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초기선종의 성립에 관한 일고찰 - 우두선(牛頭禪) 사상을 중심으로 -

        김제란(金帝蘭)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7 No.-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초기 선종사에서 가장 강렬한 이념을 제시했던 우두법융(牛頭法融, 594657)의 선사상인 우두선(牛頭禪)의 형성과 그 내용을 재해석하기 위함이다. 6, 7세기 동아시아 불교 지형도에서 달마의 중국 도래는 당시 소의경전 중심의 고답적인 종파불교에 대한 경종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동아시아 선불교의 황금기를 예고했다. 달마는 『능가경(楞伽經)』을 소의경전으로, ‘응주벽관(凝住壁觀)’을 수행방법으로 후학들에게 그의 독특한 선사상을 전수했다. 그의 선법은 5조 홍인 이후 남북 양종, 즉 혜능의 남종선과 신수의 북종선으로 각기 분기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분기에 앞서 4조 도신 때 법융은 삼론종의 반야 공관(般若空觀)을 바탕으로 한 ‘무사선(無事禪)’과 ‘절관(絶觀)’의 이념을 선보였다. 그의 선사상은 4조 법지에 이르러 우두종이라는 종파를 형성했다. 후에 화엄종 5조 종밀은 우두종이 남북 양종과 별개인 제3의 선종이며, ‘민절무기종(泯絶無奇宗)’ 혹은 ‘반야공종’(般若空宗)이라고 표현했다. 그들은 남북 양종의 이념적 대립 구도 속에서 타 종파의 선사나 문인들과 빈번한 교류를 통해 여러 사상들의 담론을 형성하는 가교 역할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두종은 당말 삼론종의 쇠퇴와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에 본 연구는 우두종의 선사상을 중국 선종의 성립이라는 측면에서 다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bout the thought of Zen(禪) in Fǎ róng(法融, 594657) and the sect of Niu-t"ou(牛頭宗).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delicate the Niu-t"ou Zen(牛頭禪) which had taken a brilliant role in Zen Buddhism in China of bygone days. The Order of Zen Buddhism insists on the faith that Buddha and Human beings have originally the same in true nature. Furthermore, Geonsung(見性) isn’t the discourse of the true nature, but manifests oneself it. According to the 1st Bodhidharma’s coming from India, China Buddhism has turned over a new leaf and became more pratical religion than just dogmatic concentration of the teachings of Buddha. He put Lankāvatāra-sūtra(『楞伽經』) on a essential text of Zen Buddhism and practised a ‘meditation staying focused on wall’(凝住壁觀) as a method of the practice on his Zen. As time passed, his tradition of Zen’s practice was divided into two kinds of South and North in China. Namely, one is ‘Mindlessness’(無心) of Southern Zen and the other is ‘Escape of thouhgt’(離念) of Northern Zen. A fully separate sect from previous sects was the Order of Niu-t"ou which had established by the 1st zen master named Fǎ róng. He wa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Sānlùn school(三論宗) in China, avocated ‘None of action zen’(無事禪) and ‘Extinction of all Vipassanā’(絶觀) as a practice of Zen throughout Prajña-Śūnyatā(般若空觀) of Mahāyāna Buddhism. The 4th master (法持) succeeding a brilliant thought on Zen by Fǎ róng actually established the Sect of Niu-t"ou as a independent sect in China Buddhism. They were called as an ‘Independent from Extinction of Emotion Sect’(泯絶無奇宗), a ‘Prajña-śūnyatā Sect’(般若空宗), or a ‘3rd Zen Sect separate from north-south two zen sects’ tradition’ by the 5th Zōng mì(圭峰宗密, 781-841) in the Huá yán zōng(華嚴宗) in China. The thought of conformability of the meditative(禪) and doctrinal aprroaches(敎) have given the background on it of the 4th Chéng guān(清涼澄觀, 737-838) and the 5th Zōng mì in the Huá y án zōng. However, the sect of Niu-t"ou had gone away into a page of history in China Zen Buddhism before China’s Song(宋) Dynasty, casting in their fortunes with a decline of the Sānlùn school in late Tang(唐) Dynasty. So, to conclude,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pose the true reason of the ‘jiàn xìng chéng fó’(見性成佛) on Zen Buddhism by investigating thoroughly the Niu-t"ou Zen which had presented a most powerful thought in Zen Buddhism in China.

      • SCOPUSKCI등재

        유전자 조작 알파 인터페론의 조직분포에 관한 연구

        김제,이혜선,김달현,조남진,곽규범 한국약제학회 1987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17 No.4

        The distribution features of recombinant human alpha-interferon (rHuIFN- αA) and ^(14)C-radiolabeled rHuIFN- αA (^(14)C-rHuIFN- αA) were investigated in ICR mice after i.v. injection. The level of rHuIFN- αA in the kidne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lung and liver at 10min after the injection. But the level was reduced significantly at 60min. The level of radioactivity in the kidney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organs after i.v. injection of ^(14)C-rHuIFN- αA, but it was reduced at much slower speed than was rHuIFN- αA. These results show that interferon is distributed repidly and the kidney is the main site of distribution and metabolism of rHuIFM- αA.

