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시각기호로서 숫자의 활용이 이미지연상에 미치는 효과

        김준교(Kim Junkyo),김덕순(Kim Deoks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1

        이미지는 연상의 집합(set of association)으로 이미지의 진단 및 관리에 있어서 기초 단위가 된다. 따라서 이미지는 소비자의 마음속에 강하게 인식되기 위해 독특한 특정 연상을 강조한다. 이러한 특정 연상의 하나로 숫자를 활용한 디자인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디자인에서 다국적 언어인 숫자를 활용한 디자인은 핵심정보를 전달하는데 효율적일 뿐 아니라 소비자에게 새로운 형식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과학적인 신뢰감을 준다는 점에서 숫자마케팅을 통한 메시지 전달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각기호로서의 숫자를 이해하는 단초로서 연상이라는 단위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지각적 반응의 특성에 대해 기존 선행연구가 언급한 요인들을 종합하여 관찰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전문적인 디자인교육을 받은 전공자 집단과 비전공자 집단을 대상으로 무형적 요소인 이미지 연상을 조사하여 비교 하였다. 전체적으로 본 논문은 지각심리학에 토대를 두고 진행된 이론적 연구 이론적 연구를 통해 밝혀진 이미지연상의 효과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숫자를 활용한 디자인이 이미지 연상에서'좋다','나쁘다'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연상능력과 형태 인지능력이 사람에 따라 다르다는 가정 하에 각각의 숫자 활용 디자인이 강조하고 있는 특정 연상에 대해서 소비자가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디자이너의 시각 표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디자인 작업의 효율성을 제시하고 디자인에서 숫자의 개성을 표현함에 있어 적절한 원리를 포착하기 위한 하나의 척도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mage is a basic unit of image diagnosis and management as a set of association. For this reason an image emphasizes a specific and unique association to be recognized in customers' mind. As one of these specific association an interest in number-oriented design has been increasing greatly. Design dealing with number which is an international language is not only efficient but recognized as a new form by customers. This research focuses on a unit of association for a clue to understanding number as a visual signs. In addition this research tries to synthesize and observe precedent researches already mentioned content on features of perceptual reaction and prove the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research surveyed and compared the image association which is an intangible element between specialists who got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and the others. On the Whole this research presents theoretical researches based on perceptual psychology and the analysis of image association's effectiveness through the researches. This research studied how much the customers recognize specific association emphasized by each design with number under the supposition that capabilities of association and shape recognition differ to individuals not judging whether design using number is good or bad for the image association. Furthermore it will be pleasure if this research can present efficiency for design works giving essential information for designers' visual expression being used as a criterion to catch a proper element in expressing number's characteristics in design.

      • KCI등재후보

        지역 공공문화 형성을 위한 디자인의 역할 연구 : 독일 루르탄광지역 도시재생계획을 중심으로

        김준교(Kim Junkyo),김은정(Kim Uncho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1

        우리나라의 도시는 팽창과 진화의 과정에서 뚜렷한 도시의 아이콘이 없이 양적인 부분과 기술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최근 공공문화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대되며 공공디자인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으나 지역의 정체성을 찾고 공공문화 형성에 크게 이바지 하고 있는 사례를 찾기는 어렵다. 특히 과거 폐광지역에 대한 개발 사례의 문제점들은 매스컴을 통해 자주 보도되곤 한다.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며 공공문화 콘텐츠 개발에 성공한 독일의'이바 엠셔파크'(IBA Emscher Park)의 사례분석을 통해'버려지고 오래된 것'을 기능의 전환을 통해'오래된 이야기'로 재생시켜 지역의 공공문화로 정착시키고 문화콘텐츠의 모범적인 사례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찾고 규모나 재정지원 면에서 비교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지만 과거 탄광지역이었다는 공통점을 가진 강원남부 폐광지역 개발 방향을 디자인적 측면에서 제안해 보고자 한다. Our city has been developed centered around quantities and technical parts without differentiated city's icon in the process of expansion and evolution. Recently as interest and investment in public culture has been increased public design area has been increasing as well but it is hard to find out cases in which we can find out identify of a local area and greatly contribute to forming of public culture. Especially it is often reported that the abandoned mine area has been developed through mass media. We are going to regenerate 'Abandoned and long things' as 'An old story' through analyzing Germany's IBA Emscher Park case through which Germany could regenerate a local area's identify and succeed in content development of public culture thereby settling it down as public culture in a local area and making best practice for culture content so that we can find out a design role. And even if it is not appropriate to compare it in terms of size and financial it has common ground of mining area in the past so we want to suggest development orientation for southern area of Kangwon in terms of design.

