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해안 해성단구 분포, 형성시기 및 융기율 검토

        김주용,양동윤,김진관,이진영,김정찬,홍세선,오근창,최돈원,Kim, Ju-Yong,Yang, Dong-Yoon,Kim, Jin-Kwan,Lee, Jin-Young,Kim, Jeong-Chan,Hong, Sei-Sun,Oh, Keun-Chang,Choi, Don-Won 한국제4기학회 2005 제사기학회지 Vol.19 No.1

        한반도에서의 해성단구 연구는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동해안 전역에 걸친 고해수면 종단 및 횡단 분포도 작성, 해성단구 퇴적상 특성 해석, 해성단구 퇴적물의 OSL 연대 측정 및 융기율 산정 등 여러 부문에 걸쳐 빠르게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해성단구 연구자들은 동일 고도에 분포하는 해성단구들이라도 항상 동일한 퇴적상이나 형성연대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고 있다. 해성단구 시스템은 낮은 고도로부터 1, 2, 3, 4, 5 단구시스템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단구시스템의 연대는 낮은 단구에서 높은 단구로 갈수록 일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해성단구 연구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제2단구와 제3단구 시스템의 구분 및 이들의 형성시기에 관한 것이다. 논란의 핵심은 약 30~35m(~40m)에 분포하는 해성단구와 약 20m전후의 해성단구중 어느 것이 최종간빙기에 형성되었느냐에 관한 것이다. 동해안 단구분포와 형성시기에 기초한 지반 융기율은 전체적으로 볼 때 약 0.10~0.20m/ka로 추정된다. Researches onmarine terrace in Korea have been drastically progress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main themes of researches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paleo-shoreline, sedimentary facies ofmarine terrace deposits, OSL dating of terrace deposits and estimation of uplift rate. At present, it is noted thatmarine terraces distributed at the same altitude do not always show the same sedimentary facies, nor have the same ages.marine terraces are generally divided into five terrace systems, of which ages increase in ascending order. There are some arguments about discrimination between 2nd and 3rd terrace systems and their age. The core discrepancy lie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level of the last interglacial terrace is on the level of about 20m or on the 30~35m(~40m) in altitude. The uplift rate based on the paleoshoreline distribution ranges between 0.10 and 0.20m/ka.

      •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 제4기 지질 연구

        김주용,양동윤,홍세선,남욱현,이헌종,이진영,김진관,오근창,Kim, Ju-Yong,Yang, Dong-Yoon,Hong, Sei-Sun,Nahm, Wook-Hyun,Lee, Heon-Jong,Lee, Jin-Young,Kim, Jin-Kwan,Oh, Keun-Chang 한국제4기학회 2005 제사기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영산강 하류 무안, 일로 및 동강 지역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분포와 형성시기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의 기존 시추코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동강면 장동리 용동부락 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랜치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렌치 조사에서는 퇴적층에 대한 지층단면 조사, 입도분석 및 대자율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플라이스토세말 영산강 하류 해안평야의 제4기 퇴적층준의 형성시기와 환경변화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산강 하류 해안지형을 구성하는 퇴적층준은 LGM 이후 해수면 상승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고도 약 7-10m 사이에 분포하는 해면변동성 단구면과 현재 해안평야 사이에 나타나는 단구애는 최종빙기중의 아빙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도 약7-10m의 해면변동성 단구면은 최종간빙기 초기, 고도 7-10m 단구면과 약 15m 단구면 사이의 단구애는 최종간빙기내의 아빙기, 그리고 고도 약 15m의 단구면은 최종간빙기(5e)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은 한반도 동남해안에 발달하는 다른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과 잘 대비된다. 이 연구는 영산강 하류의 구석기 유적 분포와 관련된 제4기 퇴적층의 분포특성 해석을 통하여 구석기 시대 생태환경 복원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distribution and formation age of Quaternary deposits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 Estuarine River, encompassing Muan, Illo and Donggang counti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examine several borehole data, and step trench survey for excellent profiles was studied in connection with grain size population and magnetic susceptibility. As a result,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astal plain of the Yeongsan River was formed by sea level rise after Last Glacial Maximum(LGM). The fore edge/escarpment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7-10 m asl is assumed to be formed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while the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7-10m asl formed during MIS 5a. In addition, the fore edge/escarpment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15 m asl is presumed to be have been formed during the stadial of last interglacial period, while the formation age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15m(asl) is assumed to be MIS 5e. This formation age can be estimated by the coastal terrace ages o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deposits linked to paleolithic culture will eventually lead to the reconstruction of ecosystem environment of paleolithic peoples.

