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준원자층 적층 방법으로 형성된 2형 양자점의 광 발광 특성 연구

        김종수,조현준,소모근,김종수,김영호,이상준,이승현,Christiana B. Honsberg,김희대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8

        We have studied the optical properties of InAs/GaAsSb submonolayer quantum dots (SML-QDs) through excitation intensity (Iex) and temperature dependent photoluminescence (PL) experiments. The SML-QDs with type-I (T-1) and type-II (T-2) band structures were grown using a GaAsSb spacer with a Sb composition of 0% and 15.8%. At 13 K, the PL signals from the T-1 and the T-2 samples were observed at 1.42 eV and 1.37 eV, respectively, when the Iex was 8.7 mW/cm2. The PL signal of the T-1 sample is due to the re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in the InAs SML-QDs. The PL signal of the T-2 sample is due to the recombination of electrons (in the GaAs electron band) and holes (in the GaAsSb spacer hole band) by type-II band alignment formed between GaAs and GaAsSb. The full widths at half maxima (FWHMs) of the T-1 and the T-2 samples were 7.09 meV and 24.6 meV, respectively, because the T-2 sample has a lower uniformity than the T-1 sample. As the excitation intensity was increased, the PL signals of the T-1 and the T-2 samples shifted to lower energy because of the quantum-confined Stark effect. As a result of these temperature-dependent PL experiments,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T-1 sample was found to be 30 meV. InAs/GaAsSb submonolayer 양자점(SML-QD)의 광학적인 특성을 여기광 세기(Iex)와 온도에 따른광발광 (Photoluminescence; PL)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간격자인 GaAsSb 층의 Sb조성을 0%와 15.8%로 조절하여 Type-I (T-1) 과 Type-II (T-2) 밴드 구조의 SML-QD를 성장하였다. 13 K에서 Iex 가 8.3 mW/cm2 일 때 T-1과 T-2 시료의 PL신호는 각각 1.419 eV와 1.368 eV 에서 관측되었다. T-1 시료에서 관측된 전이신호는 InAs SML-QD의 전자와 정공간의 재결합에 의한것이다. T-2시료에서 관측된 PL신호는 GaAs와 GaAsSb 사이에 형성된 type-II 밴드 정렬에 의하여GaAs 전도대의 전자와 GaAsSb 간격자의 가전자대의 정공간의 재결합에 의한 것이다. 두 신호의 반값온폭 (Full-width at half maximum; FWHM)은 각각 7.09 meV와 24.6 meV 이었으며, 이는 T-2시료가T-1시료보다 균일성이 낮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여기광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T-1와 T-2시료의 PL신호는낮은 에너지 쪽으로 이동하였는데, 이는 구속된 운반자에 의한 양자 구속 스타크 효과(quantum-confined Stark effect) 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온도 의존성 PL 실험의 결과, T-1 시료의 SML-QD의 활성화에너지는 30 meV이었다.

      • KCI등재

        Hardware Implementation of GaN-HEMT Based ZVS DC–DC Converter Considering PCB Layout

        김종수,김현빈,이병국,김종수 대한전기학회 2019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14 No.1

        The gallium nitride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GaN HEMT) are among the most promising power semiconductor devices. However, these transistors have a small gate voltage marg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power devices. In this paper, the gate voltage of GaN HEMTs is mathematically analyzed when it is applied to a zero voltage switching (ZVS) phase-shift full bridge (PSFB) DC–DC converter. The analysis accounts for nonlinear capacitance characteristics under the ZVS switching condition, and a critical parasitic inductance are derived to restrict the gate voltage to a safety operation area. The optimal layout for bridge topologies and gate drivers is proposed, to satisfy the derived parasitic inductance limitation. A 500-W-power laboratory phase-shift full-bridge DC–DC converter is implemented to verify the proposed layout.

