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용융시 수반되는 4가지 다른 잠열 모델의 비교 연구

        김종현,임인철,김성식 ( Jong Hyun Kim,In Cheol Kim,Sung Sik Kim ) 한국주조공학회 1992 한국주조공학회지 Vol.12 No.1

        상변환시 수반되는 경계면에서의 잡열의 방출(또는 흡수)의 정확한 해석은 용접, 주조, 결정 생성, 일기 예보 등의 응용에 필수적인 것이다. 특히 주조의 경우 캐스팅 온도와 고체 용적분율의 관계를 앎으로서 잠열 방출의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상변환시 수반되는 잠열의 방출 형태를 4개의 다른 모델을 사용하여 비정상 온도분포, 용융형태, 자연대류가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구하였다. 2개의 서로 다른 물성치를 가진 합금을 선택하였는데 하나는 넓은 mushy 영역을 가진 알루미늄 합금이고 다른 하나는 좁은 mushy 영역을 가진 철금속계 합금이다.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온도 분포와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가 모델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반면 철금속계 합금의 경우 상이한 모델일지라도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으로 용융시 정확한 온도 분포와 상변화 형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합금(넓은 mushy영역)의 경우 적절한 잠열 방출 모델의 채택이 필요 불가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N/A

      • 악성코드 대응을 위한 사이버게놈 기술동향

        김종현,김현주,김익균,Kim, J.H.,Kim, H.J.,Kim, I.K.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5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0 No.5

        최근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이버상에서 개인정보 유출, 금융사기,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DDoS) 공격, Advanced Persistent Threat(APT) 공격 등 사이버 위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공격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모든 공격에는 악성코드가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강력한 사이버 공격에 대처하기 위해 사전에 이를 방어 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사이버공격 대응을 위하여 새로운 악성코드 탐지기술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사이버게놈 기술에 대한 개념과 국내외 관련 기술 및 연구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 KCI등재SCISCIESCOPUS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MIND 형 병렬 컴퓨터의 성능분석

        김종현,Kim, Jong-Hyeo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8 전자통신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계산용 병렬 컴퓨터 시스팀의 구조를 설계하고, 설계된 컴퓨터 구조의 소프트웨어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여러가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시스팀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설계된 시스팀은 H/V-bus 병렬 처리 시스팀 아키텍쳐에 기반을 둔것으로 각종 과학계산을 위한 고속의 프로세서간 통신 메카니즘이 확장 설계되었다. SLAM II 및 FORTRAN을 이용하여 개발된 시뮬레이터는 시스팀 변수들을 이용하여 프로세서의 수와 속도 및 통신 메카니즘의 속도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게하여 여러 조건하에서의 시스팀 성능을 분석하는데 사용되었다. 또한 실제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상황에서 프로세서 및 통신 메카니즘의 속도가 시스팀 전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벤치마크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풀었다.

      •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 산모로부터 분만된 신생아의 B형 간염 백신의 면역반응 및 방어효과

        김종현,강진한,허재균,고대균,오창규,Kim, Jong-Hyun,Kang, Jin-Han,Hur, Jae-Kyun,Koh, Dae-Kyun,Oh, Chang-Kyu 대한소아감염학회 199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5 No.1

