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대감과 사회적 영향력이 일본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암묵적 태도와 외현적 태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종흠 ( Kim Jonghum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일본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소비자의 일본에 대한 적대적 감정, 사회적 영향력, 그리고 일본제품에 대한 태도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진행되었다. 일본에 대한 적대적 감정은 내재적 적대감과 유발된 적대감으로 세분화하였고 일본제품에 대한 태도는 암묵적 태도와 외현적 태도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일본제품에 대한 암묵적 태도는 긍정적이지만 효과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본제품에 대한 외현적 태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제품의 구매의도에 대한 암묵적 태도와 외현적 태도의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외현적 태도는 의미가 있는 반면에 암묵적 태도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대감과 사회적 영향력이 암묵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 적대감, 유발된 적대감, 그리고 사회적 영향력 모두에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대감과 사회적 영향력이 외현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발된 적대감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재적 적대감과 사회적 영향력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적대감과 사회적 영향력이 일본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 적대감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발된 적대감과 사회적 영향력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본제품의 불매운동에 영향을 주는 제품태도를 암묵적 태도와 외현적 태도로 구분하여 그것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점을 확인한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갖는다. 또한 한·일 양국간 정치적 갈등에서 비롯된 불매운동이 일본제품 자체에 대한 불만족이 원인이라기 보다는 정치적 상황에 의해서 유발된 적대감이 제품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어 불매운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의 근거를 일본에 대한 유발된 적대감과 사회적 영향력의 관점에서 분석한 점과 일본제품에 대한 태도를 암묵적 태도와 외현적 태도로 구분하여 실질적으로 불매운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외현적 태도라는 점을 확인한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boycott of Japanese products has anything to do with consumers' hostile feelings toward Japan, their social influence, and their attitude toward Japanese products. The hostile feeling toward Japan was subdivided into intrinsic hostility and induced hostility, and the attitude toward Japanese products was divided into implicit and external attitu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icit attitude toward Japanese products was positive, but the size of the effect is small, and the external attitude toward Japanese products was negative.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implicit and external attitudes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Japanese products showed that explicit attitude was meaningful while implicit attitudes were meaningless. Third,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hostility and social influence on implicit attitude showed that they were all meaningless in intrinsic hostility, induced hostility and social influence. Fourth,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hostility and social influence on explicit attitude showed that the induced hostility was meaningful, but intrinsic hostility and social influence were meaningless. Fifth,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antagonism and social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Japanese products showed that intrinsic hostility was meaningless, but the induced hostility and social influence have nega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n Japanese product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attitude toward Japanese products that affected the boycott about Japan was investigated dividing into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 This study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 that the boycott caused by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has to do with induced hostility that is caused by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rather than dissatisfaction with the Japanese product itself. Therefore we can find out the reason for the boycott of Japanese products in that the boycott of Japanese products was concretely investigated in terms of hostility about Japan and social influence and the attitude toward Japanese products was analyzed with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

      • KCI등재

        노스탤지어와 지각된 새로움을 기준으로 분류한 제품유형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과거의 시간적 거리감을 조절변인으로