      • KCI등재

        現代新儒學 형성에 불교가 미친 영향(Ⅱ)-章太炎 齊物論釋을 중심으로-

        김제 동양철학연구회 2007 東洋哲學硏究 Vol.50 No.-

        이 글은 중국 근대 시기 현대신유학의 형성 과정에 미친 불교의 영향을 장태염(章太炎, 1869-1936) 사상을 통해 찾아보려는 목적을 가진다. 장태염은 사회 변혁 이론으로 화엄, 법상 유식 불교를 활용하고 있다. 그는 도덕의 몰락이 혁명이 실패한 근본 원인이라고 생각하고, 혁명의 성공을 위해서는 철저한 자기 극복의 혁명 도덕이 필요하며 이러한 도덕을 불교에서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법상 유식 불교는 개체 자아가 法相의 분석을 통해 해체되는 환상에 불과한 것임을 제시해줄 수 있다고 생각하여 유식 불교에 강조점을 두었다. 논자는 주저인 제물론석(齊物論釋)을 중심으로 장태염 유식 불교 사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현장 계열의 유상유식보다 진제 계열의 무상유식에 근거하고 있으며 나아가 대승기신론의 진여연기론적인 관점을 수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이후 현대신유학의 형성에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제물(齊物)’이나 ‘상아(喪我)’, ‘진아(眞我)’ 개념에서 볼 수 있듯이, 장태염의 불교 사상은 유식 불교에 근본을 둔 것이다. 그러나 장태염의 유식 불교는 진제 유식-기신론-화엄종 등 중국불교의 흐름을 이어온 것으로, 그 맥을 꿰뚫는 핵심은 진여연기론이다. 그의 유식불교 사상이 현장 유식이 아니라 진제 유식과 대승기신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사실은 유학의 성선론적 경향과 결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진제 유식과 대승기신론적 성격을 가진 장태염 불교 사상은 현대신유학을 기초한 웅십력의 신유식론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결국 장태염은 현장 유식 불교를 정면으로 비판하지 않을지라도 전반적으로 진제 유식과 대승기신론적 입장을 취함으로써 진여연기론을 수용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대신유학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An Effect of Buddhism on the formation of Modern New-Confucianism (Ⅱ)-centering around Qiwulunshi(齊物論釋) of Zhang Taiyan(章太炎)- / Je-ran , Kim

      • KCI등재

        현대신유학(現代新儒學)에 나타난 유학·불교 융합의 방식들 - 웅십력(熊十力)·당군의(唐君毅)·모종삼(牟宗三) 3인의 철학을 중심으로 -

        김제 한국유교학회 202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8

        Modern China is characterized by the invasion of Western imperialism and the resulting clash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In the process of this conflict, various fusions of traditional Chinese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attempted to respond to Western ideas. Xiong Xhili(熊十力) opened a new road by mainly utilizing Consciousness-Only theory in the fus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His disciple, Tang Junyi(唐君毅), completed Modern Neo-Confucianism in association with Tian-Tai Buddhism. Xiong Xhili uses the ideas and terms of Confucianism, but with it, he criticizes Consciousness-Only theory and proposes ‘Neo Consciousness-Only theory(新唯識論)’. Because it was a way to affirm Chinese Buddhism and Confucianism, it was possible to combine Mou Jongsan(牟宗三) with Huayen Buddhism and Tang Junyi with Tian-Tai Buddh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often faced each other in the history of thought, but in the modern era, they became a powerful alliance. He simply chose one he thought was most suitable among the various sects of Buddhism. The representative cases were Consciousness-Only theory, Huayen Buddhism, and Tian-Tai Buddhism. The reason how such a fusion was possible is because of Chinese Buddhism itself. Unlike Indian Buddhism, Chinese Buddhism was based on the doctrine of tathāta dependent origination(眞如緣起說). The doctrine of tathāta dependent origination of Chinese Buddhism is like the theory of inherent goodness(性善論) of Confucianism. In conclusion, the fusion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the modern period of China was made on the premise of the combination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Specifically, it appeared in various ways of fusion such as Xiong Xhili and Consciousness-Only theory, Tang Junyi and Huayen Buddhism, Mou Zhongsan and Tian-Tai Buddhism. 중국 근대는 서양 제국주의가 동양을 침략하고 동서문화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시기이다. 이 충돌 과정에서 서양사상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전통불교와 유학의 다양한 융합이 시도되었다. 웅십력(熊十力, 1885-1968)은 유학과 불교의 융합에서 유식불교를 주로 활용하여 새로운 길을 열었고, 그의 제자인 당군의(唐君毅, 1909-1976)는 화엄불교와, 모종삼(牟宗三, 1909-1995)은 천태불교와 계합하여 현대신유학을 완성하였다. 웅십력은 유식불교의 사상과 용어를 활용하되 그것을 가지고 유식불교를 비판하고 자신의 ‘새로운 유식불교[新唯識論]’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중국불교와 유학을 긍정하는 길이었기에, 당군의와 모종삼에게서는 화엄· 천태불교와의 계합이 가능하였다. 불교와 유학은 과거 사상사에서는 서로 대립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근대라는 시기를 맞아 서양과의 사상적 싸움에서 승리하기 위해서 강력한 동맹이 된 것이다. 단지 개인적인 성향과 사상적인 면에서 불교의 다양한 종파들 중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하여 유학과 융합시켰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불교에서는 바로 유식불교, 화엄불교, 천태불교이고, 유학에서는 양명학, 주자학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융합이 가능했던 것은 기본적으로 중국불교 자체가 인도불교와 달리 진여연기(眞如緣起)론을 기본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유학의 성선론(性善論)과 결합할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중국 근대시기 불교와 유학의 융합은 불교의 진여연기론과 유학의 성선론의 결합이라는 전제에서 이루어졌고, 구체적으로는 웅십력과 유식불교, 당군의와 화엄불교, 모종삼과 천태불교라는 다양한 융합의 방식들로 나타났던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