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서양플라워디자인에 미친 동양 꽃꽂이의 영향

        김정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09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0 No.-

        현대플라워디자인의 경향을 살펴보면 클래식 디자인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변화를 찿 아볼 수 있다. 동양꽃꽂이와 비교하여 그 윤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소재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서양에서는 화려하고 형태가 잡힌 꽃과 잎이 주 였고 동양에서는 나뭇가지가 형태를 구성하는 중요한 재료가 되었다. 두 번째는 외곽선의 변화이다 서양에서는 닫힌 외곽선의 형태가 주였고 동양에서는 길이가 다른3개의 주지로 비대칭의 열린 외곽선이 주였다 동양디자인의 특징인 공간성의 확보를 위해서였다 세 번째는 대칭과 비대칭의 변화이다. 과거에는 서양의 전통적 디자인에서 장식적인 형태가 많아 대칭의 형태가 주였고 현대 디자인에서는 대칭속의 비대칭으로 구성돼며 비대칭구도만으로도 만든 작품이 많다. 즉 현대디자인에서는 자연의 모티브를 둔 비대칭형태가 많다. 동양디 자인에서는 선과 공간성을 작품에 주안점으로하는 비대칭의 형태이다. 네 번째는 소재공간성의 변화이다. 서양의 전통디자인에서는 소재의 가치표현 보다는 형태의 공간을 채우는 용도로 주로 장식적인 표현이 되었고 현대에 오면서 소재가치표현에 중점을 둔 디자인이 많이 나오고 있다. 동양디자인에서는 소재나 꽃이 가지고 있는 선을 표현하기위해 공간이 필요함으로 디자인이 자유롭게 표현되었다. 위와 같은 근거로 보면 현대적인 서양디자인을 보면 동양디자인의 전통성과 매우 유사한 점이 많다.

      • KCI등재

        비즈니스 한국어 실무 통번역 교수 방안-팀 번역 활동을 통한 수출입 물품 매매 계약 문서를중심으로-

        김정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어 교육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ing method for translation through team translation activities for international import/export goods sales contracts in the field of Korean business translation practical training. In Chapter 2, the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translator competency, business job analysis based on NCS, and the contents of documents presented in business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reviewed, and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international import/export contract documents were mentioned in the translation textbooks. In Chapter 3, we introduced the translation teaching procedure for banana import and export contract business by applying it to the IDRC model, a model devised as a platform for translation education, focusing on the learning environment element of social constructivism. The steps were suggested as setting the class context, raising a problem for writing the starting text, the Korean negotiation process, writing a Korean sales contract, and translating the international sales contract into English.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hat learners approached it through the translation process while generating the starting text and translating the arriving text.

      • KCI등재
      • KCI등재

        갈증과 긴장 : Y. Bonnefoy 의 시적 탐색

        김정란 한국불어불문학회 1988 불어불문학연구 Vol.23 No.1

        Comme nous le dit M. Raymond, la caracte´ristique de la poe´sie moderne franc¿aise se trouve dans sa que^te me´taphysique et spirituelle. Y. Bonnefoy est l'un des poe`tes qui sont les plus fide`les a` ce courant. En apparence, la tentative me´taphysique semble e^tre l'e´le´ment le moins compatible avec ce poe`te puisqu'il a commence´ sa carrie`re par le refus philosophique plus ou moins bruyant de la philosophie me´taphysique surtout celle de Platon comme l'indique le titre de son premier recueil "Anti-Platon". Mais en fait, et un peu malgre´ lui, il demeure un poe`te rarement philosophique au sens le plus profond. Cependant, il faut ajouter que ce refus n'en est pas moins valide, car son refus consiste a` ce qu'il se me´fie de l'usage du langage philosophique. Selon lui, le concept philosophique cache la ve´rite´ en ravissant l'e´paisseur concre`te au re´el. Il aborde les proble`mes de la vie non a` travers le concept philosophique mais la langue poe´tique, qui, d'apre`s lui, est le seul langage qui ne soustrait pas la premie`re e´motion de la vie. Ainsi, sa que^te poe´tique ne peut jamais venir doubler celle de l'ontologie. Nous lisons partout la soif jamais alte´re´e de l'Etre chez ce poe`te. Et en ce qui concerne le symbolisme et les the`mes ainsi que la structure imaginaire de ce poe`te, nous trouvons une analogie parfaite avec le symbolisme du rite initiatique dont l'enjeu est fort proche de celui de la que^te de Bonnefoy: la conque^te de l'e^tre pur passant par la mort. En "re´inventant" le de´sir archai¨que de la socie´te´ traditionnelle, le poe`te contemporain te´moigne visce´ralement une fois de plus de l'aspiration au sacre´ de l'humanite´ qui est de´ja` accompagne´e du pre´ssentiment tragique de l'e´chec. Mais l'e´chec est notre lot; le poe`te est la` pour retrouver la clef perdue. L'e´criture continuera de´sormais ad vitam oeternam entre l'ici morne, qu'est l'e^tre limite´ et l'au-dela` brillant qu'est l'Etre illimite´ ou le plus qu'e^tre bachelardien. Mais comme le poe`te nous montre dans son avant-dernier recueil, la porte reste "scelle´e" et nous nous trouvons devant le "seuil" tout au plus. Ce qui nous restera finalement, cela ne serait qu'une soif et qu'une tension de notre esprit "de´sirant", mais nous devenons, c'est-a`-dire, nous allons quelque part ou nulle part. Qu'importe. Car le poe`te nous re´pond: "Je sais que nous avons grandi". Et ce grandissement, "le fruit de larme", est notre "orgueil" et notre "couronne".

      • KCI등재

        국어과 내러티브 교수 학습 적용 방안-구성주의 학습 환경을 중심으로-

        김정란,이상구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1 No.-

        Create a knowledge related learners fin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e life and experience and i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must be configured. Narratives in the context of focusing on the process configuration experience and cognitive constructivism and learner. Should provide an effective environment to narrative thinking and facilitate the process of creating meaning that can be configured as active. Languages, the narrative approach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ver thinking skills layer using layer based on the above, based on experience to create memories element approach, implemented it,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activity process-centric approach, the results associated with the narrative skills approachwere divided into CLEs six learning environment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roblem space, in order to apply the narrative related cases, information resources, cognitive tools, dialogue and collaboration tools, social contextual resources in a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by applying saw. 학습자는 교육의 주체로써 자신의 삶과 경험에서 교육적 의의를 찾아야 하고 이와 관련된 지식을 생성하고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내러티브는 구성주의와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인지적 구성적 과정을 중시하기 때문에 맥락을 같이한다. 내러티브적 사고와 생성과정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교수 학습과정에서 내러티브 접근을 국어적 사고력 층위와 사용 층위에 근거하여 경험 생성을 위해 기억에 근거한 요소적 접근, 그것을 구현하는 표현 이해활동 과정 접근, 내러티브 능력 향상과 관련된 결과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구분하였다. 구성주의 학습 환경에서 내러티브 적용을 위해서 CLEs의 6가지 학습 환경 필수 요소인 문제의 공간, 관련된 사례들, 정보 자원, 인지 도구, 대화와 협력 도구, 사회적ㆍ맥락적 자원을 중심으로 적용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