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중력침강에 의한 세라믹 섬유의 길이분류

        김제균,최광훈,오승진,정윤중,강대갑,이재춘 한국세라믹학회 1994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1 No.2

        For the preparation of short ceramic fibers of which average length might be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size of sieve, e.g., 150${\mu}{\textrm}{m}$ or 300${\mu}{\textrm}{m}$, bulk fibers were grounded on sieve screen by applying both compressing and shearing force, and passed through the sieve screen. The grounded fibers were subjected to gravitational settling processes. The classified fibers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he length of each fiber was measured to correlate the average length with the opening size of the sieve used for grinding bulk fibers. Theoretical analysis show that a free settling technique is ineffective for the classification of fibers by length compared with that of particles. The average lengths of classified fibers estim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by relative packing volume of the fibers. Accordingly, it is confirmed that average fiber lengths can be determined from bulk volume data without photographing, counting and averaging results for hundreds of fibers.

      • 마찰재 재질 차이에 따른 Groan Noise 영향 고찰

        김제균(Je-Kyun Kim),이충근(Chung-Keun Lee),성수(Seong-Soo Kim)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2003 한국트라이볼로지학회 학술대회 Vol.36 No.-

        This Paper reports the studies on groan noise effect with friction material's difference in the automotive brake syste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roan noise effect with pad material's difference, gathering and comparison analysis about the groan noise occurred pads and non-occurred pads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 comparison analysis results showed following common phenomenon that the groan noise was affected by the raw material's particle size.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raw material particle size affected change of the pad surface condition and the changed surface condition was related to groan noise.

      • KCI등재

        정상인의 팔굽, 무릎관절의 형태와 내.외반의 각도 및 무릅관절 간의 길이에 대한 조사

        근조,이규리,제균,Kim, Keun-Jo,Lee, Cu-Ri,Cheon, Jae-Kyun 대한물리치료과학회 1994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1 No.2

        This study was research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elbow-knee joint form, the varus and valgus angle and the both knee joint distance of the 215 persons form July 1, 1994 to July 15, 199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orm of elbow join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sex group(p<0.05). 2. The angle of elbow joint was very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age group and sex. B.M.I. group(p<0.001, p<0.01, p<0.01), and the average angle was $9^{\circ}.51{\pm}4^{\circ}.79$(n=215). 3. The angle of Cubitus valgus was very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age group(p<0.001), and the average angle of Cubitus valgus was $10^{\circ}.85{\pm}3^{\circ}.76$(n=187). 4. The angle of Knee join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age group(p<0.05), and the its average angle was $7^{\circ}.63{\pm}4^{\circ}.52$(n=215). 5. The angle of Genu varu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age and sex group(p<0.05, p<0.05), and the its average was $6^{\circ}.92{\pm}2^{\circ}.36$(n=27). 6. The angle of Genu valgus was very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age group(p<0.001), and the its average angle was $9^{\circ}.75{\pm}2^{\circ}.94$(n=149). 7. The distance of both Knee join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age group and B. M. I. group (p<0.001, p<0.05), and the its average distance was $2.55{\pm}1.45cm$(n=135).

      • KCI등재

        변형률을 이용한 복합재 평판 후퇴익 구조물의 변위 예측

        문국,제균,소영,인걸,근상,전민혁,Kim, Mun-Guk,You, Je-Gyun,Kim, So-Young,Kim, In-Gul,Kim, Geun-Sang,Jeon, Min-Hyeok 한국복합재료학회 2017 Composites research Vol.30 No.5

        복합재 후퇴익은 비행 중 굽힘 하중 외에도 비틀림 하중을 받아 복잡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변형이 나타나는 복합재 후퇴익의 구조 건전성 평가를 위해 복합재 후퇴익 구조물의 변위 예측이 요구된다. 날개의 변위 예측은 변위와 변형률 관계를 통해 예측할 수 있지만 후퇴익의 복잡한 변형으로 고정단 부근의 변형률 분포는 복잡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부 위치의 변형률 센서만으로 변형률을 측정하면 변위 예측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변형률 분포를 고려한 평판 형태의 복합재 후퇴익의 변위를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변형률 측정 지점을 선정하였다. 측정 지점의 변형률을 이용하여 예측한 변위는 해석에서 계산된 변위와 잘 일치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The complex deformation of the swept composite wing occurs due to the torsional load and bending load during the flight. Therefore, prediction for displacement of swept composite wing is required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Wing displacements can be predicted by using relationship between displacements and strains. The strain distributions on the fixed-end are complex due to the geometric shape of the swept wing. Because of those strain distribution, the wing displacement can be diversely predicted by the strain sensing locations. In this paper, displacements prediction of swept composite wing was performed by considering complex strain distributions. The predicted displacements under various loading condition were consistent with those calculated by FEA and verified through the bending test.

