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한 골조공사 진도측정 연구

        김주용,김상희,김광희,Kim, Ju-Yong,Kim, Sanghee,Kim, Gwang-Hee 한국건설관리학회 202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5 No.3

        최근 스마트 건설기술 중 현상에 대한 정확하고 빠른 정보수집이 가능한 3D 레이저 스캐닝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3D 레이저 스캐닝 기술은 건설현장에서 현실과 가장 유사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3D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활용하여 수집할 수 있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건설현장 진도측정에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새로운 부재 식별방법을 실제 건물에 적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BIM으로부터 부재 식별을 위한 위치 정보를 수집, 수집된 위치 정보의 인식 여유 범위를 설정하여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 식별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로부터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기둥, 보, 벽 그리고 슬라브를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식별결과는 실제 건물에 시공이 완료된 부재를 모두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프로젝트 BOQ의 부재별 단가와 연동하여 기성 산출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연구를 통해 획득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건설현장의 품질관리 모니터링 및 건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정확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연구결과는 추후 프로젝트 활용을 위해 사용되는 건설 정보의 적시성 및 정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which can collect accurate and quick information on phenomena,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mong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can obtain information most similar to reality at construction site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pply a new member identification method to an actual building and presen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oint cloud data, which can be collected using 3D laser scanning technology, to measuring progress at construction sites.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w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for component identification from BIM, set a recognition margin for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and proceed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building from point cloud data. Research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columns, beams, walls, and slabs that make up a building can be identified from point cloud data. The identification results can be used to confirm all the parts that have been completed in the actual building, and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unit price of each part in the project BOQ for prefabricated calculations. In addition, the point cloud data obtained through research can be used as accurate data for quality control monitoring of construction sites and building maintenance management. The research result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timeliness and accuracy of construction information used in future project applications.

      • 동해안 해성단구 분포, 형성시기 및 융기율 검토

        김주용,양동윤,김진관,이진영,김정찬,홍세선,오근창,최돈원,Kim, Ju-Yong,Yang, Dong-Yoon,Kim, Jin-Kwan,Lee, Jin-Young,Kim, Jeong-Chan,Hong, Sei-Sun,Oh, Keun-Chang,Choi, Don-Won 한국제4기학회 2005 제사기학회지 Vol.19 No.1

        한반도에서의 해성단구 연구는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동해안 전역에 걸친 고해수면 종단 및 횡단 분포도 작성, 해성단구 퇴적상 특성 해석, 해성단구 퇴적물의 OSL 연대 측정 및 융기율 산정 등 여러 부문에 걸쳐 빠르게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해성단구 연구자들은 동일 고도에 분포하는 해성단구들이라도 항상 동일한 퇴적상이나 형성연대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고 있다. 해성단구 시스템은 낮은 고도로부터 1, 2, 3, 4, 5 단구시스템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단구시스템의 연대는 낮은 단구에서 높은 단구로 갈수록 일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해성단구 연구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제2단구와 제3단구 시스템의 구분 및 이들의 형성시기에 관한 것이다. 논란의 핵심은 약 30~35m(~40m)에 분포하는 해성단구와 약 20m전후의 해성단구중 어느 것이 최종간빙기에 형성되었느냐에 관한 것이다. 동해안 단구분포와 형성시기에 기초한 지반 융기율은 전체적으로 볼 때 약 0.10~0.20m/ka로 추정된다. Researches onmarine terrace in Korea have been drastically progress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main themes of researches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paleo-shoreline, sedimentary facies ofmarine terrace deposits, OSL dating of terrace deposits and estimation of uplift rate. At present, it is noted thatmarine terraces distributed at the same altitude do not always show the same sedimentary facies, nor have the same ages.marine terraces are generally divided into five terrace systems, of which ages increase in ascending order. There are some arguments about discrimination between 2nd and 3rd terrace systems and their age. The core discrepancy lies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level of the last interglacial terrace is on the level of about 20m or on the 30~35m(~40m) in altitude. The uplift rate based on the paleoshoreline distribution ranges between 0.10 and 0.20m/ka.

      • KCI등재

        철/망간 산화물 피복제를 이용한 오염지하수에서의 As(III)제거

        김주용,최윤형,김경웅,안주성,김동욱,Kim Ju-Yong,Choi Yoon-Hyeong,Kim Kyoung-Woong,Ahn Joo Sung,Kim Dong Wo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5

