup>I가 검출된 상류수계 6개 지점을 추가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하수처리장 처리수 방류지점에서부터 하류방향으로 <sup>131</sup>I가 지속적으로 검출되었으며, 농도는 0.257±0.034~0.799±0.051 Bq/L 범위로 조사되었다. 추가조사를 통해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하천수의 <sup>131</sup>I 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urvey of the artificial radionuclides in rivers and lake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ir levels in surface water.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60 points and analyzed by gamma-ray spectrometry with a measurement time of 10,000 seconds for <sup>134</sup>Cs, <sup>137</sup>Cs, and <sup>131</sup>I. The obained values were lower than MDA for all points, except one point for <sup>131</sup>I that was 0.533±0.058 Bq/L. <sup>131</sup>I is known as a radioactive material that occurs frequently in sewage treatment plants. Because it is often used for medical treatments and subject to spreading into the environment due to the excretion from the patients. For the point where <sup>131</sup>I was detected, we conducted additional investigation on the upstream river point and the effluent points of nearby sewage treatment plant to find the source of <sup>131</sup>I. <sup>131</sup>I was not detected at the upstream points of one of the upstream sewage treatment plants but found at the downstream points with the level being 0.257±0.034 to 0.799±0.051 Bq/L, proving the sewage treatment plant was the <sup>131</sup>Isource.

      • KCI등재후보

        열린 사슬 운동이 중학교 축구 선수 하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지유,정연우,Kim, Jiyu,Jeong, Yeonwoo 대한통합의학회 2017 대한통합의학회지 Vol.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open 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otor function of the lower limb i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14 soccer players who attend middle school in Gwangju. All subjects received open kinetic chain exercise for 3 weeks. The muscle strength of the ankle was measured by a commander muscle tester. Postural control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hopping test. All measurements for each subject were conducted pre-intervention and 3 weeks post-intervention.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ost-intervention in the muscle strength and-the postural control ability of the open kinetic chain exercise group(p<.05). Conclusion: Open kinetic chain exercis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otor function of the lower limb in soccer players. Therefore, open kinetic chain exercise may prevent and resolve injury with careful management while soccer players are training or playing games. It could be helpful to extend the lives of athletes and improve their records.

      • KCI등재
      • KCI등재

        태블릿디바이스에서 제품관여도에 따른 인터랙티브 e-매거진광고 효과

        김지유 ( Jiyu Kim ),이창근 ( Changkeu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디바이스 e-매거진광고에서 인터랙티브 요소의 사용유무와 제품관여도에 따른 광고효과 즉, 소비자들의 태도에 대하여 실험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로써 e-매거진과 인쇄매체 매거진의 디자인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레이아웃은 거의 비슷하나 차이점은 인터랙티브 요소의 유무였다. 이에 따라 인터랙티브 요소 사용의 유무로 인한 소비자들의 태도 즉, 광고태도, 제품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대해 실험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제품관여도가 태블릿디바이스 e-매거진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아 고/저 관여도 제품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를 실험하였다. 인터랙티브 요소의 유무에 따라 소비자태도의 모든 부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매거진의 특성 상 소비자들은 터치 요소에 흥미를 느끼고 긍정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태블릿디바이스에 제시되는 광고에서 고관여 제품에 대한 브랜드태도가 저관여 제품보다 높게 나온 것으로 보아, 소비자들은 합리적 사고로 정보를 중심으로 보는 고관여 제품 광고에 대한 신뢰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차후 태블릿PC의 보급률에 따라 그 광고효과도 같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has begun with the idea of determining differences in consumer reaction based on their level of interaction with an e-magazine advertisement on a tablet pc. According to preliminary research on difference between e-magazines and print media, there`s a lot of similarity in lay-out. But, there`s a huge difference in the likelihood of consumer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consumer reaction to e-magazine advertisement in terms of advertising effect, product, brand and purchase intent. Moreover, assuming the level of consumer interaction to the product will have an effect on e-magazine advertisement, we studied the advertising impact with both high-level and low-level consumer interaction. The research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interaction with the advertisement. Considering the unique features in the e-magazine, consumers want to touch and feel the advertisement actively instead of receiving information passively. Plus, more interaction with an advertisement leads to more reliability and royalty to the brand. Higher levels of engagement with the table pc itself also lead to better understanding of advertisement and product. So the impact of and demand for interactive advertising is bound to substantially increase.

