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수준 국어/언어 능력 검사의 비판적 검토 ; 수능 언어 영역 문항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1 No.-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은 간단히 말하면 당해 년도 대학에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수능에 출제된 문항이 그 다음 해의 고교 교육의 방향을 바꾸어 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학교 교육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문제의 원리(the principle of problem)는 문제를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바가 정확히 드러나도록 문제를 구성하는 원리라고 할 수 있다. 문제의 원리를 잘 파악을 하게 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리도 쉽게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수능 언어 영역에서의 문제의 원리가 무엇인지 확인하기가 곤란하다. 문제의 원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유력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일선사교육 현장에서는 문항의 유형을 잘 파악하여 출제의도와 문제 구성 원리를 체득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수험생들은 학교에서 배운 교과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토대로 하여 문제집 등을 통해 ``낯선 문항에서 정답 찾기`` 훈련을 함으로써 응용력을 키우는 것을 최선의 방책으로 삼고 있다. 한 가지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상상을 할 수 있는 것이 새 시대에는 뛰어난 능력으로 대접받는다.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등의 각종 문제지를 풀게 하는 것보다는 문제의 원리를 이해해서 스스로 원인과 결과를 찾아가게 만드는 주관식 학습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는 것은 명약관화하다. 이제 수능은 학생들 문제이면서 결국 우리 국어교육계에서 짊어질 책무이기도 하다. 우리 국어 교사들은 미래의 우리나라를 이끌어 갈 세대들이 자신들이 걸어가야 할 앞길이 ``어렵다``고 불평만 하거나, 그래서 쉬운 길로 가기만을 원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해서는 안 된다. 결국 수능이 한국적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피할 수 없는 덫이자 제도라고 한다면, 이것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직시하고 이것이 더욱 발전된 방향으로 개선하려는 공동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below CSAT) measures the student`s ability which will study in the university. The problem of the CSAT is causing a many effect in school education. But the principle of problem of CSAT is not known well. The teachers advise the students to grasp the pattern of the questions. It will be successful to an examin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rincipal of problem rather than the test book. The students oneself studying which search a cause and a result is very good. The CSAT is the wild problem and a duty which our societies will be finally.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do not become the students regarding the future of the themselves only dissatisfaction the printed style of writing. The CAST from Korean situation is the system which is not the possibility of avoiding in the students. It is that knows the problem point of the learning skill, it improves the cooperative effort necessary with the direction which is developed more.

      • KCI등재
      • KCI등재

        그룹 "들국화" 노랫말의 시학적 의미

        김중신 ( Jung Sin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0

        대중가요 노랫말을 저급한 통속 문화의 일환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있다. 대중가요의 노랫말을 단순히 곡조를 전달하는 수단으로만 간주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노랫말을 문화사적 맥락에서 당대 대중들의 정서가 문학적으로 구현된 양상이라는 관점을 취한다. 이런 입장에서 80년대 이후 대중들의 폭넓은 인기를 누려온 그룹 들국화의 노랫말을 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들국화의 1집 앨범은 한국 음악사의 기념비적인 음반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가들이 꼽은 한국 대중음악사 100대 명반 중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이들의 문화사적 가치는 남다르다. 이들의 노래는 음악적 참신함이나 보컬 전인권의 가창력뿐만 아니라 노랫말이 던져주는 정서적 감염력에도 주목을 해야 한다. 들국화 노랫말을 시학적으로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여기에 있다. 들국화의 노랫말은 시학적으로 여러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첫째, 일상의 전복을 요구하고 있다. < 사랑한 후에 >는 제목만으로는 실연에 빠진 사람의 심정을 노래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일상에 빠져 있는 현대의 대중들에게 과거의 화려했던 추억을 되새기며 일상의 전복을 요구하고 있는 노래이다. 들국화의 대표곡 < 행진 >도 그러하다. 둘째, 반어와 역설을 통한 저항을 담고 있다. 들국화 노랫말의 중요한 미학 중 하나는 반어와 역설이다. < 제주도 푸른 밤 >이나 < 축복합니다 >, < 제발 > 등의 노랫말은 반어와 역설로 이루어졌다. 이는 1980년대 당시 엄혹했던 시대에 대한 저항을 지향하고 있다. 셋째, 상처와 치유이다. 리드보컬 전인권은 마약 투약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다. 상처를 입은 그가 노래한 < 걱정 말아요 그대 >는 상처입은 대중들에게 위로와 치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오늘날 문학교육의 인적 대상이 되는 학생들은 문자 언어보다 음성 언어에 더 익숙해져있다. 음성언어로 전달되는 대중가요 노랫말의 시학적 의미를 재조명화는 연구가 필요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Pop lyrics are generally considered a form of vulgar folk culture. In the deeper level, however, the lyrics do not simply serve as a recreational tool. In a broad historico-cultural perspective, pop lyrics are an embodiment of the sentiments and experiences of the general public. This paper proposes to analyze the song lyrics of a Korean rock band ``Deulkulwha`` focusing on their poetic function. The rock band was very popular in 1980s, and one of their albums once ranked top in Korea Pop 100. In their songs, lyrics are in a way more important than the song itself. The poetic aspects of the lyrics are portrayed in various ways. First, the lyrics attempt to overturn anything matter-of-fact or routine. For example, < After the Love > is not simply a love song; rather, it shakes and turns upside down the confident psyche of modern-day Everyman in his daily life. Second, the lyrics function as a form of resistance. In the songs < Bless You >, < Blue Night in Jeju > and < Please >, the lyrics, with their deeply ironic and paradoxical import, resist the rigorous regime of the 1980`s in a roundabout way. Third, the meaning of the lyrics are in many ways about healing. In < Do Not Worry, My Dear >, for example, the speaker suffers from a mental wound, yet he tries to convey a message of comfort and healing to the public. Today, the younger people are more familiar with spoken language than with written language. The lyrics of popular songs are in the realm of spoken language. Hence, pop lyrics can serve as a useful pedagogical tool for the young people, who are the subject of literary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 poetic significance of pop lyrics cannot be too much stressed.