      • KCI등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연구

        김주용,정상화,문상필,류재엽,서기영,Kim, Ju-Yong,Jung, Sang-Hwa,Mun, Sang-Pil,Ryu, Jae-Yup,Suh, Ki-Young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연료전지의 전압을 $380[V_{DC}]$로 승압하기 위한 새로운 절연형 DC-DC 컨버터와 단상 $220[V_{DC}]$로 변환하기 위한 LC필터를 가진 PWM 인버터로 구성된 연료전지용 전력변환장치를 제안하였다. 여기서 기존의 컨버터보다 부품수가 적고 제어가 용이하며, 대용량에 적합한 새로운 DC-DC 컨버터는 2차측에 스위치 $S_5,\;S_6$을 추가로 구성하여 위상천이 폭을 조절함으로써 출력 전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넓은 출력 전압 조정에서도 $93{\sim}97[%]$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연료전지와 유사한 출력 특성을 갖는 연료전지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으며, 적절한 데드 타임 td을 제어하여 고주파 변압기의 여자 전류의 피크값과 고주파 변압기 1차측 전류가 일치하는 부분에서 소프트 스위칭을 실현 시켰다. 또한 직렬 인덕턴스 La를 추가적으로 적절하게 설정하여 2차측의 스위치와 직렬 다이오드에 발생하는 서지 전압과 경부하시에 발생되는 도통 손실을 저감시켰다. 끝으로 TMS320C31보드와 EPLD를 이용한 PWM 스위칭 기법에 의해 동작하는 단상 인버터를 설계, 제작하여 가정용 교류전압 공급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In the dissertation, a power conversion system for fuel cell is composed of a PWM inverter with LC filter in order to convert fuel cell voltage to a single phase 220[V]. In addition, new insulated DC-DC converters are proposed in order that fuel cell voltage is boosted to 380[V]. In this paper, it requires smaller components than existing converters, which makes easy control. The proposed DC-DC converter controls output power by the adjustment of phase-shift width using switch $S_5\;and\;S_6$ in the secondary switch which provides 93-97[%] efficiency in the wide range of output voltage. Fuel cell simulator is implemented to show similar output characteristics to actual fuel cell. Appropriate dead time td enables soft switching to the range where the peak value of excitation current in a high frequency transformer is in accordance with current in the primary circuit. Moreover, appropriate setting to serial inductance La reduces communication loss arisen at light-load generator and serge voltage arisen at a secondary switch and serial diode. Finally, TMS320C31 board and EPLD using PWM switching technique to act a single phase full-bridge inverter which is planed to make alternating current suitable for household

      • 스위치 캐패시터형 공진 DC-링크를 사용한 3상 전류형 소프트 스위칭 PWM 컨버터

        김주용(Ju-Yong Kim),서기영(Ki-Young Suh),이현우(Hyun-Woo Lee),문상필(Sang-Pil Mun),김영문(Young-Mun Ki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11월

        This paper presents a novel three-phase current-fed Pulse Width Modulation converter with switched- capacitor type resonant DC link commutation circuit operating PWM pattern strategy under a design consideration of low-pass filter, which can operate on he basis of the principle of zero current soft-switching commutation. In the first place, the steady-state operating principle of this converter with a new resonant DC link snubber circuit i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quivalent operation circuit, together with the practical design procedure of the switched-capacitor type resonant DC link circuit is discussed from a theoretical viewpoint on the basis of a design example for high-power applications. The actively delayed time correction method to compensate distorted currents due to a relatively long resonant commutation time is newly implemented in the open control scheme so as to acquire the new optimum PWM pattern. Finally, the experiment of set-up in laboratory system of this converter is concretely demonstrated herein to confirm a zero current soft-switching commutation of this converter. The comparative evaluations between current-fed hard switching PWM and soft-switching PWM converters are carried out from a viewpoint of their PWM converter characteristics.

