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사용자의 이용태도 분석- 쿠폰태도를 매개변인으로 -

        김종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upon attitude plays a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brand preference, and information reliability of 'KakaoTalk Plus Friend' and also the coupon attitud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 questionnaire was used the samples of totally 170 people, who is currently using the 'KakaoTalk Plus Friend'. According to analysis, first, the coupon attitude has been shown to be part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information reliability. Second, the coupon attitude has been shown to be no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preference and use satisfaction. Third, the coupon attitude has been shown to b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user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coupon attitude has been shown to be mediating effect on the user attitude. This result can help the understanding user attitude and the coupon attitude in the 'KakaoTalk Plus Friend'. 본 연구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용자의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선호도, 정보신뢰도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쿠폰태도가 매개역할을 할 것인지와 이용만족도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쿠폰태도가 매개역할을 할 것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를 사용하고 있는 170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브랜드이미지와 정보신뢰도가 이용만족도에 영향관계에서 쿠폰태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선호도가 이용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쿠폰태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만족도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관계에서 쿠폰태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용에 있어 쿠폰태도는 사용자의 이용태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결과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의 사용자의 태도와 쿠폰 태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모션 그래픽 영상에서 피사 계심도 깊이 차이에 따른 감성 정보 연구

        김종무 디자인융복합학회 2009 디자인융복합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모션그래픽(motion graphic) 영상에서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 깊이 차이에 따라 인간의 감성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의미분별법(Semantic Differential)을 통해 실험 하였다.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의 차이를 주기 위해 조리개 수치를 f2.8, f5.6, f11 그리고 f22로 변환한 4 개의 영상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감성 어휘는 14 개의 상위 어휘와 62 개 하위 어휘로 나누었으며, 대표성을 나타내는 단어를 추출하여 중복되거나 의미가 비슷한 어휘를 제외하고 반대어와 쌍을 이루는 10 개항으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감성에 대한 반응은 7 점 Self Assessment Manikins(SAM)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연구 결과 첫째, 성별이 피사계심도의 차이에 따른 감성 변화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둘째, 피사계심도의 차이에 따른 실험자의 감성 변화에서는 피사계심도가 깊을수록 또는 조리개 수치가 f2.8 일 때 실험자는 부드러운, 따듯한, 소박한, 긍정적인 감성을 나타냈으며 이와 반대로 피사계심도가 낮을수록 조리개 수치가 f22 일 때 실험자는 거칠은, 차가운, 화려한, 부정적인 감성을 순차적이며 규칙적으로 나타냈다. 또한 복잡한-단순한, 정적인-동적인, 차가운-따뜻한, 고급스러운-평이한에 대한 실험자의 감성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벼운-무거운, 고전적-모던한에 대한 감성의 변화는 불규칙적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experimented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to find out how sensitivity of people changes according to difference of Depth of Field in Motion Graphic video images. For providing differences in Depth of Field, four video image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by changing the number of iris at F2.8, F5.6, F11, and F22. Sensitivity vocabularies used in this study are composed of 14 upper level vocabularies and 62 lower level vocabularies and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in 10 questions making a pair with antonyms by excluding vocabularies with duplication in meaning and similar in meaning by extracting words expressing representation. Responses to sensitivity were measured by utilizing seven points Self Assessment Manikins. (SAM). As the result of experiment research, first, sex did not influence on sensitivity changes according to differences of Depth of Field. Second, in sensitivity changes of experimenters according to differences of Depth of Field, experimenters showed soft, warm, simple, positive sensitivity when Depth of Field was deeper or when number of iris was F2.8 and on the contrary, when Depth of Field was lower and when number of iris was F22, experimenters showed coarse, cold, splendid, and negative sensitivity in a sequence and in regularity. In addition, sensitivity changes of experimenters regarding complicated-simple, static-dynamic, cold-warm, and luxuriouscommon showed very minimal and changes of sensitivity regarding light-heavy and classicmodern were shown irregularly.