        김종흠 ( Kim Jonghum ),조혜진 ( Cho Hyejin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최근 드라마, 영화, 패션, 음식,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레트로 현상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진행되었다. 제품으로부터 지각된 노스탤지어와 지각된 새로움을 중심으로 제품유형을 과거지향 제품, 레트로 제품, 그리고 현대지향제품으로 구분하였고 3가지 제품유형이 소비자가 경험하는 과거의 시간적 거리감과 상호작용하여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제품유형별로는 레트로 제품이 과거지향 제품이나 현대지향 제품과 비교하여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서 더 호의적인 반응이 나타났고 과거지향 제품과 현대지향 제품의 비교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제품유형과 과거의 시간적 거리감을 동시에 고려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제품을 먼 과거의 사건이라고 해석한 조건에서는 레트로 제품 또는 과거지향 제품이 현대지향 제품보다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을 가까운 과거의 사건이라 해석한 조건에서는 레트로 제품 또는 현대지향 제품이 과거지향 제품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거의 시간적 거리감에 대한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서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불확실한 상황에서 레트로 제품이 갖는 특징이 과거의 심리적 거리감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고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토하고, 새로운 제품 사용에 따른 소비자의 불안한 심리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은 레트로 제품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과거의 향수를 자극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제품의 효용성이 동반되어야 함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도출한 점이며, 이는 선행연구(Laurence & Ackermann 2013)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레트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과거의 향수를 자극하는 시간적 거리감에 따라서 달라짐으로 이를 고려한 레트로 마케팅 또는 레트로 광고가 요구된다. Recently, there is much interest about ‘Retro’ in various fields such as drama, movie, fashion, food, and product. So, in this study, we tried to verify the effects of retro phenomena. For this purpose, the product types were divided into past oriented product, retro product, and modern oriented product by manipulating the perceived novelty with nostalgia and we examined how the three types of products affect the attitude to the product and purchase intention by interacting with consumer’s temporal distance from past. Results stated that retro product showed a more favorable response to it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compared to past oriented or modern oriented produc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ast oriented and modern oriented product. The interaction effect of product types and temporal distance have also been shown to be significant. It has been shown that retro product or past oriented product are more positive in it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modern oriented product under the condition of distant past event otherwise retro product or modern oriented product are more positive in it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past oriented product under the condition of near past event. But, the main effect of temporal distance from past was not shown. Two implications can be mentioned from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retro product to generate a positive response from consumer, stimulation of past nostalgia should be accompanied with the utility of the product. Second, the reaction of consumer to retro product depends on the temporal distance from past, therefore the temporal distance of consumer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retro marketing and retro advertising.

      • KCI등재

        친환경 행동의도 및 친환경 소비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규범과 동기를 중심으로

        김종흠 ( Jonghum Kim ),박은아 ( Euna Park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친환경 행동의도 및 친환경 소비의도에 대한 규범과 동기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규범은 개인의 행동이 타인의 평가에 영향을 받는 주관적 규범과 개인의 내면화된 가치로부터 영향을 받는 도덕적 규범으로 구분하였다. 2가지 유형의 규범과 친환경 행동의도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규범과 도덕적 규범은 친환경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도덕적 규범이 주관적 규범보다 더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에 대한 지각된 위험이 개인의 도덕적 규범과 친환경 행동의도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동기는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로 구분하여 각각의 동기가 친환경 관련 행동의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는데, 외재적 동기는 친환경 관련 행동의도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서 유의하지 않고, 내재적 동기는 친환경 행동의도 및 친환경 소비의도와 의미 있는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최종 모형으로서 외재적 동기를 제외하고 내재적 동기, 주관적 규범, 도덕적 규범이 친환경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규범의 영향력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친환경 관련 행동의도는 타인의 시선이나 평가 혹은 보상이나 처벌과 같은 외부의 영향력보다는 개인 내면의 도덕적 가치와 심리적 만족감에 의해서 유발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norms and motivation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environmental consumerism. Norms were divided into subjective norm and moral norm. The subjective norm is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whether people important to the individual think pro-environmental behavior should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the moral norm means individual``s internalized value about environment. In research question 1,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types of norms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causal modeling approach.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ral norm had more positive influence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than the subjective norm. In research question 2,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Motivation was divided into implicit and explicit motiv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plicit motivation had no effect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but the implicit motivation was effective. In research question 3, we analyzed a model integrating variables used in research question 1 and 2 excluding the explicit motiv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jective norm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moral norm and implicit motivation. This study give an implication that pro-environmental behavior is affected by an individual``s internalized valu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 KCI등재

        자기해석과 자기감시가 브랜드 가시성에 따라 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

        김하예 ( Hayea Kim ),김종흠 ( Jonghum Kim ) 한국의류학회 2016 한국의류학회지 Vol.4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nsumers`` self-construal and self-monitoring on brand product preference by moderating brand visibility. Brand visibility consisted of product typicality and brand salienc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preferred products with high product typicality and low brand salience. Respondents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high self-monitoring also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high product typicality and low brand salience versus respondent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low self-monitoring. Respondents preferred a product when they recognized a brand name, but brand visibility should be exposed natur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brand identity and the appropriacy of brand logo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