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규간호사의 태움인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정신-신체-사회적 태움인지 중심으로
김주안,송충숙 경희대학교 경영연구원 2023 의료경영학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aeum Cognition(mental-physical-social) of new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Taeum Cognition deteriorates the working environment, deteriorating the health of nurses, the quality of patient care, and lowering social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9, 2022 to March 25, 2023,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nurses' Taeum Cognition has an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First, in the case of perceived mental burnout, verbal violence(β = -0.378, t value = -2.32, t value = 0.022**) affected turnover intention. Second, As for the influence of Taeum Cognition(physical) on turnover intention, the standardized coefficient(β) value is 0.290, the test statistic t value is 4.25, the significance probability(p value) is 0.000***, and the significance level(α) is 0.01. The higher the perceived physical burn, the more it influenced the nurse's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influence of Taeum Cognition(social) on turnover intention has a standardized coefficient(β) value of 0.180, a test statistic t value of 1.04, and a significance probability(p value) of 0.300,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α) of 0.01. Although it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a detailed examination showed that some(irrational business processing, privacy exposure) had an impact. In conclusion, new nurses' Taeum Cognition(mental-physical-social) affects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so changes at the social-national level are neede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e early establishment of a nurse treatment improvement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a burn prevention(self-awareness) education program are required, which is expected to help with turnover intention.
MZ세대 간호사의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주안,송충숙,안성식 한국취업진로학회 2023 취업진로연구 Vol.13 No.1
태움은 MZ세대 간호대학생에게 첫 직장에 대한 부정적 트라우마를 줄 수 있어 태움에 대한 인지가 진로정체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태움인지와 진로정체감이 간호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간호사 태움인지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간호사의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 태움인지가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간호사의 태움인지와 진로정체감이 간호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태움인지가 진로정체감보다 간호사 이직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태움인지가 높아질수록 간호사 이직의도가 높아지지만 진로정체감이 높아질수록 간호사 이직의도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간호사 태움인지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에 대한 모든 효과가 입증되었고, 진로정체감이 완전매개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MZ세대 간호사의 취업진로 지도 시 진로정체감형성에 도움이 되는 태움인지, 진로정체감형성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 점이다. 둘째는 실무자측면으로 MZ세대 간호대학생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신규간호사와 선임간호사의 입장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맞춤형, 혁신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태움인지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신규간호사뿐만 아니라 선임간호사들도 태움에 대한 바른 인지를 할 수 있도록 주기적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제도가 마련되어 병원의료 경영 및 사회-국가적 차원의 손실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하여 MZ세대 간호사와 기성세대인 선임간호사의 태움인지에 대한 차이 비교 등 질적 및 양적 연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기대한다.
학교조직풍토와 교사의 전문성 발달단계별 특성이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주안,유평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organizational climat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Using data extracted from 235 teachers in kindergartens, the survey was developing and the output is analyzed statistically.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used to prove the actual empirical pro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are rejected because each p-value is 0.487 and 0.145 at the significance level α=0.05. Therefor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Hypothesis 3 is accepted with path coefficient 0.459, t-value 3.752. The organizational climate affects on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positively. Hypothesis 4 is rejected with p-value 0.934.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outcome of hypothesis 1. The influence of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on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is not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α=0.05. Hypothesis 5 is accepted with path coefficient 1.837, t-value 4.456. Teacher’s commitment to organization has an positive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본 연구는 조직풍토, 교사의 전문성 발달단계별 특성 및 교사의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 모형을 작성하고 연구가설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외생변수의 단순 평균값을 비교해보면, 조직풍토는 종합 평균이 3.26이며 동기부여, 업무추진성, 친밀감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냉담은 평균이하로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단계별 특성은 3.49이며 능력구축단계, 열중성장단계, 입문수용단계 순이었고 안일안주단계가 2.85로 평균이하로 나타났다. 내생변수에서는 조직헌신성 3.67, 조직효과성 3.78 모두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조직풍토와 조직헌신성 간에는 비교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교사의 전문성 발달단계별 특성과 조직헌신성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헌성과 조직효과성은 다른 선행연구와 같이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조직풍토와 교사의 전문성 발달단계별 특성이 조직헌신성과 조직효과성과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것으로 조직효과성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변수의 영향력을 다룬 다차원적인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향후 새롭고 다양한 변수측정도구의 개발과 새로운 변수를 추가하여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도판트 비율에 따라 제조된 PEDOT : PSS의 감마선 조사 선량에 따른 화학적 및 전기적 특성 조절
김주안,정진오,김영아,박종석,정성인,김현빈,윤명한,임윤묵 (사)한국방사선산업학회 2020 방사선산업학회지 Vol.14 No.2
Conductive polymers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solar cells, and bio-electrodes due to π-conjugation structure that single-double bonds are alternately present. Especially, PEDOT : PSS has the advantages of high transparency,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asy synthesis to apply to large-capacity processes. In addition, PSS contained in excess of PEDOT : PSS is removed as a treatment process after using an organic solvent to improve the conductivity. In this study, synthesis of PEDOT : PSS was performed in different ratio of dopant (0.5, 2.5, and 5.0) to expose to gamma-ray (10, 25, and 50 kGy). Then, chem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such as 4-point probe, FT-IR, UV-Vis spectroscopy, and XPS. The conductivity was increased from 198.7 to 237.5 S·cm-1 as the dopant ratio increased from 2.5 to 5.0, and the conductivity was decreased after radiated with gamma-rays. Therefore, gammaray radiated PEDOT is considered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by controlling chem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