      • 분상 DC-AC인버터를 이용한 100V/220V겸용 전원시스템

        김주용(Ju-Yong Kim),김영문(Young-Mun Kim),정태욱(Tae-Uk Jung),권순걸(Soon-Kurl Kwon),고희석(Hee-Seog Koh),서기영(Ki-Young Suh)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It is necessary to use the boost DC-DC converter and the DC-AC inverter in residential fuel cells to adjust voltage into the adequate value and acquire the alternating current of 220V, respectively. Because most residential fuel cells have the low power under 5kw and the range of the output voltage fluctuation is large. in this paper, the single-phase inverter consisted with minimum devices was manufactured to supply AC voltage of 110/220[V], 60[㎐] at residential, which connects DC-DC converter and DC-AC inverter. Also, the PWM switching technique using ATmega 128 devices was applied in this system.

      • 보 철근공사 조립공법별 작업시간분석

        김주용 ( Kim Ju-yong ),김민규 ( Kim Min-ku ),김영길 ( Kim Young-kil ),김광희 ( Kim Gwang-hee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9 No.2

        The rebar work is a labor intensive construction work with a high labor cost ratio.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productivity, construction time, and safety of rebar work. The problem of productivity decreased in rebar construction is due to a lack of workers according to the aged workers. Partial prefabrication rebar can be an alternative solution to productivity decreased in rebar work. The characteristic of partial prefabrication method is that time consuming component such as stirrup of beam assemble in factory and others assemble in sit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ime required for each rebar assembly method is measured and analyz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productivity improvement.

      • 3D 스캐닝을 활용한 철근배근 간격 확인

        김주용 ( Kim Ju Yong ),박지영 ( Park Ji Yoeng ),김채원 ( Kim Chae Won ),이영도 ( Lee Young Do ),김광희 ( Kim Gwang Hee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research on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pursued as a measure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e technology that links 3D scanning and BIM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is in the limelight as a technology for checking the state of building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It is thought that these techniques will be of great help in solving problems when the amount of inspection targets is large, such as confirmation of the rebar arrangement intervals, and therefore a large number of human resources are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pply 3D scanning to rebar construction to confirm whether the rebar arrangement can be confirmed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 In the study, the wall rebar of the rebar placed at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was directly scanned to extract data, and the rebar placing status was confirmed through typ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inforcing bar arrangement state based on the data obtained by 3D scanning, it was found that the technology can be utilized.

      • KCI등재

        AHP 분석에 의한 무인타워크레인 사고 요인의 중요도 순위

        김주용 ( Kim Ju-yong ),정영철 ( Jung Young-chul ),김광희 ( Kim Gwang-hee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0 No.6

        국내 건설 현장 타워크레인의 사용량 증가에 따른 재해 감소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무인타워크레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워크레인 유형별 사고 요인의 중요도 순위를 AHP 분석을 통해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무인타워크레인에서 인양 작업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요도가 높은 요인을 우선적으로 관리하여 타워크레인 사고저감을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Korea construction industry,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reduce the disasters related tower crane due to the increase of tower crane’s usage and accidents continuously. Although the usage amount of remote control tower crane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the research on remote-control tower crane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ranking of remote control tower crane's accident factors derived by AHP analysis. AHP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engineers (or operators) like construction site engineer, construction manager, safety engineer, and tower crane operator, who have more than 10 years career. The results of AHP analysis reveal that top ranking factor of remote control tower crane's accident is lifting work for materials. Therefore, the high importance factors should be managed, and taken the priority measures for reducing the tower crane accidents by u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금강 중류 구석기 유적의 제4기 지질 환경과 층서 고찰