        목 적 :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보유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의 수직감염 양상을 관찰하고 HBV 백신의 면역반응 및 방어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18개월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을 방문한 HBV 보유 산모와 이들로부터 분만된 신생아중 12개월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78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HBV 보유 산모의 신생아에게 출생 직후부터 HBV 면역 글로불린(HBIG)과 가열 불활성화 혈장 백신을 접종한 후 4, 8, 12개월시에 검체를 채취하여 일반표지자의 양상을 면역효소법 및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한 후 HBV 보유 산모와 그 신생아의 각 표지자간의 관계 및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연구 대상 산모 중 HBV 보유자는 5.0%(106/2,117), HBeAg 양성 및 음성의 비율은 38.5%(37/96)와 61.5%(59/96)이었다. 2) HBV 보유 산모로부터 출생한 영아에 있어서 백신에 대한 anti-HBs 양전율은 4, 8, 12개월 시 각각 85.9%(67/78), 75.6%(59/78), 73.1%(57/7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산모의 HBeAg 유무와는 관련이 없었다. 형성된 anti-HBs의 기하 항체가는 4개월에 비하여 8개월, 12개월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HBV 백신과 HBIG 투여의 HBV 보유자 이행에 대한 12개월시의 방어 효과는 HBeAg 양성 및 음성 산모로부터 분만된 영아에서 각각 89.8%와 100%이었다. 3) 12개월의 관찰 기간동안 산모로부터 감염이 있었던 경우는 78명 중 5명으로 모두 HBeAg 양성 산모에서 분만된 영아이었고 이 중 3명에서 HBV 보유자로 이행되었다. 출생 직후 HBeAg 양성 및 음성 산모의 신생아에서 HBsAg 양성이었던 경우는 각각 4명으로 HBeAg 양성 산모의 신생아 4명 중 3명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 결 론 : 국내에서 개발된 백신의 하나인 가열 불활성화 B형 간염 혈장 백신의 항체 양전률은 85.9%이었으며, HBIG과 동시 투여하였을 때 12개월간의 HBV 보유자 이행에 대한 방어효과는 HBeAg 양성 산모에서 출생한 경우 89.8%인 반면 HBeAg 음성 산모에서 출생한 경우는 100%이었다. Purpose :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immune responses and protective efficacies of the HBV vaccine in infants born from hepatitis B virus(HBV) carrier mothers. Methods : Seventy eight infants born from HBV carrier mothers, who were able to follow up for 12months in the Catholic University St. Vincents hospital, were involved in this study from July 1995 to December 1996. Samples were collected at birth, 4, 8 and 12months after injection of HBIG and HBV heat-inactivated plasma derived vaccines. We evaluated the changes and relationships of viral markers detecting by enzyme immunoassay and radioimmunoassay between HBV carrier mothers and their infants. Results : 1) A total of 5.0%(106/2,117) of pregnant women were found to be a HBV carrier. The rates of HBeAg positive and negative were 38.5%(37/96) and 61.5%(59/96), respectively. 2) The seroconversion rates of anti-HBs with infants of HBV carrier mothers at 4, 8 and 12 months were 85.9%(67/78), 75.6%(59/78) and 73.1%(57/78), respectively. Although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they were not related to HBeAg status of the mothers. The geometric mean titers of anti-HBs at 8 and 12 month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at 4 months, statistically(P<0.05). The protective efficacy of the HBV vaccine and HBIG at 12 months in infants from HBeAg positive and negative mothers were 89.8% and 100%, respectively. 3) Five of 78(6.4%) infants became infected by HBV from only HBeAg positive mothers during the follow up period of 12 months. Three of 5 infected infants became HBV carriers. HBsAg positive at birth from HBeAg positive and negative mother were 4 infants, respectively. Three of 4 infants became infected by HBV from only HBeAg positive mothers. Conclusion : We confirmed that the seroconversion rate of HBV heat-inactivated plasma derived vaccine which was one of other vaccines manufacturing in Korea was 85.9%. The protective efficacy of this HBV vaccine and HBIG at 12 months in infants from HBeAg positive and negative mothers were 89.8% and 100%, respectively.

      • 지역난방 회수온도가 열병합발전소 증기터빈 성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종현,문승재,Kim, Jonghyun,Moon, Seung-Jae 한국플랜트학회 2018 플랜트 저널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판형열교환기 전열면적을 25%, 50%, 75% 증가시킬 때 CHP 회수온도 변화량을 예측하고 변화된 온도를 성능해석 입력 값으로 활용하여 전기출력 변화를 해석하였다. 전열면적 투자비용과 전기 판매수익 증가를 비교하여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광교 열병합발전소 연계운전이 2017년과 유사한 경향으로 이루어지면 CHP 회수온도는 전열면적 증가에 따라 $4^{\circ}C$, $6.3^{\circ}C$, $7.8^{\circ}C$까지 낮아지고 전기출력은 당초 39,025 kW에서 413 kW, 676 kW, 834 kW 증가되어 75% 증가할 경우 39,859 kW 까지 상승하였다. 경제성 분석기준인 NPV는 3.5 억원, 5억원, 5.2억원 까지 발생하여 모든 방안이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전열면적 증가에 따라 전기출력과 NPV는 비례하여 상승하지만 상승량은 감소하였다. 75%까지 증가할 경우 전기출력과 NPV는 3가지 방안 중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f the combined operation of Gwanggyo Cogeneration plant is similar to that of 2017, the CHP return temperature is lowered to $4^{\circ}C$, $6.3^{\circ}C$ and $7.8^{\circ}C$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heat surface area and the electric power is increased by 413 kW and 676 kW from its original 39,025 kW, and when the heat surface area is increased 75% electric power increases by 834 kW, totaling 39,859 kW. NPV, which is an economic analysis standard, is worth 350 million won, 500 million won, and 520 million won, and all measures to increase the heat surface area are proven to be worth the investment. As the heat transfer area increased, the electric power and NPV increased proportionally but the rise amount decreased. The electrical output and NPV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the three options when the heat transfer area was increased by 75%.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아교 접착제를 이용한 돌침대용 목재 샌드위치 복합재의 계면, 열적 및 방수특성 증가

