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이후 일반인과 의대생 대상 죽음교육 개선을 위한 예비연구

        김정아,안경진,Kim, Claire Junga,Ahn, Kyongjin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2 의학교육논단 Vol.24 No.2

        Considering the recent medicalization of death, the importance of preparing both laypersons and medical students to have meaningful end-of-life conversations, which is among the objectives of death education, will grow. The Ac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provided a new source of momentum to death education for both laypersons and medical professionals,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n death is widely recognized. However, problems remain regarding how to prepare people for productive conversations at the end-of-life and how to secure the continuity of care. Different focuses and deficiencies are observed in death education programs for each category of learner. In education for laypeople, tangible information on how to actualize one's existential and personal understanding of death through real-life options is lacking, except for presenting the "protocol" of the Act. Conversely, basic medical education lacks an understanding of or confrontation with death on the existential and personal levels. Death education should aim to build a shared understanding that can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scant overlap between layperson education and basic medical education even after the Act's enactment is worrisome. Further fundamental changes in death education are required regarding its content. Topics that patients and doctors can share and discuss regarding death and end-of-life care should be discovered and provided as educational content both to laypeople and future medical professionals.

      • KCI등재

        빛공해 저감을 위한 원격탐사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빛 방사량 변화양상 모니터링

        김정아 ( Junga Kim ),천상현 ( Sanghyun Ch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연구배경 및 목적) 과도한 인공조명의 사용은 생태계와 도시민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공해의 한 형태인 빛공해로 인식되고 있다. 환경부는 빛공해 방지법 제정을 시작으로 빛공해 피해 방지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빛공해 관리를 위한 자료수집에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속적인 빛공해 관리를 위하여 도시전역 차원에서의 빛공해 변화를 고찰하고 수치화할 수 있는 빛공해 진단 방법의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전역에 대해 빛 방사량 현황과 변화양상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고 각 지역의 빛 방사량 과도지역 및 빛 방사량 증감현상의 지역적 특징을 판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치적으로 빛 방사량을 진단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한다. 이를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시 전역의 정량적 빛 방사량 현황 및 변화 양상을 파악한다. 또한, Getis Ord Gi* 통계량을 사용하여 서울시 빛공해 핫 스팟 지역을 도출하고 행정구역 별 변화를 고찰한 후, 빛공해 증감이 뚜렷한 지역들의 특징을 파악한다. (결과) 서울시 빛 방사량 지도에 기초한 결과, 지난 4년여 동안 서울시 총 빛 방사량은 약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구산-역촌-녹번-응암-수색-가좌의 은평구 일대, 목동-일상 일대, 신길-신대방-신림-서울대 일대, 기존 중심지인 강남-압구정-청담 및 논현-선릉 지역에서 벨트를 형성하며 빛 방사량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그러나, 홍대-이태원-종로 등 활성화된 상권 지역과 마곡지구-세곡지구 등 신규 개발 지역을 중심으로 빛 방사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빛공해 관리를 위해 지속적이고 경제적인 방법론을 제안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최근 중요한 환경문제로 언급되고 있는 빛공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이는 정책적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빛공해 유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도출함으로써 현재 서울시에서 시행중인 ‘빛공해 관리방안’ 및 현재 용도지역을 기반으로 3~4종으로 운영되고 있는 조명관리지역의 지정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Excessive artificial nightlight is considered a pollutant that adversely affects human health and ecosystems. Since the enactment of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Law in Korea,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made efforts to monitor exposure to night pollution and mitigate its damage. Monitoring nightlight emission levels and night pollution damage takes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and effort in collecting data that are useful for designing light pollution mitigation policies. Various methods for diagnosing light pollution must be developed to manage and control light pollution effectively. In particular, the monitoring of light pollution in urban space is crucial since urban areas are night pollution hotspo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light emission levels and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identify changing patterns in Seoul. This study also evaluates local characteristics of sub regions in Seoul that show rapid changes in their nightlight emission levels. (Method) This study uses satellite nightlight data to quantify and measure urban light emission levels from 2012 to 2016. We use the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and Day and Night Band (DNB) data from the Earth Ovsercation Group (EOG) of 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We create yearly composite data to calculate the light intensity of Seoul to evaluate the city’s light pollution status and change patterns. We also use Getis- Ord-Gi* statistics to identify nightlight hotspot area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nightlight emission amounts in Seoul slightly decreased between 2012 and 2016 due to reductions in the following areas: (1) the Gusan-Yeokchon-Nokbeon-Eungam-Susaek-Gajwa areas in the Eunpyeong District, (2) the Mokdong-Ilsang areas, (3) the Singil-Sindaebang-Sillim-Seoul National University areas, and (4) aged business districts in the Gangnam areas: Gangnam-Apgujeong-Cheongdam-Nonhyeon-Seolleung areas. The proportion of highly polluted urban spaces has increased over time due to two main reasons: (1) the development of existing and new commercial areas (e.g., Hongdae, Itaewon, Jong-ro) and (2) new urban land development projects organized for mass housing-supply projects (e.g., Magok and Segok distric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evidence for current nightlight emission changes in Seoul and methodologies to monitor light emissions and manage light pollution. Finally, this study can also be used to supplement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of the current four categories of lighting management z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1) present methodologies to monitor nightlight emissions at a macro urban scale; (2) provide basic understanding and evidence for current and changing nightlight emission patterns; and (3) identify areas that have a high probability of light pollution exposure.