      • KCI등재

        독일어에서 ‘죽음’과 관련된 낱말밭과 관용구에 대한 은유 분석

        김종수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3 獨語敎育 Vol.87 No.87

        죽음을 표현하는 말은 다양한 변주로 나타난다. 죽음은 가치중립적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미화적 내지 은유적 수단인 완곡어법으로 표현된다. 죽음을 좋게 에둘러 표현하는 완곡어법 외에도 나쁘게 표현하는 위악어법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터부 영역들 가운데 죽음에 한정시켜 독일어 낱말과 관용구에 투영되어 있는 표현들을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죽음을 지칭하는 단일어와 관용구 및 죽음의 원인을 짚어보고, 3장에서는 죽음과 터부, 완곡어법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본 논문의 핵심 부분을 차지하는 4장에서는 죽음에 담겨 있는 언어적 이미지를 의인화와 은유화를 통해 분석한 다음 결론을 맺기로 한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Lexeme und Phraseologismen aus kognitiv-linguistischer Perspektive betrachtet, die zum Sprachfeld „Tod/Sterben“ gehören. Metaphern übertragen Bedeutungen aus einem vertrauten Bereich auf einen anderen. Die Metaphernanalyse ist eine Methode der qualitativen Forschung, die metaphorische Wörter und Redewendungen auf zugrunde liegende Deutungsmuster hin untersucht. Da das Feld „Tod“ ein Makrofeld ist und aus mehreren Mikrofeldern besteht, beschränkt sich der Beitrag hauptsächlich auf die Personifikation und Metaphorisierung des Todes. Die Angst vor dem Tod ist ein uraltes Phänomen, das das menschliche Verhalten und die Sprache deutlich beeinflusst. Deshalb gibt es in fast allen Sprachen, im Vergleich zu anderen semantischen Sprachfeldern, eine große Anzahl von Lexemen und Phraseologismen in diesem Bereich. Mit diesem Beitrag wird versucht zu zeigen, dass der Tod phraseologisch sehr attraktiv ist, und dass das semantische Feld Tod und Sterben reich vertreten ist. Das semantische Feld vom Tod ist ein Tabubereich, von dem man metaphorisch umschrieben und euphemistisch spricht. Bei der Untersuchung dieses semantischen Feldes konnte festgestellt werden, dass sich der Wortschatz des Todes in ständig wiederkehrende Bildmotive gliedern lässt. Zu nennen sind folgende: Person, Schlaf/Ruhe, Reise/Weggang, Abschied, Heimkehr, Ende, Trennung von Körper und Seele, Verschwinden, Erde/Grab.

      • KCI등재

        일제 식민지 탐정소설 서적의 현황과 특징

        김종수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7 No.-

        This study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the position and value of detective story books in publication market under Japanese colonialism. For the aim, detective story books published from 1909 to 1945 under Japanese colonialism were surveyed of published informations in detail. The particularities of detective story books enjoyed by Koreans in Japanese colonialism period are analyzed on the surveyed data. First, adapted or translated stories books of foreign detective story were more popular than Korean detective story books, for mixed narratives with addition of revenge tales or love trouble stories dealt in historical novels and love stories mainly as well as adaptation of foreign detective and adventure movies and enjoyment of foreign customs. Second, intellectual class were absorbed in reading of detective story books in Japanese unlike public. It means that the readers of detective story books have clearly differentiated by scholastic ability at that time. Third, the complete works of foreign detective stories have been planned and partially published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ism period, there seemed not to have commercial merits than historical novels and love story books in publication markets though. 일제 식민지 출판시장에서 ‘探偵小說(혹은 偵探小說)’이라는 표제를 달고 유통된 문학서적을 연구대상으로 한 본고는 일제 식민지 시기 탐정소설 서적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당시 대중독자들이 향유한 탐정소설의 특징을 귀납하였다. 이 연구는 1911년부터 1945년까지 식민지 조선에서 출간된 탐정소설 서적 중 연구자의 실사물 조사를 통해 확인한 45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번안 탐정소설은 17권이었고 창작 탐정소설은 28권이었으며, 1910-30년대에는 동양서원․박문서관․영창서관․세창서관의 활동이 활발하였고 식민지 후반에는 조광사의 활발한 활동이 확인된다. 식민지 시기 출판된 탐정소설 서적의 판매 현황을 통해 창작 탐정소설보다는 번안 탐정소설이 대중독자들에게 인기를 끌었음을 알 수 있었다. 탐정소설이라는 새로운 독물에 흥미를 가진 대중독자들에게 번안탐정소설은 복수와 연애장애를 결부하여 대중적 감성을 자극하였다. 또한 해외를 무대로 추격전이 펼쳐지는 내용은 당시 대중독자의 근대 문명에 대한 동경과 열망을 반영하고 있다. 재래적 주제와 이국적 소재를 절충함으로써 대중독자의 기대지평을 충족한 식민지 시기 조선의 탐정소설 서적은 고도화되던 자본주의의 시장 질서를 교란하는 지능범죄를 대상으로 치밀한 조사와 빈틈없는 추리를 선보인 서구의 탐정소설과는 이질적인 특징을 보인다. 이같은 탐정소설 서적의 특징은 지식인 독자와 대중독자로 분화된 조선 출판시장의 이원적 구조 때문이었다. 당시 문헌과 현재 국내 도서관에 산재한 자료를 확인한 결과 당시 지식인 독자들은 일본어판 탐정소설을 탐독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출판시장의 황금기를 구가하며 문학서적의 대중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던 1930년대 후반에 김내성은 창작 탐정소설의 대중적 유행을 이끌었고, 1940년에 <<세계걸작탐정소설전집>>을 기획․출판하며 출판시장에서 해외의 주요탐정소설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식민지 후반 일제 식민정권의 이해요구에 부합하는 목적문학의 형태인 스파이소설이 열악한 출판 상황에서도 출간될 수 있었던 것은 전시체제에 종속된 조선 출판시장의 특수한 상황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교방고(敎功鼓)와 좌고(座鼓)에 대한 소고(小考)