      • 중국의 지속농업

        김종무 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자원연구소 1994 生命資源科學硏究 Vol.1 No.2

        It will take some time to divert into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 in China. Actually, China must have a long history of organic farming methods, However, there are at present 1.2 billion population to feed enough for their food. The conventional farming method may not slove to feed a higher quality of food in every day. Therefore, the sustainable agricultural method can contribute very much to feed a high quality of food as well as keeping healthy rural environment in China.

      • KCI등재

        이미지 제작에 있어 DOF의 차이에 따른 감성어휘 선호도 평가

        김종무,박성현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이미지 제작에 있어 Depth of Field(피사계심도 DOF) 차이에 따라 변하는 이미지를 통해 느끼는 인간의 감성어휘 선호도를 의미분별법 이론을 통해 평가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감성어휘 선호도 평가 모형을 제안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 평가어휘를 참고, 수정하여 DOF와 관련된 6개의 쌍을 이루는 감성어휘를 추출하고, 총5종류의 이미지를 제작하여 50명의 실험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DOF 차이에 따른 실험자의 감성어휘 변화는 심도가 깊을수록(f2.8) 가벼운, 긍정적, 편안한에 대해 높은 감성어휘 선호도를 보였으며, 이와 반대로 심도가 낮을수록(f8과 f22) 무거운, 부정적, 불편한, 평이한에 대해 높은 감성어휘 선호도를 보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감성어휘 선호도 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평가 모형은 이미지 제작에서 DOF 차이에 따라 변하는 인간의 감성 선호도를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사진, 영화, 드라마, CF,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기 전에 DOF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감성 반응을 미리 이해하고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시간과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 the human sensibility word preference, which is felt through image of being varied depending on difference in Depth of Field in the image making,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theory, and suggested a model of sensibility word preference evaluation based on this. As a result, it referred to and modified the sensibility evaluation words that were used in a prior research, extracted the sensibility words of making 6 pairs related to DOF, produced totally 5 kinds of images, and carried out questionnaire targeting 50 experimenters. As a result of research, a change in experimenters' sensibility words depending on difference in DOF showed the higher preference for light, positive, peaceful in the deeper depth(f2.8). On the contrary to this, the higher sensibility word preference was shown for complex, heavy, dynamic, negative, uncomfortable, and plain in the lower depth(f8, f22). Based on the findings, a model of sensibility word preference evaluation was suggested. The result model will be basic data in understanding human sensibility preference that is varied depending on difference of DOF in image making. It will be basic data of being conducive to reducing time and economic loss by understanding & grasping in advance and effectively coping with the human sensibility response to image, which is varied depending on a change in DOF before making photo, movie, drama, CF, and music video.

      • KCI등재

        틱톡(TikTok) 동영상 플랫폼 영상편집디자인 기능이 사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무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4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짧은 영상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 이 점점 더 강해지고 있는 가운데 2016년 틱톡(TikTok) 동영 상 플랫폼은 이런 사용자들의 시청 욕구를 충족 시켜 주었다. 나아가 틱톡 동영상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영상편집 디자인 기능은 틱톡 동영상 플랫폼 이용자에게 동영상 제작 의 즐거움 또한 제공해주었다. 본 연구는 틱톡 동영상 플랫폼 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영상편집디자인 기능이 사용자의 만족 도, 몰입도 그리고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 다. 분석을 위해 틱톡 동영상 플랫폼 영상편집디자인 기능 사 용자를 총 8집단으로 나누고 1집단에 150명-153명씩 피실험 자를 배분하였고, 오류가 없는 총 1209명의 설문을 SPSS 21. 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틱톡 동영상 플랫폼 영상편집기능 중에 자동영상편집, 영상필터, 영상효과, 뷰티기능은 사용자 만족도, 몰입도 그리고 지속사 용의도에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반대로 자막, 사운드, 스티 커 기능은 가장 낮은 사용자 만족도, 몰입도 그리고 지속사용 의도를 보였다. 특히 틱톡 동영상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영상 편집기능 중에서 사용자의 얼굴 윤곽 조정, 눈 크기 조정, 피 부 보정 등 인물 형태 변형이 가능한 뷰티 기능이 가장 높은 만족도, 몰입도, 지속사용의도 선호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는 향후 틱톡 동영상 플랫폼의 영상편집디자인 기능 추가에 있어 소비자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While short image contents are more preferred in the fl ood of tight Life Style, TikTok, the 2016 satisfied such users’ desire of watching. Further, diverse image edition design functions provided by TikTok also provides TikT ok users with enjoyment of video produ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that diverse image edition design function provided by TikTok has on users’ satisfaction, immersion & intent of constant use. For analysis, users of TikTok image edition design function were divided in to 8 groups in all and 150-153 test subjects were distribu ted to 1 group. Error-free question papers of 1209 perso n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statistics analyzin g program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 ng to analysis, out of TikTok automatic edition functions, automatic edition, image filter, image effect, beauty functi on were much preferred in users’ satisfaction, immersion & intent of constant use. On the contrary, caption, sound, sticker function showed the lowest users’ satisfaction, im mersion & intent of constant use. Out of image edition fu nction provided by TikTok , especially, beauty function which realizes transformation of personal shape such as adjustment of users’ face contour, adjustment of eye siz e, skin correction, etc.,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fl ow & intent of constant use. This result will be the basic materials to underst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in add ing image edition design function of TikTok later.