      • KCI등재

        웹 아이텐티티를 위한 모바일 스타일 가이드 연구

        김정아 ( Kim Junga ),김태균 ( Kim Taeky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2 No.-

        오늘날 스마트폰 기기의 확산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웹 접속이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스크 탑의 웹 서비스를 모바일 환경으로 옮기려는 시도 또한 늘고 있다. 웹 서비스의 모태가 `웹`인 것을 생각하면 동일한 콘텐츠를 다른 매체를 통해 접근하더라도 비슷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되어야 강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 인터페이스와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웹 아이덴티티 스타일 가이드`를 정의하고, 모바일 서비스인 모바일 웹과 어플리케이션, 웹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적용과 확인을 위해 발견적 방법으로 국내 모바일 웹을 데스크 탑의 웹 아이덴티티의 관점에서 유사성과 차별성을 살펴보았으며 모바일 웹 스타일가이드의 구성요소 및 체계를 제시하였다. 모바일 웹 스타일 가이드는 기존의 웹 스타일 가이드의 구성요소 및 항목의 유사성과 동시에 사용 환경과 상황에 따른 차별성을 공유한다. 유사성은 시각적으로 데스크 탑 웹과 모바일 웹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가져올 수 있는 요소로써 브랜딩과 디자인에 해당하며, 차별성은 모바일 웹의 매체적 특성과 사용 환경, 목적과 기능에 따라 아이덴티티를 구축할 수 있는 항목으로 레이아웃 및 정보설계에 해당한다. 웹 아이덴티티는 데스크 탑 웹뿐만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이루어진다. 따라서 웹 스타일 가이드의 항목 유사성을 유지하고, 모바일 웹 스타일 가이드 제안 요소 및 차별성에 따른 요소를 고려할 때, 브랜드 연상 및 브랜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Nowadays, there are huge mobile devices that can access to internet. therefore many web contents are tried to fit in mobile web. As Mobile web service based on web service, it is required to support a same user experience, if they are able to enjoy the same contents through other devices. In this study, we attempt to define Web Identity Style Guide that consist of Web interface and identity. As considered web identity, we refer to literature research about web style guide and mobile web. We found out what relations are between Web and Mobile service. Moreover, we identified the similar and different components. As a result, we propose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Mobile web style guide. Therefore we categorized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The similar component of BI and visual design has both in web and mobile. Information architectures and layout systems have differentiation between Web and Mobile. These differentiation are related to mobile environment such as screen size, mobility and small memory size. Web identity is in a desktop web and mobile web. Therefore, when considering a differentiation and similarity, brand image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mmunicate.

