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삿갓의 자아 찾기, 웃음과 울음

        김준형 ( Kim Joon-hyeong ) 동방비교연구회 (구 한국동방문학비교연구회) 2016 동방문학비교연구 Vol.6 No.-

        김립은 `시`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이유를 찾았다. 그의 시는 때로는 비유적으로, 때로는 직설적으로 세상에 대해 말한다. 욕설과 조롱의 시. 그 때문에 그는 학자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해야 점은 욕설과 조롱 자체가 아니다. 오히려 그 이면에 담긴 김립의 사유가 더 중요하다. 노골적인 웃음 뒤에 감춰진 서글픈 자기 연민. 이 글에서 주목한 키워드다. 김립의 방랑은 개인적 분노에서 출발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분노는 사회로 향했다. 사회적 모순에 대한 분노가 크지만, 그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그런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도 커졌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사회에 대한 공격, 민중에 대한 애정, 자아 성찰은 이런 배경에서 만들어졌다. 특히 그의 시를 지배하는 웃음은 그 이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바탕 웃고 넘어가면 그만인 작품 뒤에 숨겨진 통곡. 그것은 탈출구조차 찾지 못한 김립 시의 실체이기 때문이다. 그의 시가 울분의 시대를 살았던 식민지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애송되었다는 점도 그와 맥을 같이 한다. The Joseon Dynasty poet Kim Lib (金笠) found his raison d`etre through poetry. Popularly known as “Kim Sat-gat the Wandering Minstrel,” Kim Lib, or Kim Byeong-yeon (金炳淵, 1807~ 1863) as his real name, speaks of the world sometimes metaphorically or sometimes bluntly. Because he wrote poems of profanity and mockery, he was often criticized by scholars. But, what should be noted as important is not profanity or mockery per se but the poet`s personal reason behind his works. The keyword is sad self-pity hidden behind obvious laughter. Kim Lib`s wandering started from personal rage. As time passed by, the rage was directed towards society. He was angry against social contradiction but he could not do anything. His sense of shame toward himself grew larger. His attack against society, affection for people and self-examination appearing his poems were made from such a background. Laughter in particular that dominates Kim`s poems should be noted in this regard. Behind the poems inviting simple bursts of laughter are wails of pain. That is the true nature of Kim Lib who could not find his way out.

      • KCI등재

        〈김선각(金僊覺)〉의 발굴과 소설사적 의의

        김준형 ( Joon Hyeong Kim ) 한국고소설학회 2004 古小說 硏究 Vol.18 No.-

        There ar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Gemseangak in Korean and nine versions of it in Chinese. The version kept in Yoo, Jae-young has the epilogue and Kim, Joon-hyeong`s version said the name of writer, Sin, Jyong-woon. This fact reveals that Gemseongak was written in 1722(or 1782) and the writer lived in not the capital but the countryside. And also, even though it was guessed by the epilogue, he is the wealthy classes. Comparing Gemseongak with Changpunguwoonjoen, I could find similarities and heterogeneities. The main stories and plots are similar, but the title, characters, poems, and a sequence to the event are different. Researching these factors, I could find out the fact that Gemseongak was ahead of Changpunguwoonjoen. The different points between them are the subject. The subject of Gemseongak is depend on the thought of retributions, but that of Changpunguwoonjoen was changed into commercial. Gemseangak says that heroic novels were formed by influence of long novels in Chinese. Because of the fact that long novels in Chinese have similarities with long Korean novels written for late 17th cenury and early 18th century in thoughts. This is the meaning of Gemseongak in novel history.