      • KCI등재후보

        IPTV 어린이 교육콘텐츠 현황과 UI 방향성 제안 : 어린이 영어 교육콘텐츠 중심으로

        김준교(Kim Junkyo),김민수(Kim Minsu)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으로 방송 통신 융합의 디지털화가 가속되면서 IPTV가 등장하게 되었다. 최근 IPTV의 콘텐츠 기획 및 구성에 관한 연구가 많아져서 소프트웨어적인 접근이 눈에 띄게 늘었으나 아직도 어린이 교육 콘텐츠 분야에 대한 질적 양적 접근은 미흡한 실정이다. 각 채널마다의 프로그램 콘텐츠 설계의 기준이 각기 다르고 시각적 인지적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IPTV에 접목시켜 디자인 사례와 의미를 분석하여 디자인 정보화시대에 실용적으로 양방향 인터랙션 기반의 어린이 영어 교육콘텐츠에 향상된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Due to rapid change of digital environment TV and Internet are combined out of necessity these days. It is called IPTV. Although It is investigated diverse projects contents and constructions of IPTV The conception and characteristic of children's education approach need to develop the aspect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It has a lot of issues form the perspective of cognition interface and visual interface. Also every single channel has their own standard of program's contents and constructions. Demand for more user-friendly IPTV features led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a remarkable opportunity that arose from the creation of this completely digital realm. In this study analyzed case studies of interface adaptation as well as the metaphoric meaning as analysts. This study shows that the expressions and roles in the contemporary period of information are practically applied to the interaction design of the Children's education contents of the IPTV.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의한 음료패키지디자인 가이드라인

        김준교(Kim Junkyo)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고도 경제 성장기의 제품 제조는 항상 인구 분포가 집중되고 구매 욕구가 높은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경쟁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생산된 제품과 건설 환경의 대상이 대량생산의 효율성을 위해 표준화된 대상만으로 한정되어 왔다. 이에 대한 비판과 반성으로 나타난 것이 바로 유니버설디자인이다. 본 연구는 패키지디자인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상관관계를 통해 가이드라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디자인 과정에 도입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음료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 장애와 관계없이 누구나 구매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 없이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들이 현재 느끼는 불편한 요소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러한 제품이 다양한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어떤 유니버설디자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의한 구체적인 세부가이드라인항목을 규정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패키지 분야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패키지 산업이 보다 넓은 소비자층에 수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더욱더 창의적이면서 실용적인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manufacture of products over the period of a highly economic growth has always been accomplished competitively aiming at the majority who have a high purchasing need and live in a demographically populated area. In addition the manufactured products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have been confined to a standardized audience. As criticism and regret for these Universal Design has emerg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realize the importance of guideline by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package design and universal design and apply it to design process. Particularly it aims to solve the problems on drink package design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visual communication to get rid of any difficulty in purchasing and using the products regardless of the users' gender age and disability. For this reason it starts off with specifying detailed guideline categories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 to find out the causes that make users feel inconvenient and what kind of universal design feature is needed to help the products satisfy the diverse users. In the field of study starting with a package of universal design is becoming active on a wider customer base package the industry can be accommodated in the hope that more and more creative and practical research that is expected to continue to be made.

      • KCI등재

        포스터 레이아웃의 비가시적 조형요소- 인물 중심의 영화 포스터를 중심으로 -

        이설민 ( Lee Seolmin ),김준교 ( Kim Junky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6 No.-

        그래픽 디자인 영역의 한 분야인 영화 포스터는 홍보기능 뿐만 아니라 영화와 관객의 사이에서의 의사소통 도구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물중심 레이아웃 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상영되었던 영화 포스터에서 타이틀과 인물의 위치 관계를 분석한다. 레이아웃에 영향을 미치지만 연구가 미흡했던 요소 즉, 이미지 텍스트에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시각적 유추를 통해 느낄 수 있는 비가시적 조형요소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추출한다. 그리고 비가시적 조형요소가 레이아웃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새로운 레이아웃의 전략적인 측면을 연구한다. The movie poster which is a part of graphic design area has important implications as a communication tool between film and the audience as well as the ability to promote.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position between the title and the character to have knowledge about strategic layout at character-driven in film was screened from 2009 to 2011. This study extracts invisible formative elements which not revealed directly in image-text but felt by visual analog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will study the layout strategic aspect by analyzing the effect of invisible formative elements on the lay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