      • KCI등재후보

        한국의 환자-의사 관계와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김정아 ( Claire Junga Kim ) 한국윤리학회 2021 윤리학 Vol.10 No.2

        비첨과 칠드레스가 ‘생명의료윤리의 적절한 출발점인 공통도덕의 일반적인 규범들을 표현하기 위해 의도된 분석 틀로서 기능’한다고 제안한 생명의료윤리의 4원칙은 생명윤리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누려왔다. 그러나 이 원칙들을 그 원칙이 태동한 문화적 구획 밖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은 종종 실패를 마주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4원칙 중 동아시아 사회에서 가장 많은 불협화음을 낸다고 일컬어지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을 한국의 환자-의사 관계라는 맥락 속에서 살펴본다. 이 논문은 (1) 이 원칙이 한국의 환자-의사 관계에 실제로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와 (2) 이 원칙의 번역가능한 대응물을 유교 문화권의 이론적 배경인 유학에서 찾을 수 있을지, 그리고 (3) 번역 가능한 대응물의 모색이라는 (2)와 같은 방식이 전략적으로 유의미할 것인지를 따져본다. 번역 가능한 대응물의 모색은 짜이가 시도한 방식이기도 한데, 이러한 방식을 한국에 적용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의미해지려면 자율성 존중의 원칙을 포함한 생명의료윤리의 4원칙을 공통도덕으로 가정하는 동시에 이론으로서의 유학을 의료 맥락에 적용될, 현재 한국인의 신념체계의 중요한 축으로 가정하면서 이 둘 사이에 매끄러운 번역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1), (2), (3), 각각의 질문에 회의적으로 답하며 저자가 결론적으로 제안하는 바는 낙관적 전제들에 대한 점검과 실증 연구에 근거한 “한국의 생명윤리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국의 생명윤리학은 생명의료윤리의 4원칙이 공통도덕의 일부라는 검증되지 않은 가정에서 출발할 필요가 없으며, 반드시 유교 이론과 같은 전통 사상 구획에 구속될 필요도 없이, 현재 우리가 필요로 하는 규범 체계가 무엇인지에 대한 답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suggested by T. L. Beauchamp and J. F. Childress as “an analytical framework intended to express general norms of the common morality that are a suitable starting point for biomedical ethics,” have enjoyed great influence in the field of bioethics. However, attempts to apply these principles outside the cultural sphere in which these principles were born often faced failures. In this paper, the author examines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which is said to produce the most discord within East Asian societies among these four principles, in the context of a patient-doctor relationship in Korea. This paper examines whether (1) this principle is successfully applied to Korean patient-doctor relationships, (2) this principle is compatible with Confucianism, and (3) the approaches like (2) are strategically sound. Such approaches of searching for translatable counterpart were tried by D. F. C. Tsai. However, adopting these approaches in Korean context requires critical examination on unproven assumptions: the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re part of common morality. Confucianism as a theory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urrent Korean belief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medical context; these two four principles and Confucianism are translatable. In answering each question of (1), (2), and (3), the author reaches the conclusion that Korean bioethics, which is based on critical examination on unproven assumptions, and on empirical researches is direly needed. Korean bioethics should be the answer to what the framework of moral norms would be like for our current needs in biomedicine. This does not need to start from the unproven assumptions that 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re part of common morality, or that a traditional theory such as Confucianism is the basic mindset that we use in the current context of biomedicine.