      • KCI등재

        논술 교육의 쟁점과 방향 ; 국어교육과 통합 교과 논술의 향방 / 토론

        김중신 ( Jung Sin Kim ),원진숙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29 No.-

        2008학년도부터 시행되는 대입에서 통합 논술에 대한 비중이 커지면서 이것이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대한 측정 도구로서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것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국어교육에서 통합 교과논술을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대입 제도에서 글쓰기는 예전에도 있었다. ``작문``과 ``논술``, ``고전 논술``이라는 제도를 거쳐 도입된 ``통합 논술``은 창의적 사고의 중시, 과정 중시 굥규, 교과간 소통 교육, 자기 주도적 교육을 지향한다. 또한 통합 논술은 조선 시대의 ``책문(策問)``이나 프랑스의 바칼로레아(baccalaureat), 혹은 글쓰기로서의 ``작문``과는 차별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세 가지의 성격을 어느 정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통합 논술에 대해서는 세 가지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다. 첫 번째는 창의성(創意性)이다. 선다형(選多型)이 아닌 자유 서술형 문항에서는 창의적 반응을 측정하기가 그리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 통합 논술에서도 창의성을 최고의 덕목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학생이 쓴 답안에서 창의성을 측정해 내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다음으로 탐구성도 마찬가지이다. 모의 논술고사를 통해 제출된 문항에서는 탐구를 통하여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과정을 쓰는 글쓰기가 아니라 문제에 대한 서술식 답을 요구하고 있다. 그것도 거의 완벽한 ``정답``을 요구하고 있다. 대학 측에서는 애써 ``자유로운 글쓰기가 가능하도록 출제``했다고 강조하지만 그것은 글 쓰는 ``과정``이고, 써야 하는 ``내용`` 자체가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자기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탐구적 성격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통합 교과 논술은 태생적으로 입시 전형의 한 수단이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수험생의 능력을 필요하고도 충분하게 측정(測定)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통합 논술은 아직 표준화가 되어 있지 못해서 측정의 요건인 신뢰도(信賴度 reliablity)와 타당도(妥當度 validity)의 측면에서 온전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통합 교과 논술은 국어 교육 측면에서 세 가지 지향점을 갖고 있어야 한다. 첫째는 현재의 임상성(臨床性)에서 항상성(恒常性)을 지향해야 한다. 중등학교 현장은 물론 출판, 문화, 예술 등 사회의 모든 분야가 대학의 입시 정책의 변화에 따라 일정한 영향을 받고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왜곡되어 있는 중등학교 교육을 정상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통합 교과 논술의 항상성을 보장해야 한다. 다음으로 논술이 단순한 표현 기교로서만이 아니라 언어적 사고력의 신장과 측정의 한 방법인 면을 고려할 때 논술은 입시 과목의 항상성 확보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독립적인 교과목으로서 그 위상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면에서 논술은 입시 과목 혹은 입시 수단이 아니라 교과이어야 한다. 셋째로 논술(論述 critical essay)이 아니라 독술(讀述 reading&writing)을 지향해야 한다. 단지 writing의 측면만을 강조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논술(論述)보다는 독해가 바탕이 된 논술, 그리고 논술로 확인할 수 있는 독해라는 개념인 ``독술(讀述 reading & writing)``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독해와 논술을 운용하는 이면에는 사고(思考)가 자리잡고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통합(統合)에서 통섭(通攝·consilience)을 지향해야 한다. 통합 교과란 학교에서 이수하는 교과 중에서 특정 교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두루 통용되는 교과의 내용을 다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통합 교과는 그 자체 속성상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다. 통합은 각 교과의 단순한 물리적 결합이거나 수험생의 계열을 넘나드는 영역의 교차만으로는 소기의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최근 논술이 통합 교과형을 지향하게 된 것은 최근에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는 ``통섭(統攝)``의 영향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런 면에서 교과 자체만의 통합이 아닌 학생들의 성장과 관련된 교과 외의 모든 요소가 아우러진 통섭적이 되어야 한다. I will observe Unificated-Subject Essay(통합 교과 논술) which becamed the problem from univercity enterance examination. And I will research how USE taught in korean education USE` character is beyond. USE is not Chaek-Mun(책문), Baccalaureat and Writing. But it has same character a little with above three. They are criticizing against USE. At first, they can`t measure the creativity in USE. And it emphasizes the investigation, but they can`t measure the investigation in USE. At last they can`t measure the ability of the students accuratly. My suggestion of the direction of USE in korean education is beyond. First, the USE should become from the clinics to homeostasis. Second, it should be not entrance examination tool, be a subject of the curriculum. Third, it should be not just writing, be reading & writing. Last, it should be changed from synthesis to the consilience.