      • KCI등재

        조선후기 거지, 문학적 시선과 전승

        김준형(Kim Joon Hyeon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조선전기 거지는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임시적으로 만들어졌다면, 조선후기 거지는 서울의 상업도시로 변화하면서 만들어진 존재들이었다. 당시 조정에서의 거지 정책은 두 가지로 요약되는데, 구휼과 분리가 그것이다. 문학 작품에 그려진 거지도 시대별로 달리 나타난다. 허균이 쓴 〈장생전〉에는 거지보다는 이인에 초점을 맞췄다. 반면 성대중이 쓴 〈개수전〉에는 거지 그 자체에 초점을 두었다. 허균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거지를 다룬 반면, 성대중은 실재 거지들의 삶을 그려 사회적 원망(願望)을 담았다. 이런 글쓰기의 변모는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며 나타난 한 현상이었다. 거지를 소재로 한 작품 가운데 이인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 조선 초?중기의 현상이라면, 생활 주체로서 거지를 담담하게 기술하는 방식은 조선 후기의 특징으로 보아도 무방하다고 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거지를 바라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가지 양태로 나뉜다. 그 하나는 동정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혐오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다. 전자는 거지를 가엾고 불쌍한 존재로 이해하는 한편, 후자는 나태하고 게으른 존재로 이해한다. 혐오의 시선은 거지를 도덕적 해이로 환치시킴으로써 거지 문제를 개인적인 차원에 머물게 했고, 동정의 시선은 거지 자체에 대한 동정 보다 거지를 통해 권력층을 비판하는 도구로 쓰였다. This paper purposes how the begg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is reflected in the literature. There is great differences between a begger in the later and earlier Chosun Dynasty. The begger in the earlier Chosun Dynasty had made by a war and a natural disaster as a passing phenomenon. The other hand, the begge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had made by a change in situation of commercial city of Seoul. Therefore, the begger in Chosun Dynasty reflects the conflicting social structure. There are clear two main policies for the begger. The one is a relief and the other one is a separation. The beggers in the literatures are different between different ages. 〈Jangseang-Jeon〉 by Heo-Guen focuses in the a prodigy instead of a begger itself. On the other side, 〈Gaesu-Jeon〉 focuses on the begger itself. Also there are two main viewpoints how to look the begge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The one is an object of compassion and the other one is an object of disgust.

      • KCI등재

        고전여성문학의 연구사적 전환을 위하여 碑誌,傳狀,哀祭類로 본 조선후기 여성의 지식 습득과 향유 양상

        김준형 ( Joon Hyeong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7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women`s enjoyment and acknowledgement of knowledge by epitaphs, letters of condolences, and records of dead person`s life in personnel collections of works during the Chosun dynasty. Books which were read by women during Chosun dynasty generally were moral standard books for women like Sohak, Naehun, Yeogae, Yeobum, and Yeolneo-Jeon etc. In addition to these books, women read Chinese Classics of Confucianism and literary works like the Chulsapyo etc. This means that the woman read many sorts of work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thesis researched on the acknowledgement of knowledge on the sides of their position in family, especially as daughter, daughter-in-laws, and mother. The woman as daughter in family acquired the knowledge through two ways. One was directly taught by their father or grandfather, and the other was indirectly heard the reading by their male family members. The woman as daughter-in-law acquired the knowledge like these ways. First, she learned from the books and screens written by their family members. Second, she learned letters and knowledge from looking her husband studying and enjoyed it. Third, she learned knowledge from the social relationship among the family members-in law, for example by writing letters. The woman as mother used her knowledge for teaching her son, self-reflection, and recreation. She had plenty of scope for learning knowledge and enjoying it in old age. She gradually showed her abilities for studies in old age.

