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 시스템 및 이론 : 대공화기 탄자비행시간 계산 기법

        김재훈 ( Jaehun Kim ),김의환 ( Euiwhan Kim ),유석진 ( Sukjin Yu ),김성호 ( Sungho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4 No.11

        대공화기사격통제장치에서 유효사거리는 정지한 표적에 대해 충분한 파괴력을 가질 수 있도록 탄속이 음속 이상을 유지하는 거리로 정의되고 있다. 접근하는 표적은 탄과 표적 간 상대속도가 증가하므로 실질적인 교전 사거리는 위의 유효사거리보다 더욱 연장된다. 그러나 기존에 제시된 TOF 계산식은 유효사거리 내에서만 정확하고 유효사거리를 벗어나면 정확하지 못하다. 본 논문은 교전사거리를 보장할 수있도록 유효사거리 내에서와 유효사거리 밖에서도 충분한 정확도를 가진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탄자비행시간 계산 기법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30미리 대공 탄에 대한 본 논문의 유용성을 보인다. In AAGFCS the effective range is regarded as a range for the bullet``s speed exceeding the speed of sound to damage the stationary target. Hence the real engagement range might be extended over the effective range for the approaching target since bullet``s relative speed to the target increases depending on the approaching speed. However previous TOF equations have good computation accuracy within the effective range only, and they can not be used above that range due to their bad accuracy. We propose an accurate TOF computation method which can be used both within and above the effective range in real time. Some simulation results are shown to demonstrate usefulness of our algorithm for the 30mm projectile.

      • KCI등재

        2000년대 지역 간 성장격차

        김재훈(KIM Jaehun) 지역사회학회 2017 지역사회학 Vol.18 No.1

        저성장 위기론이 확산되면서 지역문제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이 논문은 2000년대 지역 간 성장격차의 추세와 패턴을 분석하고 불평등의 구조적 차원을 밝히는 것이다. 2000년대 인구 측면에서 지역성장의 특징은 광역수도권, 특히 경기지역으로 인구가 집중되면서 고성장, 중간성장, 저성장집단의 세 가지 패턴으로 분화되었다. 고성장집단과 저성장집단 간의 성장격차가 일관되게 확대되면서 저성장집단에 속한 비수도권 지역에서 지역발전을 위한 인적 자원이 가장 빠르게 고갈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광역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속한 지역들도 성장 집단에 따라 인구성장의 패턴이 분화되었다. 소득 측면에서 지역성장의 특징은 생산 요인과 아울러 분배 요인이 지역 간 성장격차를 초래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성장의 양극화와 역 동조화 추세가 진행되면서 2010년을 변곡점으로 성장격차가 더욱 확대되었다. 지역들은 인구와 소득의 성장경로에 따라 7개의 집단으로 분화되었다. 지역 간 성장격차는 ‘생산과 분배’, ‘성장의 추세와 안정성’의 두 가지 구조에 의해 재생산되어 왔는데, 생산과 분배의 구조에 의해서 지역성장의 추세와 안정성이 결정되어 왔다. 분배는 역외소득의 유출입과 구상과 실행의 공간분업, 지역계층구조를 의미하는 기축 요인으로서 지역 성장격차의 관계적 불평등을 보여준다. 지역 간 성장격차는 단순히 인구와 소득의 불균등한 분포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간의 불평등한 관계에 의해 재생산되어 온 구조적 문제이다. As the era of low growth begins, regional problems are entering a new phas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rends and patterns of regional growth in the 2000s and find out the structural dimensions of regional inequality.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Regional growth in the 2000s can be characterized by population concentr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especially in the Gyeonggi area. The pattern of regional growth was differentiated into three-high growth group, middle growth group, and low growth group. As the growth disparities between high growth and low growth group has consistently expanded, human resources for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depleted most rapidly in some non-metropolitan areas. In particular, this paper argues that distribution factors as well as production ones have had critical impacts as the main factors on regional disparities in growth. The polarization of growth between regional groups, the coupling trend toward reverse direction, and the instability of regional growth have increased in the process of regional growth. The triggering point of widening regional disparities in growth was 2010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regions were divided into 7 cells(equivalent classes) according to the growth path of population and income. The structure of regional disparities in growth has been reproduced by two structures: ‘the trend and stability of regional growth’ an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udies on regional disparities, which have been studied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have tended to interpret regional disparities in growth as problems of distribution in the amount of locational requirements. However, the regional growth disparities are not simply a problem of uneven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income but a structural problem of relational inequality.