      • KCI등재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탐색 ; 어휘를 통한 정의적 텍스트 생산 전략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0 No.-

        어휘(語彙, vocabulary)는 어떤 일정한 범위 안에서 쓰이고 있는 단어의 총체를 말한다. 텍스트 생산자는 하나의 텍스트를 생산하기 전에 몇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그 중에 제일 중요한 단계가 중심 어휘를 발견 혹은 생산해 내는 일이다. 정의적 텍스트를 생산해 내기 위해서는 생산자의 사고 체계에 기반하고 있는 어휘의 독특한 의미 사용을 이끌어 내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어휘를 통해서 텍스트의 내적 소통과 외적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어휘를 통해서 텍스트를 생산하는 전략의 구체적인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의 의외성은 생산자와 수용자간의 의미 충돌을 야기하여 텍스트의 독창성을 담보 하게 된다. 일상적 언어 생활에서 어휘의 의미적 의외성은 텍스트 수용자만이 아니라 텍스트 생산자에게도 낯설다. 텍스트 생산자와 텍스트 수용자의 일상적 언어 생활에서 사용하는 어휘의 의미 범주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의미적 의외성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일정한 사고 전략을 필요로 한다. 발산적 사고(자유 연상)를 통한 정의적 텍스트 생산 전략은 새로운 텍스트를 생산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주어진 어휘와 관련된 의미 영역에 해당하는 어휘와 자신의 독창적인 의미 영역에서 찾아 낸 어휘를 결합하여 흥미있는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정의적 텍스트의 생산 능력은 어휘의 생산 능력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생산자의 단기 기억에 저장된 어휘만 아니라 장기 기억에 저장된 어휘를 생산해 내는 것이 독창적이고 흥미있는 텍스트 생산 전략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는 단계적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떠한 전략이라도 개인적 관심도나 긍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부인할 수는 없다. 최소한의 규범을 이루는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정의적 텍스트를 생산해 내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일이라 하겠다. The vocabulary is the totality of used the word with a certain range. Text producers should be done several steps before producing text. The most important step is to discover the main vocabulary.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he strategies of producing the meaning of the unique vocabulary. The strange vocabulary is caused the collision of text producers and receivers. So the unique text is produced. The strange vocabulary is strange for producers and receivers, they are the same everyday language in their lives. Because text producers and receivers are same ordinary vocabulary and the language. We need a special thinking strategies for bringing out a strange language. Divergent thinking strategies through the production of affective text is aimed to produce a new text. It combines well-known vocabulary and the vocabulary is unfamiliar. Through this unique and interesting text could be produced. The production capacity of definitive text comes from the vocabulary of the production. It needs the stored vocabulary of short-term memory in producers. As well as it needs the stored vocabulary of long-term memory too. This strategy is to produce original and interesting text. It is due to a gradual strategy of producing the interesting text.