      • KCI등재

        초기 한국문학사에 기술된 여성문학의 양상과 의미 -한국전쟁 이전의 문학사를 중심으로-

        김준형 ( Joon Hyeong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3

        이 논문은 한국전쟁 이전에 쓰인 문학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 안에 기술된 여성문학이 어떻게 쓰였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여성문학사 기술의 필요성은 늘 제기되어 왔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이 구체화된 적은 없다. 이런 상황이라면 차라리 초기 국문학자들의 문학사 안에 담겨진 여성이 어떻게 그려졌는가를 살피는 일에서부터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고 했다. 초기 국문학자들은 여성문학을 두 가지 양상으로 제시하였다. 그 하나는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작품에 대해 주관적인해석을 더하는 방식이었다. 전자는 조선조 이전의 문학에, 후자는 조선후기에 집중되었다. 과거의 풍부하고도 위업적인 유산을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은 그것이 굳이 여성문학이 아니어도 문제될 것이 없다. 조선조 이전의 작품들은 이런 목적 아래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그 가운데서도 해석의 다양한 방법이 드러난다. 허난설헌과 황진이를 두고 김태준은 개인의 자의식에 무게를 둔 반면, 조윤제는 객관적 자료의 가치를 중시하며, 이명선은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이들을 이해하였다. 반면 집단으로 향유되던 규방가사나 소설에서는 문학사가들마다 일정한 차이를 두지만, 객관적인 자료 제시보다 문학과 대중의 상관성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다보니 여성문학은 자연히 하층문학으로 다루어질 수밖에 없다. 초기 문학사에 기술된 여성문학의 실상이 정말 그러했는가에 대해 비판할 부분도 많다. 근대주의 시각이니 여성을 주변적 존재로 인식했다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이 여성의 소양을 거부하고자 한 데서 비롯된것이 아니라, 현재적 처지에서 무엇인가를 말해야 했던 문학사가들의 고민으로 읽어낼 수는 없는가 하는 반성도 하게 한다. This thesis is for the purpose of studying how to understand the "Women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and how to treat the description by the meanings during the period from the publication "Josunmunhaksa" by Mr. AnWhak in 1922 to befor Korean War. The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wrote two different types of the Women`s Literature presented by a scholar on Korean literature. The one is introduction the real state in a detached way and the other one is edit the special interpretation in to the literature. In the literature before JoSun introduces from the former standpoint but the literature after Josun introduces from the latter standpoint. However, the case of the latter standpoint, it does not fasten on the Women. Merely it fasten on the point of status in the stream of Literature`s "progress". Considering that treating the Women`s Literature as a Commons Literature and then this Commons Literature is the Citizens Literature, it reflects the latter standpoint. We have to consider these aspects are the history of literature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at that time, but is was not the conspirac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족의 의미망을 통해 본 야담

        Kim Joon hyeong(金埈亨)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0

        이 글은 가족 이야기를 통해 야담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씌어졌다. 야담집에는 현대 의미의 가족은 존재하지 않는다. 가족은 당시 이데올로기의 한 방편으로만 존재했다. 실제 야담집에서 가족의 의미를 담은 용어는 가인(家人)인데, 이 말은 크게 두 형태로 쓰였다. 그 하나는 한 집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이며, 다른 하나는 친족의 개념이 강한 가문이다. 야담집에 쓰인 가족은 이 두 가지 의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둘은 이원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당시 사회에서 가구와 가문은 서로 떨어져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야담집에서 가족으로 편입하기 위해서는 애정보다 가문의 번성을 위한 조건이 더 중시된다. 따라서 가족으로 편입되기 위해서는 가문을 빛내야 하는데, 그 양상의 중심은 과거에 급제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야담에서 애정은 부정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야담집에서 애정 이야기 역시 애정 이야기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거 등을 통한 현달에 의해서만 비로소 가문에 복귀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양상은 패설과 일정한 차이가 있다. 패설은 정을 긍정하기 때문에 가상의 상황을 설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현실을 부정하는 데서 나온 것이다. 반면 야담은 현실을 긍정하는 측면에서 이야기를 전개하기 때문에 현실성이 강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This essay aims to research characters of Yadam by stories concerning family in Yadam books. There is no family, family just like the same meaning in present days in Yadam books. But there is the word, family member(家人). It has two meaning. The first, it means family members in a house, the second it means the family which includes blood relatives. There is no other meaning except these conceptions about family In Yadam books. The family member who separated from the original family has to pass the highest level state examination for reunion with his family. This mean that the social state is more important than the love. This character of Yadam book is different from the Paeseol. The love is more important than the social state. The story in Paeseol books affirms the false situation but that of Yadam books deny the fictional world. That is the main reason why the story in Yadam books lays stress on the social state.

