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기지국 협력통신 기반의 차세대 이동통신에서의 backhaul load 감소에 의한 다중검출 성능비교

        배원건(Bae Won geon),이경수(Lee Kyoung soo),김정곤(Kim Jeong gon) 한국통신학회 2010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끼리 사용자의 정보를 공유하여 셀 경계지역에서의 throughput과 소비자의 QoS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지국협력통신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성능개선이 발생하게 되지만 MIMO 관련 채널정보 및 이를 추정하기 위한 feedback 정보들이 많아지면서 기지국간의 backhaul load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 협력 통신의 기본적인 ZF (Zero Forcing), 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SIC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방식에서의 채널정보량은 감소시키면서 성능열화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분석한다. 제안방식은 IEEE 802.16m 기반의 컴퓨터 모의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내었고 이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계통별 유색보리의 항산화효과

        송은승(Eun Seung Song),박수진(Soo Jin Park),우나리아(Na-Ri-A Woo),원미희(Mi Hee Won),최재성(Jae Seong Choi),김정곤(Jeong Geon Kim),강명화(Myung Hwa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0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강화된 유색보리 계통을 선발하고 유색보리 계통 육성 및 활용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유색보리 40계통과 대조군인 춘추쌀보리, 겉보리를 0.1% TFA를 용매로 사용하여 3회 반복 추출 후 감압 농축 후 anthocyanin 함량, 색도 및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유색보리의 anthocyanin 색소함량과 색도를 측정한 결과 계통별로 큰 차이를 보였고, 색의 짙음과 옅음으로 그룹 Ⅰ, 그룹 Ⅱ, 그룹 Ⅲ을 나눌 수 있었다. 계통별로 항산화효과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나, 페놀함량이 높았던 유색보리 계통이 전자공여능, SOD-like 활성, lecithin 산화 저해활성능, hydrogen radical 소거능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여러 가지 항산화실험에서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던 No. 26, 27, 34, 35, 38이 anthocyanin을 함량이 높은 그룹 Ⅰ에 포함되어 있어 anthocyanin을 함량과 항산화효과는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른 유색 함유 작물처럼 색깔이 진한 유색보리 품종이 개발되어 다양한 생리활성이 입증된다면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valuate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40 varieties of colored barley and hulled barley. For investig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as well as the contents of anthocyanin, color intensity, total phenolic acids contents, SOD-like activity, samples were extracted in ethanol with 0.1% TFA. The content of anthocyanin was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 was analyzed by using th Folin-Ciocalteu method, and the color intensity was determined by using the color difference meter.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anthocyanin content and color intensity of colored barle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varieties. The resulting concentration leve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Ⅰ (high), Group Ⅱ (medium), and Group Ⅲ (low). In the measurements of antioxidant capacit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among varieties in those groups. Colored barley was higher in electron-donating capability, SOD-like activity, inhibitory effects on lecithin oxidation, and hydrogen radical-scavenging ability. Meanwhile, from different antioxidant tests, No. 26, 27, 34, and 35 varieties measured high in antioxidation ability fell into Group Ⅰ high in the anthocyanin content.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anthocyanin content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 antioxidan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