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출수 목간의 지역별 문서양식과 선적방식

        김재홍 한국목간학회 2017 목간과 문자 Vol.0 No.19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wooden tags found from wrecks excavated from the sea near the Tae’an region. Names of local areas indicated on those wooden tags are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l nature and formats featured by Goryeo period’s documents. Also, the transportation and shipment process of the time are also examined here. Wooden tags were created in different fashions, according to the Gun & Hyeon(郡縣) regions where they were generated. But in most of the cases, general contents of such tags included the place of origin, place of the recipient, and nature of the item being shipped. For example, the Juksan-hyeon area -as indicated from the wooden tag found from the Mado 1 wreck, displayed a practice somewhat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in terms of the way years and dates(干支) were indicated. We can see that the sender itself created that wooden tag, who revealed in that tag where the shipment departed, who was to receive it, what was the item, who was transporting it, and who shipped it, etc. In the Goryeo period, it was already a norm to use not only wooden Mokgan tags but paper documents as well. In other words, wooden tags and paper documents were complementing each other. The Goryeo wooden tags were created while the items were being transported and loaded, and sometimes contents of shipments -which were initially recorded during transport- were sometimes re-recorded when they were being uploaded on board. By examination of such records, we can also deduce the forms of paper documents. Items collected in local Gun and Hyeon areas were transported and then transferred over to the custody of in-region warehouses, and were then relocated to predesignated “Jochang” warehouses by the Hyang’ri clerks. The Gun/Hyeon warehouses were located at the center of such local units, and then moved to Jochang facilities in the vicinity. The items on board the Mado 2 wreck would have been initially in custody of warehouses in the Baeksan-seong or Gosaburi-seong fortresses, and then moved to the Anheung-chang Jochang warehouse. 이 글은 태안 침몰선 출수 고려 목간을 대상으로 목간의 생산지인 지명을 중심으로 게재된 내용을 분석하여 고려 문서의 지역성과 양식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문서 양식을 통해 운송과 선적에 대해 검토하였다. 고려 침몰선 목간은 郡縣을 달리 하여 제작되었으며, 발송지, 수신지, 물품을 기입하고 있다. 특히, 마도 1호선의 죽산현은 干支 등이 포함된 양식에서 다른 군현과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군현 내에서도 발송인이 각자 작성하여 기록한 목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발송지, 수취인, 물품, 운송인, 선적인을 기록하는 것은 거의 동일하다. 고려 목간의 일반적인 양식을 추출할 수 있으며, 꼬리표 목간에 해당하는 檢과 楬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 목간이 사용되던 시기에는 종이문서가 일반화되어 있던 紙木竝用期였으므로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고려 목간에는 운송과 선적 과정에서 작성된 것이므로 운송시 작성한 목간의 내용이 선적시에 다시 기입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운송 대장에 해당하는 종이문서를 추출할 수 있었다. 군현에서 수취한 물품은 군현의 창고에 수납되었다가 향리들이 조창으로 운반하였다. 군현의 창고는 군현의 중심지에 소재하였으며, 관할 조창으로 운반하여 선적하였다. 마도 2호선에서는 백산성과 고사부리성의 창고에서 보관하였다가 조창인 안흥창으로 운반하였을 것이다.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과 출토 목간의 연대