      • KCI등재

        척골관에서 부 소지외전근에 의한 척골 신경의 압박신경병증: 증례 보고

        이준상,김제균,황종익 대한수부외과학회 2020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5 No.1

        Guyon’s canal syndrome is a compression neuropathy of the ulnar nerve that occurs at the wrist. Compression can be caused by many conditions, such as benign tumors, repeated occupational trauma, vascular lesions, fractures of the carpal bones, rheumatoid arthritis and anomalous hypothenar muscle at Guyon's canal. Her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compression neuropathy of the ulnar nerve by the accessory 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AADM), one of the anomalous hypothenar muscles, at Guyon's canal. The case report is accompanied by a literature review. 척골관 증후근(Guyon’s canal syndrome)은 완관절부 및 수부에 생기는 척골 신경의 압박신경병증이다. 원인으로는 양성 종양, 반복적인 직업상 외상, 수근골의 골절, 류마티스 관절염, 혈관성 병변 등이 있으며 비정상 소지구근육(anomalous hypothenar muscle)에 의해 척골 신경이 압박을 받아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척골관 부근에서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부소지외전근(accessory abductor digiti minimi muscle)에 의해 발생한 척골 신경의 압박신경병증 1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보고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관절경적 2열 고정 회전근개 복원술 후의 임상 결과 및 CT 관절조영술을 이용한 건의 치유 평가

        조현철(Chris H. Jo),김제균(Je-Kyoon Kim),윤강섭(Kang-Sup Yoon),이지호(Ji-Ho Lee),강승백(Seung-Baek Kang),이재협(Jae-Hyup Lee),한혁수(Hyuk-Soo Han),이승환(Seung-Whan Rhee)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09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2 No.2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의 임상 결과는 관혈적 복원술의 결과에 비견될 만큼 우수하다는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복원된 건의 치유 상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경적 2열 고정술 후의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 상태를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적 2열 고정술을 이용하여 회전근개 복원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 이상의 추시 관찰을 받은 환자 중 건의 치유 상태 확인을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시행한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7세였으며 남자 11명, 여자 16명이었다. 술 전 및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거상력, 이환 기간, 그리고 여러 종류의 임상 점수를 측정 하였으며, 수술 중 파열의 시상면 및 관상면의 크기, 이환 건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술 전 자기공명 영상 관절 조영술, 술 후에는 전산화 단층 촬영 관절 조영술에서 극상근 및 극하근의 위축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건의 연속성을 통한 건 치유 상태를 분석하였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 재파열, 그리고 건의 연속성은 있으나 부분적인 조영제 침투가 보이는 불완전 치유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전향적으로 추시하여 중, 장기적인 결과를 추시할 예정이다. 결과: 파열의 관상면 및 시상면 상 크기 중, 더 큰 것을 기준으로 파열의 크기를 분류하였고, 대상 환자 중 소파열이 1례, 중파열이 15례, 대파열 5례, 광범위 파열이 6례이었으며, 시상면에서의 평균 파열의 크기는 29.22 mm 이었다. 관상면에서의 크기는 평균 22.72 mm 이었으며, 술 전 극상근 위축이 12례에서, 극하근 위축은 2례에서 관찰되었다.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 거상력, 그리고 임상 점수는 모두 의미있게 호전되었으며 술 후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는 80.38점이었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가 48.2%, 불완전 치유가 11.1%, 재파열이 40.7%이었으며, 근위축은 극상근이 8례, 극하근이 1례로 술 전에 비하여 약간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2열 고정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 또한 높았다. 그러나 건이 완전 치유된 경우가 48.2%로 비교적 낮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Our goal for this study was to prospectively evaluate the functional & structural outcomes, by means of CT arthroscopy, of arthroscopic double-row fixation for treating rotator cuff tear. We also attempted to determine the variants that affect the functional & structur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even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with double-row fixation.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as fifty six years.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examinations consisted of determining the Constant score, the score for the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the UCLA score,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s well as a full physical examination of the shoulder. Preoperative MR arthrography was used to evaluate the integrity and atrophy of the rotator cuff. We measured the intraoperative tear size in the sagittal and coronal planes. Postoperative CT arthrography was used at one year postoperatively to evaluate the integrity and atrophy of the repaired tendons and muscles. Results: Preoperative MR arthrography revealed an average 29.22 mm tear size in the sagittal plane and an average 22.72 mm tear size in the coronal plane. Twelve cases of supraspinatus muscle atrophy and two cases of infraspinatus atrophy were observed on the preoperative MR arthrography. The average clinical outcome scores all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time of follow-up. At a mean of one year postoperatively, CT arthrography revealed 48.1% of the shoulders had healed, 11.1% showed incomplete healing and 40.7% showed retear of the repaired tendon. Conclusion: Arthroscopic double-row repair can result in improved clinical outcomes and good patient satisfaction. However, the problems about how to enhance healing of the repaired tendon still re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