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X]vst+어요’ 충남방언형의 외연(外緣)과 특징

        김정태 한국방언학회 2010 방언학 Vol.0 No.11

        One of features of dialect forms of the Chungnam area is to realize an auxiliary particle of a speech level, ‘-요/-yo/’ into ‘-유[-yu]. ‘-yo→[-yu]’ that is a dialect form of ‘X]vst+euyo’ embraces several issues of phonemes and prosodeme. Those issues are variations of phonemes of ‘-yo→[-yu] related to vowel rising of ‘-오/-o/→-우[-u],’ the realization form of ‘X]vst+euyo depending on the preceding phonemes of ‘/-yo/’ and ‘/-Əyo/’ accents depending on sound fields and forms accompanied with ‘-yo→[-yu],’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realization form of ‘-yo→[-yu].’The premise of this research is that realization forms of ‘-yo→ [-yu] shown in structures of ‘X]vst+Əyo,’ a Chungnam dialect form are one of the features of Chungnam dialects.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what meanings regional distribution of realization forms of ‘-yo→ [-yu]’ have. Mostly, ‘-yo→[-yu]’ has been considered as a feature and a typical form of Chungnam dialects.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confirmation on regional limitation, which is the edge, the boundary of this dialect.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confirm a unique characteristic of Chungnam dialects by examining the edge of realization forms of ‘-yo→[-yu].’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realization forms of ‘-yo→[-yu]’ is limited to Chungcheongnamdo in terms of an administrative division. In the Southern parts of Gyeonggi and the Eastern parts of Chungbuk which are located in the boundary of Chungcheongnamdo, this form is partially found. The mixture of ‘[-yo]’ and ‘[-yu]’ implies that this form is discharged from the Chungnam area. Meanwhile, in Jeongbuk which making a boundary with the Southern part of Chungnam, this form is not found. In the certain areas of Chungnam like Geomsan, Nonsan, and Buyeo which makes a boundary with Jeongbuk, ‘[-yo]’ is realized, not ‘[-yu].’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the ‘-yo→[-yu]’ was realized in inland dialects of Chungnam as the core area, and spread its edge out to the Southern parts of Gyeonggi and the Eastern part of Chungbuk and the Westsouthern parts of Gangwon. Meanwhile, dialects of Jeonbuk where realization of ‘[-yo]’ is dominating have an influence on Southern parts of Chungnam and therefore,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Chungnam and Joenbuk, linguistic forms of Jeollado are clearly dominating. 충남방언형 중 하나의 특징은 상대 존대의 보조사 ‘-요’의 ‘[-유]’로의 실현이다. 이 ‘X]vst+어요’의 구조에서 ‘-요→[-유]’ 실현에는 여러 문제들이 내재되어 있다. 이를테면, ‘오→우’ 모음상승과 관련된 ‘-요→[-유]’의 음소 변이 문제, ‘-어요’의 ‘-어’의 변이 문제, ‘-요→[-유]’에 수반되는 음장 문제와 문형에 따른 억양 문제, ‘-요→[-유]’ 실현형의 지리적 분포 문제 등이다. 본고는 충남방언의 ‘X]vst+어요’의 구조에서 나타나는 ‘-요→[-유]’ 실현형이 충남방언의 특징이라고 전제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일련의 문제 중에서 ‘-요→[-유]’ 실현형의 외연과 지리적 분포가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규명코자 하였다. ‘-요→[-유]’의 실현형에 대한 지리적 분포는 행정구역 상 충청남도에서 적극적이다. 경계를 이루고 있는 경기도 남부와 충북 서부 지역에서도 발견되는데, 이 지역에서 ‘[-요]’, ‘[-유]’의 혼재로 보아 충남방언에서 방사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유]’는 강원 서남 지역에까지 이르고 있다. 반면 전북과 경계를 이루는 충남의 남부, 즉 금산, 논산, 부여, 서천 등에서는 ‘[-유]’가 아닌 ‘[-요]’ 실현을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요→[-유]’ 실현형의 외연과 지리적 분포에 대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요→[-유]’의 적극적인 분포는 대방언권으로서의 중부방언에 대한 하위 방언으로 ‘충남방언’의 설정 개연성을 갖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유]’의 분포가 충북의 서부에서도 확인되며, 소극적이나마 경기 남부와 강원의 서남부에까지 이르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하나의 방언권으로 묶을 수 있고 아울러 핵방언으로서의 충남방언에서 동북쪽으로의 전파 가능성을 예측해볼 수 있다. 그리고 행정구역상 충남의 남부, 즉 전북과 접촉해 있는 금산, 논산, 부여, 서천 등과 충북의 남부, 즉 옥천, 영동 등은 전라방언권이다. ‘X]vst+어요’의 실현형에서 ‘-요→[-유]’가 아닌 ‘[-요]’로의 실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지역은 음운, 문법, 어휘 등 전라도의 언어 요소를 짙게 간직하고 있다.(도수희 1977, 김정태 2010)

      • SCOPUSSCIEKCI등재

        Neurofibromatosis Type 2와 무관하게 발생된 척추 경막내 다발성 신경초종 - 증 례 보 고 -

        김정태,성정남,박봉진,조맹기,김영준,Kim, Jung Tae,Sung, Jung Nam,Park, Bong Jin,Cho, Maeng Ki,Kim, Young Joon 대한신경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4