      • KCI등재

        서비스스케이프가 이용만족 간의 관계에서 음식의 품질과 가격공정성의 매개효과 분석 -A대학 학생 식당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대학 학생식당의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이 무엇이며,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이 이용만족 간의 관계에서 음식의 품질과 가격공정성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 학생식당의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이 ‘공간성’, ‘청결성’, ‘심미성’, ‘쾌적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결성’과 ‘심미성’ 요인은 이용만족에 정(+)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결성’과 ‘심미성’ 요인은 음식 품질에 정(+)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 품질은 서비스스케이프 요인과 이용만족의 영향관계에서 ‘청결성’ 요인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며, ‘심미성’ 요인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대학 학생식당의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이 가격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가격 공정성은 서비스스케이프 요인과 이용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 학생식당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이용만족 간의 관계에서 음식의 품질과 가격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what the Servicescape factor of the student cafeteria in university is, whether food quality and price fairness show any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Servicescape factor and user satisfaction. First, analysis shows that Servicescape factors of cafeteria for university students are ‘extensity’, ‘cleanness’, ‘aesthetic’ and ‘agreeableness’. Second, ‘cleanness and ‘aesthetic’ factors a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user satisfaction. Third, ‘cleanness’, ‘aesthetic’ factors a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food quality. Fourth, ‘cleanness’ factors of food quality shows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Servicescape factor and user satisfaction and ‘aesthetic’ factors shows partial mediating effect. Fifth, significant influence was not seen in all factors of price fairness by Servicescape factors of student cafeteria in university. Sixth, price fairness was found to play no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Servicescape factor and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 of food quality and price fairnes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Servicescape of student cafeteria in university and user satisfaction.

      • TV공익광고영상에서 시각적 촉각 자극에 관한 연구 - 모델 속성 및 메시지 전달 중심으로 -

        김종무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8 디자인지식저널 Vol.7 No.-

        본 연구는 TV공익광고영상에서 광고구성요소 중 모델이 시각적 촉각 자극을 가장 많이 느끼는 조사 결과에 대한 후속연구로써, TV공익광고영상에 모델의 속성과 시각적 촉각 자극의 상관성과 모델로 인한 시각적 촉각 자극이 광고영상 메시지 전달에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설문을 기초로 한 실증 논문이다. 선행 연구에서 모델로 인해 시각적 촉각 자극을 많이 느낀 10편의 TV공익광고영상을 대상으로 5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광고모델의 속성 중 진실성(44.6%), 전문성(29.0%), 매력성(7.25%) 순으로 실험자가 시각적 촉각 자극에 대한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실험자의 78.8%(보통이상)가 모델로 인한 시각적 촉각 자극이 광고영상 메시지 전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추후 TV공익광고영상 제작 시, 모델의 선택과 관련하여 본 연구가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