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환경교육을 위한 역사 교과의 과제와 적용 방안

        김정분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교육 Vol.62 No.2

        This paper began with a question about the challenge and conditions for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in history education. It discussed how ecologic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suggested as a major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at ecological perspective that argues for deviating from humanism means to history, and what direction ecological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proceed in history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clues to raising these problems, Chapter 1 summarizes what ecological citizenship is as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core of the discussion on ecological citizenship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ecological concept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ism, which is noted in previous studies, is that it is necessary to escape human-centered thinking, and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 discussion and orientation on ecological citizenship are mainly directed at emotions and attitudes. Chapter 2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human-centered historiography and the necessity of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In order for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to be applied to history education, the meaning of deviating from human-centered thinking must be explained first. This paper emphasized that the concept needs to be redefined rather than the absolute denial of humanism. Ecological thinking is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with the power of critical reason. Ecological thinking also requires the sense and imagination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nature and civilization. Chapter 3 presents the meaning of a historical narrative for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and its composition plan. Several conditions are needed to construct a historical narrative aimed at ecological thinking. First, historical facts and storytelling are need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Second, expand the area of historical awareness of time and space. Third, it should be based on convergent thinking with other studies or other subjects so that a holistic perception of humans and non-human beings is possible. 본 논문은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과 적용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1장에서는 환경교육의 목표로 제시되는 생태 시민성의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환경교육의 개념과 가치를 정리하였 다 이를 통해 생태주의적 개념이 생태 시민성의 핵심사항이며 생태시민성에 대한 논의와 지향점이 주로 감정과 . 태도를 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생태주의의 실현이 인간중심적 . 사고에서 벗어나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장에서는 인간중심적 역사학의 특징을 분석하고 생태환경 . 2 교육이 가능하기 위한 역사적 사고를 논의하였다 생태환경교육이 역사교육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인간중심적 사고 . 에서 벗어나는 의미를 설명해야 한다 즉 인문주의적 특징에 대한 절대적 부정이 아닌 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 점을 강조하였고 이를 생태적 사고로 정의하였다 생태적 사고는 인간과 생태환경의 관계를 비판적 이성의 힘으로 . 사유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자연과 문명의 한계를 인지할 수 있는 감각과 상상력도 필요로 한다 생태적 , . 사고를 통해 환경문제의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생태환경교육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장은 생태적 사고를 위한 . 3 역사교육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새로운 역사 서사의 의미와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

      • KCI등재

        초등 역사 교과서 속 발문의 유형 분석

        김정분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본고는 교과서 속 발문의 의미를 고찰하고 현행 초등 역사 교과서 속 발문의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먼저, 발문 분석을 위해 기존 발문 연구의 분석틀로 활용되었던 블룸(Bloom), 블라써(Blosser), 바스(Barth)의 발문 연구 외에 발문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안한 노만 웹 박사(Dr. Norman Webb)의 깊은 이해를 위한 발문 전략인 DOK(Depth of Knowledge)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역사 교과서 속 발문 현황을 웹이 제시한 4단계 발문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결과, 현재 초등 역사 교과서 속 발문은 1유형 위주로 구성되어 지식과 정보를 단순히 기억하거나 재현하는 단계의 학습이 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형 2,3,4 발문의 경우는 매우 제한적인 텍스트, 자료와 함께 제시되어 있어, 학습자가 지닌 배경지식이나 역사적 상상력 등을 활용해야하거나 교사의 도움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사고 과정을 통해 깊은 이해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유형의 발문에 집중하기 보다는 유형 1에서 유형 4 단계가 순차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지식과 정보의 기억과 재현부터 전략적 사고와 추론을 거쳐 확장된 사고의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발문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현행 교과서가 학생 활동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대부분 학생 활동이 본문 설명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학습 내용을 기억하거나 요약하는 수준의 활동이라는 점은 보완해야 할 문제로 보인다. 다양한 사고의 과정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 이를 안내하는 발문의 다양화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발문 유형 3, 4의 구체적 예시를 구상하여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했어야 하나 그러지 못했음은 본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추후 과제로 남겨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meaning of the questions suggested in the textbook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questions suggested in a history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In the first place, for analysis of the questions, this study introduced DOK (Depth of Knowledge), the question strategy for deep understanding by Dr. Norman Webb, who proposed a new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s. Through this, this study class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questions suggested in a history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four-level types of the questions proposed by Webb. Consequentl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the questions suggested in current history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mainly consist of Type 1, focusing on mere recall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r learning of reproducing level. As for questions of Type 2, 3 and 4, they were proposed along with extremely limited text and data. To pursue deep understandings based on a range of thinking processes, it is crucial that sequential levels of the questions from Type 1 to Type 4 should be presented instead of focusing on only one type of question. It is required to have question strategies to advance from the stage of recall and reproduc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the stage of extended thinking through strategic thinking and reas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