        김주용(Kim, Ju-Yong),양동윤(Yang, Dong-Yoon),이융조(Lee, Yung-jo),우종윤(Woo, Jong-yoon),홍세선(Hong, Se-Sun),이상헌(Yi, Sangheon),남욱현(Nahm, Wook-Hyun),이진영(Lee, Jin-Young),봉필윤(Bong, Phil-Yoon ),오근창(Oh, Keun-Chang),이승원(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2

        금강 중류 유역의 하안단구 상면에서 사면프로세스와 연동된 여러 매의 사니질 고토양층은 구석기 인류의 삶의 증거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청주 관내 오송 만수리, 옥산 소로리, 현도 노산리-하석리 일대 하안단구는 저위 I면(제2단구) 위에 하성퇴적층이 널리 발달하여 있다. 금강 중류 하안단구는 해발고도 약 30m 아래에 분포하는 하성 사력층은 전반적으로 최종빙기 초(약 60ka) 이후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3개 구석기 유적 지점에 나타나는 고토양층 형성은 만수리에서 약 45ka 이후(1지점 Q 28), 소로리에서 약 43ka 이후 (H-15 시추코아), 그리고 노산리에서 약 37ka(3지점 F5)~43ka(2지점 B-1)로 각각 나타나, 전반적으로 고토 양층의 형성은 플라이스토세 말 중에서도 주로 최종빙기 중기와 후기(MIS 3~2) 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소로리에서 신기 하성퇴적층이 최종빙기최성기(MIS 2) 이후 뵐링-알러뢰드 간빙기에 걸쳐 형성되었다. 금강 중류의 3개 구석기 유적발굴 지점 토층단면의 고토양층에서 환경변화와 주기성에 대한 예비 결과, 대자율은 농갈 색이나 적갈색 고토양층 구간에서 증가하며, 갈색~암갈색 고토양층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아 지는 경향을 보이며, 대자율 상승 구간에서는 일반적으로 실트 함량이 증가(40~50 % 이상)함과 동시에 사질 함량은 감소 (20~30 이하)하는 경향을 강하게 지시하고 있다. 오송 만수리 1지점 대표단면(Q28칸)의 대자율 분포를 보면, 약 65,000년전 이후 약 만년주기의 하인리히 이벤트(H5~H3) 주기가 나타나는 것으로 간주되며, 금강 유역의 다른 구석기 유적에서도 나타나는지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A number of Paleosols, which contain relicts of the paleolithic peoples, are associated with slope-processed deposits on the fluvial terrace along the middle part of Keum River Basin, where Low Terrace-I(or 2nd Terrace) is prevailed with sand and gravel deposits, particularly at Mansuri(Osong-myeon), Sorori(Ogsan-myeon), and NosanriHaseogri(Hyeondo-myeon) in Cheongju City. Fluvial terrace deposits in middle part of Keum River are distributed below ca 30 m(asl) and interpreted to be formed after 60ka. Formation ages of paleosols of three paleolithic sites in this research are converged into the range between the MIS 2~MIS3 during the Last Glacial(Upper Pleistocene); Paleosols of Mansuri initially formed in the range of 45ka(Q28 pit in Loc. 1), Paleosols of Sorori formed after 43.6ka(H-15 core), and Paleosols of Nosanri after 37ka(F5 in Loc. 3). In Sorori site Young Fluvial Sequence(YFS) formed during the BøllingAllerød Interstadial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LGM). It can be manifested from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soil-sedimentary profiles of three paleolithic sites that MS increases in reddish brown and dense brown Paleosols, while it decrease relatively in brown or dark brown Paleosols; MS increase is associated with both increasing silt fraction(> 40~50 wt %) and decreasing sand fraction(>20~30 wt %) in general. Lastly although it regards that the cyclicity of low MS peaks in the representative vertical profile(Q28) of Mansuri Loc. I site may be associated with the worldwide Heinrich events(H4~H6), it may be further examined from the other Paleosol profiles among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Keum River Ba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