      • KCI등재

        Perception and Use of Ethnic Online Communities as a Health Information Source among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Junga Kim,Jisu Huh,김정아,허지수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6 No.-

        본 연구는 건강 관련 정보를 필요로 하는 미주 한인들에게 정보원으로서 미주 한인 온라인 커뮤니티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기반으로는 미디어 이용과 의존 모델을 채택하였고, 당뇨병 관련되는 정보추구에 조사의 포커스를 두었다. 당뇨 관련 정보원으로서, 전통적인 건강/의료 관련 정보원들(e.g., 의사)과 온라인 커뮤니티가 어떻게 이용되고 평가되는지 알아보고자 다른 문화적 동화(acculturation) 수준을 가진 미주 한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주 한인들에게(특히 언어장벽이나 미국의 의료시스템이 나 정보채널에 익숙하지 않은 최근 이민자들에게), 온라인 커뮤니티는 유용하고 손쉽게 당뇨 관 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대안 정보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잠재성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에 반해, 건강/의료 정보원으로서 의사에 의지하는 것은 개인의 미국 문화에 대한 동화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문화적 동화 수준과 더불어 또한 건강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당뇨 관련 정보원으로서의 온라인 커뮤니티 및 의사에 대한 유용성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연구의 결과는, 미국내의 한국인 이민 커뮤니티의 건강/의료 관련 정보나 의료서비스 이용 에 존재하는 갭을 개선하는 공공정책이나 헬쓰컴 캠페인 개발에 유용한 지침을 제안함과 동시에, 한국내에서도 증가하고 있는 이민자/소수민족들이 직면해 있는 건강/의료 관련 정보 액세스나 의료서비스 이용에 있어서의 사회적 문제들을 풀어가는 데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ethnic online communities as a health information source for Korean Americans, applying the uses and dependency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use and evaluation of online communities and physicians as diabetes-related information sources among recently immigrated Korean Americans with different levels of accultur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ethnic online commun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ccessible and useful sources for diabetes-related information for Korean American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between high and low acculturated Korean Americans in the use of physicians as an information source. In addition to the level of acculturation, health insurance coverage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explaining Korean Americans’ use and perceptions of online communities and physicians as diabetes-related information sources.

      • KCI등재후보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김정아,오승민,김평만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Biomedical ethics education as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has crucial role in medical education for student, interns, and residents. It helps clinical faculties to educate their trainees about the importance of medical ethics in clinical situation, and to encourage the trainees to integrate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ey have been taught in formal medical ethics education program with the new clinical context they are dealing with. However, the need for faculty development in this area has been neglected. This article introduces an attempt for faculty development on medical ethics education which is provided to new faculty members in one medical center. We developed workshop program for two days and also wrote a book on medical ethics for clinicians. We found changed perception on medical ethics education and received positive feedbacks. New faculty members came to have more self-efficacy on medical ethics and perceive more need on medical ethics education. This would help them to be a good role model for their trainees as well as a good doctor for patients. 본 논문은 생명의료윤리 교육, 특히 의학교육 내에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중 필수적 부분인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의 분야를 다룬다. 생명의료윤리 교육이 의학교육 내에서 받아들여지고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나, 이를 의(醫)의 실무 속에서 행함으로써 학생과 전공의를 위한 롤모델이 되어 줄 의학교육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은 지금까지 크게 부각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개 의료원에서 신임교원을 대상으로 제공한 생명의료윤리 교육을 교수개발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분석한다. 새로운 구성원에게 기관의 윤리적 사명을 명시적으로 표명하는 것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그들이 받고 있는 기대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진료 현장과 교육의 현장에서 윤리적 실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재 개발과 워크숍으로 이루어진 본 교수개발 프로그램에 대하여 학습자들은 생명의료윤리 지식에 관한 자기평가와 필요성 인식 모두 증가한 양상을 보였고,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를 만족도 결과와 더불어 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앞으로 교수개발의 차원으로 생명의료윤리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당위와 긍정적 가능성을 보여준다.