      • KCI등재

        미디어 시대의 문학교육 :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서사텍스트의 위상 -자막언어의 서사 미학적 기능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6 No.-

        In this article the narrative nature of caption Language in TV will be discussed. I will discuss the narrative aesthetic features of caption language. The narrative feature of caption language can be distinguished of the traditional narrative. The traditional narrative is independent of the other media. but the narrative of caption language is complemented by the other media. And the traditional narrative is the traditional teleological narrative for community`s prosperity, however the narrative of caption language is for the entertainment. In addition, the traditional narrative is created by one person, the narrative of caption language is created by a group. So it is solidarity. Discussed in this article, the narrative aesthetic features of the caption language in TV is as follows. First it is the aesthetic of pattern by ``chapter-feature``(章回性) and ``type-feature(類型性)`` oriented. Secondly, it is constantly the aesthetics of contest oriented by the composition of a binary opposition. Thirdly, it often breaks down boundaries of crew and the cast and viewers, so it shows the aesthetic of the betweenness In its final analysis, times may change, but the culture medium will be continue to exist. In the era of digital media, how to accommodate the narrative should be renewed.

      • KCI등재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과정의 비판적 검토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교육과정은 교과의 시작이자 종결이지만 최근 우리의 교육과정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2년만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었고, 다시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이라는 명목하에 교육과정이 개편되었다. 그런데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이 특정 기관이나 단체에 의해서 개발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국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학회 연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공정하며 합리적이라는 판단 하에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과정 공모에 참여하기로 하였고,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고는 학회 연합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주로 선택과목 중심으로 개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먼저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에 의해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체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세 가지를 지적한 바 있다. 하나는 ``국어``에 대한 세부 성취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 둘째는 총론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셋째는 국어과 내용 영역 간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재구조화안은 고등학교 보통교과 선택과목은 ``국어Ⅰ``, ``국어Ⅱ``, ``국어사고와 표현``, ``국어탐구와 이해``, ``국어문화와 창의``, ``고전``의 총 6과목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맡은 학회 연합의 연구진은 과목 명칭에 대한 논의,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 설정 문제에 대한 논의, 셋째, ``고전``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결과 과목명은 ``국어Ⅰ/ 국어Ⅱ /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 문학 / 고전과 교양``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국어Ⅰ``의 기본 성격은 교양(일반)으로 하고, ``국어Ⅱ``의 기본 성격은 교양(전문)으로 하고, 국어과의 다섯 개 영역 중 핵심이 되는 성취 기준을 국어Ⅰ과 국어Ⅱ의 중핵적 성취 기준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고전``의 성격은 교과목명을 ``고전과 교양``으로 하고 국어과 다섯 영역의 현대 및 고대의 명문 중심으로 통합적 이해와 표현 활동을 목표로 하는 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최종 심의 과정에서 약간의 변이는 있었으나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었다. 교육과정 개발은 누가 하는가 보다도 어떻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교육과정은 주체의 문제가 아니라 공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교과별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기록하는 것은 어쩌면 영역별 그릇싸움의 적나라한 기록일 수도 있다. 또한 교과목의 나눠먹기식 배분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 영역이 중등학교 교과목에 여하히 설정되느냐 하는 것은 학문의 존재 가치와도 관계된다. 교과 교육은 어차피 교단에서 완성되기 때문이다. 교단에 설 자리가 없는 교과교육은 학자들의 선문답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curriculum is the beginning of subject. Also is a terminated point of it. However the curriculum of Korea is not like that.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after 2 years. For fairness and rationality, I think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academic society is responsible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writing will review a development process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According to ``elective restructurization plan, high school elective course name was ``Korean language I(국어Ⅰ)`` and ``Korean language II(국어Ⅱ), ``Korean thinking and expression``, ``Korean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he Creative``, ``The canon`` . First of all, the research team of academic society union processed intensively the discussion of subject name and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language I, Ⅱ`` and ``character of The Canon``. Discussed, the names of subjects has been determined as ``Korean language Ⅰ / Korean languages Ⅱ / speech and writing / reading and grammar / literature / Canons and the liberal`` And the research team decided the basic character of Korean I`` with culture (the public) and Korean II with culture(specialty). Also, they decided the main accomplishing standard of reading, writing, speech listening, the grammar, the literature with core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I, II. They also changed the name of ``Canons`` with the ``Canons and liberal arts.`` And they decided this subject with intergrated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ctivities for students in five areas of Korean subjects. Although there was few variations in last review process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discussion result was became the core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문학 텍스트의 교육적 목록화와 선정 기준에 관한 연구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8 No.-

        What is the great work? and what is the criteria for evaluation of the great works? The discussions of this questions have been to be continued since the literature existed. Because of the customary attitude, such discussions does not become the development especially. It is common that we does not appreciate the works great before setting standards for evaluating works great, and we set standards for evaluating works great after analyzing the properties of a great work. It is similar to the discussion of the educational literature list. But the educational literature list are required of the different standards. That is the properties of learning-reader who is the subject of literary education. Even though it is great works, there are works that are not adopted of a list of schools of education. It is considered of the educational validity by learning reader`s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se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The Korean as a second language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list for th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