        Most extracranial schwannomas are solitary, but neurofibromas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other manietations of neurofibromatosis. Schwannomas that occur within the context of neurofibromatosis tend to be multiple, but multiple schwannomas without manifestation of neurofibromatosis type 2 are very rare. The authors report a very rare case of multiple spinal intradural schwannomas in the absence of neurofibromatosis Type 2 maniestations. A 40-year-old man suffered from longstanding low back pain and left side sciatica which was treated with two stage operations. MRI showed multiple intradural mass lesions extending from L1 vertebral segment to S1 vertebral segment. There were no clinical and radiological manifestations of Type 2 neurofibromatosis. Histologically confirmed diagnosis was schwannoma.

      • KCI등재

        전라북도립국악원 교육 34년의 시기별 전개양상과 현안 고찰

        김정태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8 No.-

        전라북도립국악원 교육은 지난 34년 동안 수요자 중심의 제도와 교과운영을 통해 교육의 내실화와 저변 확대를 꾀하여 왔다. 1986년 10월 15일부터 2020년 10월 15일까지 34년 동안 일반인 대상의 주야간 상설 교육은 80,223명의 연수생들이 교육을 받았다. 지난 34년 동안의 국악원 교육의 전개양상은 네 시기 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986년 10월부터 1995년 9월까지 약 9년간의 시기는 초창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교육과정, 교수 선임, 수강료, 학습발표회 등 교육운영의 전반적인 기틀이 마련되었다. 1995년 10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약 7년 3개월의 시기는 시련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는 교육개혁추 진단을 결성하여 지난 10여년 교육의 전면적인 점검과 함께 본격적인 야간반 교육이 이루어졌고, 국악원 민간위탁운영 추진으로 시련이 있었다. 2003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12년의 시기는 모색기라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2008년부터 유치원생 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국악체험학습 운영, 2010년부터 국악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시군 찾아가는 국악연수 운영, 2014년부터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 주말반 운영 등 교육대상의 다변화 등 다양한 모색이 이루어졌다. 2015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약 5년 9개월의 시기는 안정기라 볼 수 있다. 이 시기는 2015년부터 학예연구팀의 교육행정업무 지원, 2020년 전통문화체험전수관 건립으로 체험활동 기회를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교육 현안은 본관 건물 신축을 통한 교육 공간 개선 및 신규 과목 개설, 전통문화체험전수관 건립에 따른 체험활동의 기회 확대, 온라인 동영상 강의 개설 등 새로운 교육콘텐츠 개발, 교재 발간과 국악교육사 례집 발간 등 교육방법론 연구를 들 수 있다. For the past 34 years, the education of the Jeollabuk-do Gugak Center has aimed at enhancing the internalization and expansion of education through consumer-oriented systems and curriculum management. From October 15th, 1986 to October 10th, 2020, 80,223 trainees were trained with regular day and night classes for the general public. The development of Gukak education over the past 34 years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This nine-year period from October 1986 to September 1995 is considered to be the initial state of the development. This period laid the overall foundation for the operation of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development, appointment of professors, setting tuition fees, and presentations. This seven years and three months period from October 1995 to December 2002 is considered to be a time of trial. During this period, a full-scale inspection was conducted on the education of the past decade. There were difficulties due to the promotion of private consignment. This 12-year period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14 is considered to be a period of exploration. This period was led by a diversification of education subjects. In 2008, the Gukak experience day was operated for kindergarten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2010, operations expanded with training sessions reaching out to underprivileged areas. Since 2014, youth weekend classes have been set up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five years and nine month period from January 2015 to October 2020 is considered to be a period of stability. The Academic Research team supporte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asks since 2015. With the opening of the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Center in 2020, hands-on education opportunities have been expanded. Future education tasks include improving education space through constructing a main building and developing new education contents such as online video lectures. Furthermor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methodologies and publishing a Gukak education casebook are planned.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Center, the center seeks to strengthen hands-on education services.

      • KCI등재

        Perforator Flap versus Conventional Flap

        김정태,김상화 대한의학회 2015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0 No.5

        The introduction of perforator flaps represented a significant advance in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However, confusion has developed due to the erroneous belief that perforator flaps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flaps. The concept of the perforator is not new, but is an idea that evolved from the conventional flap. In fact, some of the flaps used by microsurgeons were perforator flaps. The only difference is the anatomical level of the blood vessels involved; the perforator concept is focused on the distal circulation, socalled ‘perforator’. Therefore, thinner sections of tissue can be taken from the conventional donor sites of myocutaneous flaps. With the use of perforators, there are no longer “flap of choice” for specific reconstructions, because conventional donor sites have become universal donor sites, enabling the harvesting of a variety of flaps. Moreover, depending on the surgeon’s ability, any flap can be utilized as a perforator-based island flap whose source vessel has been completely preserved. Therefore, tissues can be efficiently customized and tailored into any configuration required for reconstruction. The application of perforator flap technique enables more precise dissection, and allows more selective harvesting of thinner flaps, which will expand options in reconstructive surgery. No doubt the technique will continue to evol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