      • KCI등재

        <태평한화골계전>에 담은 일상에 대한 관심과 실천

        김준형(Kim, Joon-Hy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51 No.-

        이 글에서는 태평한화골계전을 읽는 세 가지 전제를 마련했다. 첫째, 태평한화 골계전을 허구로만 읽을 수 없다는 점. 둘째, 태평한화골계전은 여말선초 문명 전환의 분위기를 반영한 최초의 매체 역할을 했다는 점. 셋째, 태평한화골계전 수재 이야기 대부분은 낙관적 분위기로 점철된 일상을 재현하되, 부정적 인물도 제시함으로써 실천을 통한 교정을 요구한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문명 전환의 기운이 팽배하던 여말선초. 당대 문인들은 저마다 문명 재건에 대한 자각의 기류가 강했다. 자각의 기류는 문인들로 하여금 자신이 발 딛고 사는 지금의 일상에 주목하게 했고, 일상에 대한 관심은 당대를 사는 그들만의 자부심을 보여주려는 글쓰기로 이어졌다. 태평한화골계전은 그런 현상을 담은 최초의 저작 이었다.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이라 할 만하다. 태평한화골계전에서는 책 안에서 교훈성을 강조한다. 장황한 변명은 미디어가 처음 출현할 때 위해론이 제기되고,그에 따라 ‘그럼에도 교육적 효과가 있다.’는 식의 대응논리가 마련되는 양상과 다름없다. 최초의 매체 태평한화골계전의 출현은 이후 여러 텍스트 산출에 영향을 미친다. 촌담해이나 어면순등은 그 결과라 할 만하다. 그러나 이후 텍스트는 일상에 대한 관심보다 이야기가 지닌 오락성을 위주로 했다. 문명 전환의 분위기가 얼마간 가라앉으면서 나타난 변화의 결과였다. 태평한화골계전에 수록된 일화 대부분은 편자가 살던 시대를 배경으로 제시했 다. 서거정이 당대 일상을 보여주기 위해 태평한화골계전을 저술했음을 확인케 한다. 실린 이야기도 실재했던 일이다. 허구로 보이는 일들도 사실에 기초했다. 게다가 오락성까지 확보했다. 이로써 보면 태평한화골계전은 역사 서술에서 일탈한 문학적 글쓰기이자, 문학적 글쓰기에서 일탈한 역사 서술이라 할 만하다. 태평 한화골계전에는 부정적 인물을 소재한 일화가 많지 않다. 풍자로 볼 만한 작품은 더욱 적다. 풍자를 드러냈다고 볼 만한 작품 역시 등장인물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사회 비판은 더 더욱 아니다. 단지 부정적 인물을 반면교사로 삼아 자신을 수양하려는 전제로만 작동할 뿐이다. 수양을 통해 현실을 개조함으로써 새로운 문명을 대응하려는 낙관론적 세계관이 반영된 결과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ree factors. First, Taepyeonghanwhagolgyejeon can be understood as the emergence of new media. Second,  Taepyeonghanwhagolgyejeonis a historical writing and also literary writing. Third, Taepyeonghanwhagolgyejeondepicts everyday life just as it is and induces the practice of civilization. In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when there was full of vigor for the transition of civilization, each of the literary persons revealed their own strong consciousness about restoring civilization. In fact, there was an atmosphere that they intended to show their own pride about the age they were living by describing everyday life in that period that they were leading their lives.  Taepyeonghanwhagolgyejeonwas the first work that dealt with such phenomena. In this sense, Taepyeonghanwhagolgyejeoncan be understood as the emergence of new media. Taepyeonghanwhagolgyejeondoes wordily mention that it contains didactic contents. This i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when new media appear, people insist they would be harmful, and accordingly, logic to cope with it is established, for instance, saying ‘they may be effective in terms of education.’  Taepyeonghanwhagolgyejeonis about the people who lived in the same age when the writer lived. This allows us to know that the author wrote  Taepyeonghanwhagolgyejeonto talk about everyday life in that period. The episodes contained in it are all real. The writer obtains entertaining effects while delivering facts. In this perspective, we can say that  Taepyeonghanwhagolgyejeonis a literary writing deviating from historical statements and also historical statements deviating from a literary writing. There are not many negative persons in Taepyeonghanwhagolgyejeon. There are very few works dealing with satire. The works revealing satire are not intended to criticize either the characters or society, either. Negative persons are adopted to cultivate himself taking them as an example he can profit by. This is the result of reflecting an optimistic view of the world to change the reality through cultivation and create new civiliz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