      • 의예과 글쓰기 교과목에서의 동료 평가와 상호 되먹임의 효과

        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7 EMJ (Ewha medical journal) Vol.40 No.1

        Objectives: There are several problems which hamper the successful teaching of writing in medical education. To deal with these problems, teachers should be conscious of two general questions; what to teach in writing class for premedical students; and how to utilize the writing class time. This paper examines the value of peer assessment and peer feedback in dealing with those questions. Methods: This paper reviews a subject in premedical education, Logical Thinking and Writing , from the perspective of peer assessment and peer feedback. Results: Students accomplished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hey recognized the value of peer assessment and feedback. Conclusion: Peer assessment and peer feedback foster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and accelerate the learning process. This strategy reminds students of the fact that they are writing an essay for an audience.

      • 의과대학 학생의 의예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김정아,이화영,박영미,이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2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43 No.1

        Objectives: 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aces curriculum reform in 2020. To determine what reforms are needed in the premedical curriculum, a needs assessment was conducted. Methods: This study utilizes qualitative study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our students who completed premedical course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8.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wo groups by grade level, and each interview was recorded. After transcribing the recorded contents, four researchers analyzed the data using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Results: Students chose 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nsidering their future careers as female medical professionals and other considerations such as scholarships. The students expected diverse experiences, exchanges with students in different departments, and fusion of medicine with other fields during their premedical years. Overall, these expectations were met during the course, but individual needs for customized education, such as liberal arts, were unmet. In general, students’ attitudes toward premedical courses were very motivated and they actively used resources provided by the university. Conclusion: Qualitative research can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quantitative data, such as a student survey performed to prepare for curriculum reform.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will be reformed to reflect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to motivate students and to provide satisfactory education.

      • KCI등재

        다의어 ‘알다’의 의미와 한국어 교육 방안

        김정아 ( Kim¸ Jung-a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8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알다’의 다의적 용법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알다’는 행위의 대상과 과정을 통해 의미가 확장되는 것으로 보았다. ‘알다’는 가장 기본적으로 ‘N을/를 알다’ 구성을 보이며 N에 해당하는 대상은 정보나 사실, 사람, 감정, 감각 등이다. 또한 인지 행위로서의 ‘알다’는 외부 자극을 통해 정보를 얻고, 판단하고 예상하여 정보를 수용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런 일련의 인지 행위 과정을 통해 ‘알다’의 의미들은 서로 유연성을 가지고 확장된다. 이렇게 의미적 유연성을 가지고 확장된 ‘알다’의 의미와 특성은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육적으로 유용한 정보와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는지’, ‘줄’ 등과 같은 문법 요소를 중심으로 제시되는 표현항목 ‘-는지 알다’, ‘-을 줄 알다’, ‘-는 줄 알다’ 등을 ‘알다’의 다의적 용법으로 설명한다면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알겠다’, ‘알아서’, ‘알바 아니다’와 같은 관용적인 표현도 ‘알다’의 다의적 용법을 바탕으로 교수·학습한다면 인지적 개연성과 의미의 유연성을 통해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pose conte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the polysemous usage of ‘알다[alda]’. The study viewed ‘알다’ as expanding in meaning through the objects and processes of the behavior. Most fundamentally, ‘알다’ exhibits the composition ‘N을/를 알다’, and the objects corresponding to N includes information, factors, people, emotions, and senses. Furthermore, as cognitive behavior, ‘알다’ acquires and determines information through outside stimuli, and goes through a process of accepting information through doubt and prediction. Through these series of cognitive behavior processes, the polysemies of ‘알다’ expand with flexibility to each other. The nature of ‘알다’ serves as an important method of explanation for learner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able to systematically learn by explaining the expression items ‘-는지 알다’, ‘-(으)ㄹ 줄 알다’, and ‘-는 줄 알다’, presented with a focus on grammatical elements such as ‘-는지’ and ‘줄’, through polysemous usage. Moreover, ‘알다’ is frequently used in idiomatic expressions such as ‘알겠다’, ‘알아서’, and ‘알 바 아니다’, and thus, if teaching and learning i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polysemous usage of ‘알다’, its cognitive probability and semantic flexibility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ects of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