        철산화물 피복 모래를 이용한 투수성 반응 벽체는 As(V)로 오염된 지하수의 처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As(III)에 있어서는 그 제거효과가 제한적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 방법에 의한 3가 비소제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As(III)를 As(V)로 산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망간산화물 피복 물질을 비소저감 촉진제로서, 철산화물 피복 물질을 이용한 처리 기법에 함께 적용하였다. 철산화물 피복 모래와 망간산화물 피복 모래를 함께 이용한 비소제거 방법으로서, 순차 제거법과 동시 제거법이 연구되었다. 두 가지 처리 방법 모두 6시간동안 $85\%$ 이상의 높은 비소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처리과정 동안 흡착제 표면의 철이나 망간의 용해에 의한 2차적인 오염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동시 제거법은 비소 저감 후 처리수의 산성도를 pH 6.0의 중성상태로 유지하는 반면, 순차 제거법은 처리수를 pH 4.5의 산성상태로 변화시키는 작용을 일으켜, 음용수로서의 이용을 위한 오염 지하수의 비소 저감법으로는 동시 제거법이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보다 높은 As(III) 제거 효과를 위해, 망간 및 철산화물을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피복시켜 비소제거에 적용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높은 표면적과 낮은 비중의 특성을 가진, 신축성 있는 스폰지와 같은 저렴한 중합체의 일종이다. 이를 이용한 비소 제거법은 피복모래를 이용한 방법보다 월등히 뛰어난 $99\%$ 이상의 높은 비소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피복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방법은 비소에 오염된 물의 음용수로의 이용을 위한 간편한 처리기법으로서 적용하기에 좋은 많은 실용적인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Permeable reactive barrier using iron oxide coated sand is one of effective technologies for As(V) contaminated groundwater. However, this method is restricted to As(III), because As(III) species tends to be more weakly bound to adsorben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iron oxide coated sand application to As(III) contaminated groundwater, manganese oxide materials as promoter of As(III) removal were combin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this study. For combined use of iron oxide coated sand and manganese oxide coated sand, two kinds of removal methods, sequential removal method and simultaneous removal method, were introduced. Both methods showed similar removal efficiency over $85\%$ for 6 hrs. However, the sequential method converted the As contaminated water to acid state (pH 4.5), on the contrary, the simultaneous method maintained neutral state (pH 6.0). Therefore, simultaneous As removal method was ascertained as a suitable treatment technology of As contaminated water. Moreover, for more effective As(III) remediation technique, polypropylene textile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urface area, low specific gravity and flexibility was applied as alternative material of sand. The combined use of coated polypropylenes by simultaneous method showed much more prominent and rapid remediation efficiency over $99\%$ after 6 hrs; besides, it has practical advantages in replacement or disposal of adsorbent for simple conventional removal device.

      • KCI등재후보

        긴장성 두통의 추나치료에 대한 임상 고찰: Pubmed와 국내문헌 중심으로

        김주용,김보현,김혜빈,육태한,김종욱,Kim, Ju-Yong,Kim, Bo-Hyun,Kim, Hye-Bin,Yook, Tae-Han,Kim, Jong-Uk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6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Chuna manual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tension type headache(TTH). Methods : All processes were independently carried out by three investigators.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in 3 databases(pubmed, OASIS, NDSL) from their inception to May 2016. Searched reports was twice excluded for title, abstract and body. And then, data extract and analysis was done before assessing risk of bias by Cochrane Handbook. Results : 11 RCT were included. Generally, Fascia Chuna therapy and Chuna spine & joint manipulation therapy were used for TTH. Except for 1 report, Chuna manual therapy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treating TTH. In assessing risk of bia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intervention, blinding of participants was high risk of bias in most reports. Conclusions : Chuna manual therapy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treating TTH. In korea, better designed trials with high quality is needed from now on.

      •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 제4기 지질 연구

        김주용,양동윤,홍세선,남욱현,이헌종,이진영,김진관,오근창,Kim, Ju-Yong,Yang, Dong-Yoon,Hong, Sei-Sun,Nahm, Wook-Hyun,Lee, Heon-Jong,Lee, Jin-Young,Kim, Jin-Kwan,Oh, Keun-Chang 한국제4기학회 2005 제사기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영산강 하류 무안, 일로 및 동강 지역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분포와 형성시기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영산강 하류와 삼포강 합류부 일대의 기존 시추코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동강면 장동리 용동부락 일대에 분포하는 제4기 퇴적층의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랜치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표단면에 대한 계단 트렌치 조사에서는 퇴적층에 대한 지층단면 조사, 입도분석 및 대자율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플라이스토세말 영산강 하류 해안평야의 제4기 퇴적층준의 형성시기와 환경변화를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산강 하류 해안지형을 구성하는 퇴적층준은 LGM 이후 해수면 상승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고도 약 7-10m 사이에 분포하는 해면변동성 단구면과 현재 해안평야 사이에 나타나는 단구애는 최종빙기중의 아빙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도 약7-10m의 해면변동성 단구면은 최종간빙기 초기, 고도 7-10m 단구면과 약 15m 단구면 사이의 단구애는 최종간빙기내의 아빙기, 그리고 고도 약 15m의 단구면은 최종간빙기(5e)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은 한반도 동남해안에 발달하는 다른 해안단구의 분포 특성과 잘 대비된다. 이 연구는 영산강 하류의 구석기 유적 분포와 관련된 제4기 퇴적층의 분포특성 해석을 통하여 구석기 시대 생태환경 복원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distribution and formation age of Quaternary deposits in the downstream of Yeongsan Estuarine River, encompassing Muan, Illo and Donggang counti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examine several borehole data, and step trench survey for excellent profiles was studied in connection with grain size population and magnetic susceptibility. As a result,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astal plain of the Yeongsan River was formed by sea level rise after Last Glacial Maximum(LGM). The fore edge/escarpment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7-10 m asl is assumed to be formed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while the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7-10m asl formed during MIS 5a. In addition, the fore edge/escarpment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15 m asl is presumed to be have been formed during the stadial of last interglacial period, while the formation age of coastal terraces distributed above 15m(asl) is assumed to be MIS 5e. This formation age can be estimated by the coastal terrace ages o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deposits linked to paleolithic culture will eventually lead to the reconstruction of ecosystem environment of paleolithic peoples.

      • 화폐의 국내 발달사

        김주용,Kim, Ju-Yong 한국정보통신집흥협회 1997 정보화사회 Vol.111 No.-

        화폐란 거래를 원활히 하는데 쓰이는 매개물의 일종으로 이 매개물은 조개껍데기, 옷감, 소금처럼 물건일 수도 있으며, 혹은 오늘날에 사용하는 지폐나 주화일 수 도 있다. 이러한 화폐의 기능으로는 가치척도, 지급수단, 가치저장, 교환의 기능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