      • 자기주도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지유(Ji U Kim)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1 상담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자기주도성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를 활용하여 ‘자기주도성’을 검색하여 2000년도부터 2020년까지 주요 한국 학술지 인용 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에 등재된 학술지 논문 32편을 선정하여 발행연도, 학회지, 연구대상, 연구방법, 분석방법, 측정도구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행연도 논문 수는 2013, 2014, 2015년에 각각 4편(12%)로 많은 연구가 되었으며, 학회지는 교육과 관련된 학회지에 등록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 연구가 28편, 연구주제는 변인간의 관계연구가 30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통계분석은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대다수 사용하였다. 연구 변인별 동향에서는 자기 주도성을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자기 주도성 측정도구는 SDLRS(자기 주도 학습 준비도 척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self-directednes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this study used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o search self-directedness , selected 32 papers register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from 2000 to 2020,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academic journals,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alysis methods, and measurement to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2013, 2014 and 2015 was the largest, which was four(12%) respectively, academic journals were mostly registered in journals related to education, an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most common studies were quantitative studies, which was 28, and studies between variables’ relationships, which was 30, and the most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r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In the trends of research variables, most of the studies used self-directedn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ost used self-directed measurement tool was found to be SDL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have been made.

      • 겨자채 중 살균제 Picoxystrobin의 잔류특성 연구

        김지유 ( Ji Yu Kim ),윤지현 ( Ji Hyun Yun ),이승원 ( Seung Won Lee ),백의민 ( Uimin Baek ),이연영 ( Yeon Young Lee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Picoxystrobin은 노균병과 탄저병 등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methoxy-acrylate계 살균제로서,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복합체 Ⅲ의 cytochrome bc1(ubiquinol oxidase)의 기능을 저해하여 세포 호흡을 억제한다. Picoxystrobin은 병원균의 포자 발아, 부착기 형성 등을 억제하는 예방 효과가 우수하며 포자 형성을 저해하여 2차 감염을 막아 치료 효과도 우수하다. 이러한 우수성을 토대로 다양한 작물에 picoxystrobin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겨자채 중 picoxystrobin의 잔류특성을 구명하여 농약 품목 등록 자료 및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시험 약제는 picoxystrobin(25%) 액상수화제로서 겨자채를 수확하기 7일 전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 처리하였으며 시료는 0, 2, 3, 5, 7일 간격으로 연속 수확하여 picoxystrobin의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잔류량의 평가는 OECD 및 농촌진흥청의 잔류농약분석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QuEChERS 시료 전처리 방법과 LC-MS/M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겨자채 중 picoxystrobin의 잔류량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법의 정량한계(MLOQ)는 가이드라인을 준하여 0.01 mg/kg로 확립하였다. 회수율 시험은 MLOQ 및 10MLOQ, 1500MLOQ 수준에서 수행하였다. Picoxystrobin의 회수율은 각각 평균 79.4±1.2%, 94.8±2.8% 및 98.9±1.6%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RSD)를 고려한 회수율 시험 결과의 변이계수는 모두 20% 미만이었다. 겨자채 시료 중 picoxystrobin의 잔류량은 최종 약제 처리일에 13.14~13.87 mg/kg 수준으로 최고 수준을 보였으며 이후 경시적으로 감소하여 최종 약제 처리 후 7일이 경과한 다음에는 7.06~8.39 mg/kg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엽채류에 설정된 잔류허용기준인 5.0 mg/kg을 초과하는 수치로서 picoxystrobin은 겨자채에서 잔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할 때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 겨자채 중 살균제 Propiconazole의 잔류특성 연구

        김지유 ( Ji Yu Kim ),윤지현 ( Ji Hyun Yun ),이승원 ( Seung Won Lee ),백의민 ( Uimin Baek ),이연영 ( Yeon Young Lee ),김인선 ( In Seo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Propiconazole은 흰가루병과 동전마름병 등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triazole계 살균제로서, lanosterol을 4,4-dimethyl cholesta-8,14,24-trienol로 변환시키는 lanosterol C-14 demethylase의 기능을 저해하는 것으로 DMI(DeMethylation Inhibitor)라 부르며 세포막에서의 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한다. Propiconazole은 침투이행성이 우수하며 강력한 균사 생장 억제로 확실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우수성을 토대로 다양한 작물에 propiconzaole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겨자채 중 propiconazole의 잔류특성을 구명하여 농약 품목 등록 자료 및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시험 약제는 propiconazole(25%) 유제로서 겨자채를 수확하기 7일 전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하였으며 시료는 0, 2, 3, 5, 7일 간격으로 연속 수확하여 propiconazole의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잔류량의 평가는 OECD 및 농촌진흥청의 잔류농약분석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QuEChERS 시료 전처리 방법과 LC-MS/M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겨자채 중 propiconazole의 잔류량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법의 정량한계(MLOQ)는 가이드라인을 준하여 0.01 mg/kg로 확립하였다. 회수율 시험은 MLOQ 및 10 MLOQ, 500 MLOQ 수준에서 수행하였다. Propiconazole의 회수율은 각각 평균 95.9±6.8%, 95.0±3.7% 및 98.6±1.8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RSD)를 고려한 회수율 시험 결과의 변이계수는 모두 20% 미만이었다. 겨자채 시료 중 propiconazole의 잔류량은 최종 약제 처리일에 5.13~5.59 mg/kg 수준으로 최고 수준을 보였으며 이후 경시적으로 감소하여 최종 약제 처리 후 7일이 경과한 다음에는 1.75~2.09 mg/kg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겨자채 중 propiconazole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