        김종수 한국국악학회 2010 한국음악연구 Vol.48 No.-

        좌고(座鼓)는 현재 관현편성으로 조선시대 궁중음악을 연주할 때나 삼현육각(三絃六角)편성으로 춤반주를 할 때 빠지지 않고 편성되는 타악기이다. 2개의 기둥을 세워 만든 가자(架子)에 매달아 놓고 앉아서 연주하는 북인 좌고란 명칭은 고종의 기로소입소(耆老所入所) 경축 연향을 기록한 1902년(고종39) 『임인[4월]진연의궤(壬寅四月進宴儀軌)』에 처음 등장하였다. 좌고는 바로 교방고(敎坊鼓)의 다른 이름이다. 교방고에는 4개의 기둥에 가로목을 쳐서 만든 가자(架子)에 북면을 위로 향하게 걸어 놓아 북채를세로로 움직이며 연주하는 형태와 2개의 기둥을 세워 만든 가자(架子)에 북면이 좌우가 되도록 매달아북채를 가로로 움직이며 연주하는 형태의 두 종류가 있는데, 이 중 후자의 것이 좌고로 불린 것이다. 종타형(縱打型) 교방고는 고려시대 이래 사용되어 오던 것이고, 횡타형(橫打型) 교방고는 조선시대후기에 등장하였다. 전자는 무고정재(舞鼓呈才) 무구(舞具)로는 현재까지 전승되나 연주용으로는 1800년대 전반까지만 사용되고, 후자로 대체되었다. 횡타형 교방고는 1828년경부터 궁중에서 연주되었으나,지방 관아와 민간에서는 그 이전부터 쓰였다. 교방고는 일정 장소에서 연주하기도 하고 이동하면서 연주하기도 하였는데, 일정장소에서 연주하는경우 종타형 교방고는 1600년대 말까지는 앉아서 연주하기도 하고 서서 연주하기도 했으나 1700년대 이후는 주로 서서 연주한 반면에, 횡타형 교방고는 항상 앉아서 연주하였다. 이런 이유로 좌고로 불리운것이다. Jwago (seated drum), which is currently incorporated into orchestral music, was a key percussion instrument which was incorporated in the Samhyeon yukgak (instrumental sextet) accompaniment for dance in the court music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Jwago was suspended from a frame erected by two pillars, and was played by the player who sat on the floor. It was so named, meaning a seated drum. The name first entered in the records on the celebration of King Gojong's joining Giroso (a circle of elderly retired civil officials) which were compiled in 1902 (39th year of King Gojong's resign), Chapter on April Membership Congratulation Feast. Jwago is another name of Gyobanggo. Gyobanggo was placed on the frame erected by four pillars as well as by crossing bars,with the drum face directed upwards, and was beaten and played by moving the stick up and down. Also, Gyobang was suspended from a frame erected with two pillars, with the drum faces directed towards the right and left sides, and was played by moving the stick right and left. Of these two types, the latter was called Jwago. The upward and downward percussion-type Gyobanggo was used since the Goryeo period, and the right and left percussion-type Gyobanggo appeared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The former Gyobanggo has been handed down as a dance accompaniment instrument for Mugojeongjae (a kind of court music) until present day, but was played until the 1800s, and was replaced by the latter Gyobanggo. The right and left percussion-type Gyobanggo began to be played in the royal court around 1828, but it had been previously used in local governments and among the people. Gyobanggo was played in a certain place, and also was played as it was moved. The way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1600s that the upward and downward percussion-type Gyobanggo was played in a certain place with the player being seated or standing. It was played in the 1700s and thereafter with the player standing. The right and left percussion-type Gyobanggo was played as the player must be seated. It thus was named as Jwago or seated dr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