      • KCI등재

        DCT 계수 분포를 이용해 추출한 edge 방향성에 기반한 새로운 적응적 보간 기법

        김재훈(Jaehun Kim),김기백(Kibaek Kim),전광길(Gwanggil Jeon),정제창(Jechang Jeo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3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8 No.1

        Nowadays, video technology has been successfully improved creating tremendous results. As video technology improve, multimedia devices and demands from users are diversified. Therefore, a video codec used in these devices should support various displays with different resolutions. The technology to generate a higher resolution image from the associated low-resolution image is called interpolation. Interpolation is generally performed in either the spatial domain or the DCT domain. To use the advantages of both domains, we have proposed the new adaptive interpolation algorithm based on edge direction, which adaptively exploits the advantages of both domain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algorithm performs well in terms of PSNR and reduces the blocking artifacts.

      • KCI우수등재

        지역격차의 공간구조

        김재훈(Jaehun Kim)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2

        지금까지 지역격차는 경제학적 관점에서 다루어져 왔다. 이 논문은 사회학적 관점과 방법으로 지역격차에 접근하고자 시도했다. 경제학은 효율성의 관점에서 지역격차를 지역 간 소득의 불균등한 분포로 정의하지만, 사회학은 관계성의 관점에서 지역계층구조에 근거한 관계적 불평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위치적 접근을 통해 지역들의 계층적 지위와 이것이 지역격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경제위기 이후 지역격차의 공간구조는 서울을 정점으로 하는 단핵형의 계층구조였다. 생산중심지와 저소득지역에서 생산된 소득이 분배소득을 통해 대부분 서울로 유출되지만, 광역대도시에 일부 유입되어 광역대도시권과 인근 지역의 체계적인 소득격차를 낳게 되었다. 지난 15년 동안 공간구조의 변동에서 가장 뚜렷한 양상은 서울과 지방간의 소득격차가 빠르게 확대되어온 점이다. 역외소득 중에서 요소소득의 유출입은 지역격차를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는데, 2010년 이후 그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서울은 모든 지역의 영업잉여가 집중되는 곳으로서 계층구조에서 차지하는 단핵 지위는 더욱 강화되었다. 지역격차의 주요한 측면은 서울과 지방의 격차이고, 지역격차가 확대되어 온 원인은 요소투입량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가치의 순환과정을 통해 재생산되는 지역계층구조 때문이다. 지역격차는 연결망을 구성하는 중심, 반 주변, 주변의 지위에 의해 재생산되는 구조적 불평등이다. 지역격차의 공간구조는 역외소득의 유출입, 생산과 지출의 두 차원에 의해 구성된 행렬구조이며, 가치순환의 연결망에 의해 구조화된 지역계층구조이다.이 논문의 분석결과는 위치적 접근에 근거한 지위분석이 지역격차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모델로서 대안적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일부 주류경제학자들은 지역격차는 지역 간 산업특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지역격차는 지역계층구조에 의해 구조화된 불평등이므로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지역격차의 경로의존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내생적 발전과 다핵 공간구조로의 전략적 전환이 필요하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issue of regional disparities in Korea, which has been studied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by sociological perspective and methodology. Economics defines regional disparities as unequal distributions of income, but sociology may define them as relational inequalities structured by regional hierarchie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hierarchical status of regions and its effects on regional disparities through positional approach. The summary of its result follows below.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regional disparities after the economic crisis was the mono-polar structure with Seoul as a single core. It is noteworthy that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produced in the periphery has been siphoned mostly to Seoul due to regional income outflow, but some of it flowed into metropolitan cities has resulted in systematic income disparities between these cites and the surrounding local areas. The inflow and outflow of factor income between regions, as part of offshore income, has been a critical impact on the polarization of spatial structure of regional disparities(SSRD). In particular, we find the significant fact that this trend has been increased rapidly since 2010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major aspect of SSRD is the disparities between Seoul and the rest. It can be argued that the regional disparities in Korea have been expanded not simply because of the distribution in the amount of locational requirements but because of the regional hierarchy that is reproduced through circulation of value based on spatial division of labor. The regional disparities are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have been reproduced by status networks, which are built up by that of the core, semi-periphery, and periphery. SSRD is a matrix structure composed of two dimensions of ‘inflow and outflow of regional income’ and ‘production and expenditure of value’, and is a hierarchy among the regions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ositional approach based on the relational perspective may be an alternative model for regional disparities. According to some mainstream economists’ argument on regional disparities, it is allegedly suggested that regional disparities in Korea should not be regarded as a social problem since it is a natural phenomenon structured by the locational requirements of production. However, the study result suggests that it should be regard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for the regional disparities are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have been reproduced systematically by regional hierarchy. In order to hold back the path dependency of regional disparities, it is critical to make a strategic transition to endogenous development and a multi-polar spatial structure.

