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남방언 구획 문제를 다시 생각한다

        김정대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1 No.-

        This paper has three purposes as following:First, this is a critical reflection on J. D. Kim(2000) in which the author tried to demarcate Gyeongnam Dialect area. Second, the author is interested in the result from which new data are added to the existing methodology suggested in M. O. Choi(1994/1998). Third, the author wants to suggest what should be needed for the desirable demarcation of Gyeongnam dialect in the future. Among those three points the second is the most important one. More concrete discussions are as following:First, at the time when J. D. Kim(2000) was submitted, it lacked the optimal methodology and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related data, although the author ambitiously tried to approach the subject. Second, the author has an idea of the right demarcation of Gyeongnam dialect on a tentative mode: Gyeongnam dialect is primarily divided into east and west on a large scale, whose boundary is roughly related to the main stream of a river Nakdonggang. This fundamentally coincides with that suggested in M. O. Choi(1994/1998), and yet it has a difference in that the two authors differently divide Changwon regional dialect. The present author thinks of Changwon regional dialect as a transitional one with a strong trend towards eastern Gyeongnam. The western Gyeongnam dialect is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whose boundary is related Nangnamjeongmaek(洛南正脈, a series of mountains running towards southern orientation). This is different from that suggested in Choi(1994/1998) which divided mid-western Gyeongnam dialect into east and west again. Third, what we must solve is to develop a more rigid methodology at first, and to collect data with an emphasis on the collection in mind. 이 글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이다. 첫째, 필자는 김정대(2000)를 통해서 경남방언 구획을 시도한 바 있었지만, 그것에 대한 미비한 점을 반성한다. 둘째, 최명옥(1994/1998)적인 방법론을 수용하되 새로운 자료를 보탤 때, 그 결과가 어떻게 되는가를 검토해 본다. 셋째, 앞으로 보다 더 바람직한 경남방언 구획을 위해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를 정리한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목적은 앞의 둘째이다. 첫째, 김정대(2000)에 대한 반성이다. 당시 필자는 의욕적으로 경남방언 구획 문제에 접근하려 했지만, 연구 방법론뿐만 아니라 자료 활용 차원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 둘째, 필자가 생각하는 경남방언의 구획은 다음과 같다. 경남방언은 일차적으로 동서로 크게 나누어지니, 그 경계는 대체로 말해 낙동강 본류와 관련이 있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최명옥(1994/1998)의 그것과 일치하는 것이지만, 창원지역어를 나누는 태도가 서로 다르다는 차이점이 있다. 필자는 창원지역어를 전이 지대(transition zone) 언어로 보지만, 경남동부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경남서부방언은 다시 남북으로 나누어지니, 그 경계는 낙남정맥(洛南正脈)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경남중서부방언을 다시 동서로 나눈 최명옥(1994/1998)의 그것과 다른 것이다. 셋째,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먼저 좀 더 엄격한 연구 방법론을 개발하는 일이고, 다음으로 자료 수집의 중요성을 새삼 인식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일이다.

      • KCI등재
      • 환경친화형 양어사료의 개발

        김정대 한국단미사료협회 2005 피드저널 Vol.3 No.8

        깨끗한 물에 의존하는 수산동물산업에 있어 오염율이 낮은 환경친화형 사료의 사용은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에 거의 강제적일만큼 필수적인 것이다. 양식 선진국의 양어사료 생산업체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저오염 사료개발에 착수하여 우수한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15여년 전에 비해 연어나 송어사료의 사료효율은 두배 이상 개선되었다. 아울러, 사료배합 기술의 개선에 힘입어 양식 송어의 분과 뇨를 통한 인 배설량은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과거의 사료보다 오늘날의 사료가 더욱 환경친화적인 것을 부인할 수 없으며, 여전히 오염도를 낮추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산청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에 대하여

        김정대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7

        Sancheong sub-regional dialect is one of several sub-regional dialects which belong to Gyeongnam regional dialect. The present author has intended to discuss three main topics as follows: First, we want to present a full list of the native-Korean kinship terms used in Sancheong sub-regional dialect. The result is classified in <table 1>~<table 4>. Second, we try to make an approach the dialect in ques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d formation, and investigating what is the generative principle. We assume the six principles as shown in (19) are the main generative ones of the native-Korean kinship terms used in that dialect. Third, we research the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 of that dialect, and analyz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hrasal native-Korean kinship terms. With reference to this topic, the author has found ou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m as follows: If a COMPL(complement) is pre-attached to a base X, then the synthesis is COMPL X', and if a ADJ(adjunct) is pre-attached to the COMPL X', then the synthesis is also X', but the character of this construction is a ADJ X' not COMPL X'. The ADJ X' occurs several times, but we think there are no X" node in the construction, because there are no elements which role like subject in the phrasal constructions. 산청 지역어는 경남 방언의 한 지역어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된 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산청 지역어에서 발견되는 고유어계 친족 명칭을 정리하고자 하는데, 그 결과는 <표-1>~<표-4>로 분류되어 있다. 둘째, 이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을 단어의 생성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그 생성 원리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우리는 (16)에 보인 바와 같은 여섯 가지 원리가 이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의 생성 원리라고 가정했다. 셋째, 이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의 계열 관계와 통합 관계를 고찰하고, 그 구적 명칭의 내적 구조를 분석한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적 구조를 발견했다고 믿는다: 만약, 보충어가 어기 X에 선접하면, 그 통합체는 보충어 X'가 되고, 만약 부가어가 이 보충어 X'에 선접하면, 그 통합체는 역시 X'가 되지만 이 구성의 성격은 부가어 X'이지 보충어 X'가 아니다. 부가어 X'는 여러 번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X" 교점은 이 구성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것은 이 구적인 구성에서 주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Recombinant TAT-CD137 Ligand Cytoplasmic Domain Fusion Protein Induces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α in Peritoneal Macrophages

        김정대,권병석,이은아,Nguyen N. Quang,조홍래 대한면역학회 2011 Immune Network Vol.11 No.4

        Background: The ligand for CD137 (CD137L; also called 4-1BBL) is mainly expressed on activated APCs such as dendritic cells, B cells and macrophages. Even though CD137L functions as a trigger of the CD137 signaling pathway for T cell activation and expansion, engagement of CD137L can deliver a signal leading to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acrophages. Methods: We generated cell-permeable TAT-CD137L cytoplasmic domain fusion protein (TAT-CD137Lct) and examined its ability to initiate the CD137L reverse signaling pathway. Results: Treatment of TAT-CD137Lct induced the production of high levels of IL-6 and TNF-α mRNAs and proteins in peritoneal macrophages. TAT-CD137Lct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Erk, p38 MAPK and Jnk, and activated transcription factors C/EBP and CREB. However, TAT-CD137Lct did not visibly affect the degradation of the inhibitor of NF-kB (IkBα). We further demonstrated that JNK activation was required for TAT-CD137Lct-induced production of TNF-α, while activation of Erk and p38 MAPK were involved in IL-6 and TNF-α productio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AT- CD137Lct is an effective activator for the CD137L reverse signaling path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