        김종현,권동준,신평수,백영민,박하승,문선옥,박종만,Kim, Jong-Hyun,Kwon, Dong-Jun,Shin, Pyeong-Su,Baek, Yeong-Min,Park, Ha-Seung,Moon, Sun-Ok,Park, Joung-Man 한국복합재료학회 2017 Composites research Vol.30 No.4

        Animal glue, a water-soluble adhesive, has been used historically for high-performance traditional furniture despite the disadvantage of weakness against moisture. Many scientists studied the ways to improve water resistance of animal glue. Improvements on the interfacial, thermal, and water resistance properties of wood sandwich composites (WSC) was studied with carbon nanotube (CNT) wt% in animal glue. Real-time temperature of WSC was measured after WSC was heated with increasing CNT wt%. Lap shear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wood and animal glue with CNTs. Water resistance properties of animal glue were determined by lap shear test using specimens dipped in water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dry case. Hydrophobicity of animal glue by static contact angle was correlated with the variation of lap shear test. Interfacial, thermal, and water resistance properties for animal glue were improved with properly added CNTs. 아교는 수용성을 띄는 접착제로, 이 특징에 의해 물에 약하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고가구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에 따른 아교의 계면특성 및 열적특성 그리고 방수특성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아교를 이용하여 접착한 돌침대용 목재 샌드위치 판 상부의 실시간 온도측정을 진행하였다. 나무와 아교접착제 간의 계면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랩 전단 실험을 실시하였고,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물성이 약해지는 아교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에 따른 아교의 방수특성이 개선되는지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랩 전단시편을 물에 담근 후 랩 전단 실험을 진행하여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여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물과의 정적 접촉각을 이용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아교접착제의 소수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아교 접착제에 탄소나노튜브를 도입으로 계면특성, 열적특성 및 방수특성이 개선되었다.

      • SCOPUSSCIEKCI등재

        청신경 초종 수술에서 골미로를 통한 접근법의 유용성

        김종현,조태구,박관,박익성,남도현,이정일,조양선,홍성화,홍승철,신형진,어환,Kim, Jong Hyun,Cho, Tae Goo,Park, Kwan,Park, Ik Seong,Nam, Do-Hyun,Lee, Jung-Il,Cho, Yang-Sun,Hong, Sung Hwa,Hong, Seung-Chyul,Shin, Hyung-Jin,Eoh, Whan 대한신경외과학회 200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0 No.6

        Objective :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ranslabyrinthine approach in the vestibular schwannoma patients, the authors reviewed eighteen consecutive cases, focusing at their functional outcome and operativ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 :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 we reviewed preoperative radiological findings such as size of tumors and location of jugular bulb as well as the preoperative neurological status including audiometric analysis and cranial nerve function in 18 patients, diagnosed as vestibular schwannoma. Also the surgical outcom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unctional preservation of facial nerve and incidence of the surgical complication as well as the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Results : Th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21 to 62 years, with a mean of 50 years. Of 18 patients operated in our center by the translabyrinthine approach, wide exposure with total removal of the mass was possible in 16 cases (88.8%). The facial nerve was anatomically preserved in 88.8%. At six-month follow-up, facial nerve function was good(Grade I-II) in 15 patients(83%) and acceptable(I-IV) in all patients. Although the jugular bulb was highly placed is five patients, gross total resection was possible without facial nerve injury in all patients by the translabyrinthine approach. One patient experienced CSF leakage after surgery, but there was no patient with disabling deficit. Conclusion : Use of the translabyrinthine approach for removal of vestibular schwannomas resulted in good anatomical and functional preservation of the facial nerve, with minimal incidence of morbidity and no mortality. In cases of high jugular bulb impacted into mastoid bone, total removal was possible by displacing the jugular bulb with Surgicel cellulose and placement of bone wa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