      • KCI등재
      • 매크로블록 단위로 거리값을 선택해주는 제한된 1비트 변환 알고리듬

        김재훈(Jaehun Kim),김일승(Ilseung Kim),응텍솅(Ng Teck Sheng),정제창(Jechang jeo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1 No.11

        동영상을 고효율로 압축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가 움직임 추정 기술이다. 움직임 추정 기술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탐색 방식과 정합오차를 판단하는 기준은 각각 전역 탐색(FS: Full Search)알고리듬과 Sum of Absolute Differences(SAD)이다. 하지만, FS와 SAD를 사용한 움직임 추정기술은 인코더 전체 계산량의 50%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무선 통신 및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많은 계산량이 실시간 전송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이유로, 동영상 압축 기술에서 계산량을 줄이는 방법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 결과로, SAD대신 다른 정합 오차 기준을 사용하여 움직임 추정기술의 계산량을 줄이는 알고리듬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계산량을 줄이면서 하드웨어 구현 시 많은 이점을 가진 1비트 변환 (One-bit Transform, 1BT)알고리듬과 1비트 변환의 성능을 향상시킨 제한된 1비트 변환(Constrained one-bit transform, C-1BT)을 소개하고 C-1BT방법에 있어서 기존 방식의 빠른 인코딩속도를 유지하면서 PSNR을 증가시키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듬에서는 기존 C-1BT에서 고정해서 사용한 파라미터 D값을 대신에 현재블록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참조영역의 블록과 그 주변블록의 움직임벡터 정보를 이용해서 블록의 움직임 정도를 판단하고, 블록단위로 D값을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실험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듬이 기존의 알고리듬과 비교하여 평균 0.11dB PSNR 증가를 보여 준다.

      • DCT 도메인과 공간 도메인의 적응적 이미지 업샘플링

        김재훈(Jaehun Kim),김기백(Kibaek Kim),정제창(Jechang jeo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2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2 No.7

        멀티미디어 장치와 사용자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미지 크기는 장치에서 지원하는 해상도나 사용자의 욕구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이미지 업샘플링 방법은 크게 공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간 도메인에서의 업샘플링 방법은 주파수 도메인의 업샘플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화질 측면에서 좋은 성능을 나타내지만 객관적인 성능이 낮다. 반대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업샘플링 방법은 객관적인 화질이 좋고 주관적인 화질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성능이 낮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도메인과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업샘플링 방법을 블록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업샘플링 방법을 선택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객관적 성능 뿐 아니라 주관적 성능까지도 향상 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알고리듬이 기존의 알고리듬에 비해 PSNR 측면에서 0.87dB~1.15dB 증가하고, 주관적 화질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지상 및 대공화기를 위한 닫힌형태 탄도해

        김재훈(Jaehun Kim),박경진(Kyoungjin Park),이주(Ju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5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9

        There have been many approximate ballistic equations used for direct fire control system. But they are lack of generality and the ballistic equation might be re-developed when the bullet type changes. Also there are some closed form ballistic solutions in the literature deriving from point mass ballistic differential equation. It shows more generality, and it is easy to use and more accurate in non-standard environment than the previous approximate methods. However due to simplified air drag model for closed form solution, it sacrifices some ballistic accuracy. We propose an another closed form ballistic solution for real time processing, which has better accuracy for the ground and air targets through improving the air drag model. Some simulation results are shown to demonstrate efficacy of our algorithm for the 30mm ammu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