        김재홍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2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ongsan Sanseong mountain fortress located in the Haman region and mountain fortresses [山城] from the same Shilla era in other regions could be found in the former’s geographic features in terms of its East Gate [東門] and the East Side Wall [東城壁]. The East Side Wall is composed of the Main Wall [Che-seongbyeok, 體城壁] and the Inner Supplementary Wall [Naebyeok Bochuk, 內壁補築], with another layer [Bu’yeob-cheung, 浮葉層] installed to support the overall structure. Whether or not the Main Wall and the Inner Supplementary Wall (with the Bu’yeob-cheung layer as well) were created simultaneously at the same time or in different time periods has been an issue debated for quite some time. Some of the relics an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latter are from the early 7th century, so the latter wall may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that very time period. But the former, which features a self-sufficient structure, reveals some earthenware that may be from the thi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This leads us to speculate that the Seongsan Sanseong mountain fortress was first constructed i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n went through some renovation (or additional construction) in the early 7th. There are also two types of wooden strips excavated from this fortress, identified so based on descriptions of the times they were created. Due to the fashion of indicating months like ‘◯月中,’ some strips could be presumed to have been created back in the mid-6th century, and the third quarter of that century to be exact. Judging from their contents, the wooden strips of this kind seem to have been official documents, which would have most likely recorded the number and nature of personnel mobilized for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or its management after construction was completed. Meanwhile, there are also other wooden strips whose issue dates are specified with Ganji(干支) years, such as the “Imja year(壬子年, 592)” example. Considering their contents and fashion, these seem like Hachal strips [荷札木簡] which would have been essentially cargo tags for items transported for the fortress’ construction. They seem to have been from the fourth quarter of the 6th century. Local units indicated on these Hachal wooden strips excavated from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are recorded in the order of (Gun, 郡) - Chon[村] - ◯Na[◯那, natural villages named with their directions: east, west, south and north]. Counties[Chon] were the basic unit, with villages inside them indicated with their relative positions. Also recorded on the Myeong’hwal Sanseong Monument (erected in 551) was the concept of “Do[徒]” as a unit of people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Chon counties. Featuring this kind of concept seems as a result of the underdeveloped nature of natural villages with directional names, so the Seongsan Sanseong strips should have been from an era later than 551. As the [Gun/郡]-Chon(村) relationship was vividly described on the Seongsan Sanseong wooden strips, their counterparts are also visible on the Namsan Shinseong Monument, so one may assume that both relics were from relatively close periods, which would be the fourth quarter of the 6th century. 함안 성산산성이 다른 신라 산성과 다른 점은 동문과 동성벽 주위의 고고환경이다. 동성벽은 體城壁과 內壁補築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浮葉層을 조성하였다. 논쟁의 핵심은 체성벽과 내벽 보축(부엽층)을 동시에 축성하였느냐, 아니면 다른 시기에 축성하였느냐이다. 내벽 보축과 부엽층에서 출토된 유물은 7세기 전반의 것도 있는 것으로 보아 내벽 보축과 부엽층은 7세기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체성벽은 그 자체 완결된 성벽 형태이나 내벽 보축 속의 토기로 보아 6세기 3/4분기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성산산성은 6세기 후반에 初築되었으나 이후 7세기 전반에 보축하는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보인다. 목간의 사용 연대도 2시기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연대표기상 ‘◯月中’과 같이 어미로 中을 사용하는 경우로 6세기 중반까지 예가 나타나므로 6세기 3/4분기로 비정할 수 있다. 이것은 그 내용으로 보아 문서목간으로 추정되며, 성산산성을 초축할 때 동원된 인원의 관리나 산성의 운영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하나는 ‘壬子年(592년)’과 같이 구체적인 간지를 기록한 경우로서, 임자년은 592년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그 내용과 형태로 보아 하찰 목간으로 보이며, 성산산성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운반된 화물의 꼬리표로 추정된다. 임자년명 목간을 포함하여 하찰 목간은 6세기 4/4분기의 연대를 상정할 수 있다. 성산산성 출토 하찰 목간에 보이는 지역단위는 (郡)-村-◯那(방위명 자연취락) 등의 순서로 기입되어 있다. 촌을 기본 단위로 자연취락을 방위명으로 표시하고 있다. 551년에 만든 명활산성비에는 촌 단위 아래에 지역명보다는 촌락의 사람을 편제한 단위인 徒가 사용되고 있다. 아직 방위명 자연취락 단위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로 추정되므로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는 551년보다 뒷시기의 것으로 보인다. 성산산성 목간에서 (군)-촌 단위가 잘 보이는 것과 같이 남산신성비에도 郡-村의 단위성이 보이므로 근접한 시기의 지역단위를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내용상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나 6세기 4/4분기의 촌락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SCOPUSKCI등재

        Acquired Tufted Angioma : A Case of Acquired Tufted Angioma

        김재홍,이창우,박문향,남채식 대한피부과학회 1988 大韓皮膚科學會誌 Vol.26 No.6

        Acquired tufted angioma is a benign, slowly progressive angioma with a characteristic histologic pattern, that was first described by Wilson Jones in 1979. We present herein a case of this rare disease developed in a 43 year old healthy woman. Routine biopsy specimens and an immunoenzymatic staining of factor 7IE showed compatible findings with those cases reported previously. The lesions were surgically excised, and during the two months of follow up, there was no sign of recurrence.

      • KCI등재

        스포츠 중계 방송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한 축구동영상 하이라이트 생성 알고리즘

        김재홍,낭종호,하명환,정병희,김경수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8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ic highlight building algorithm for soccer video by us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roadcasted sports video that an interesting (or important) event (such as goal or foul) in sports video has a continuous replay shot surrounded by gradual shot change effect like wipe. This shot editing rule is used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broadcated soccer video and extracts shot involving the important events to build a highlight. It first uses the spatial-temporal image of video[8] to detect wipe transition effects and zoom out/in shot changes. They are used to detect the replay shot. However, using spatial-temporal image alone to detect the wipe transition effect requires too much computational resources and need to change algorithm if the wipe pattern is changed. For solving these problems, a two-pass detection algorithm and a pixel sub-sampling technique are proposed in this paper. Furthermore, to detect the zoom out/in shot change and replay shots more precisely, the green-area-ratio and the motion energy are also computed in the proposed scheme. Finally, highlight shots composed of event and player shot are extracted by using these pre-detected replay shot and zoom out/in shot change point. Proposed algorithm will be useful for web services or broadcasting services requiring abstracted soccer video. 본 논문에서는 축구 동영상에서 스포츠 중계방송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하이라이트(Highlight)를 추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증명한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중계 방송에서는 중요한 이벤트(골, 반칙)가 발생하면, 그 장면을 다시 느린속도의 리플레이(Replay) 화면으로 보여주고, 리플레이가 시작되고 끝날 때 Wipe와 같은 점진적인 화면 전환 기법을 사용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포츠 중계방송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축구 동영상의 중요한 이벤트만을 추출하여 하이라이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의 슬라이스 이미지(Slice Image)[8]를 이용하여 Wipe효과 장면과 줌인/아웃 장면을 검출하고, 검출된 Wipe 효과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리플레이 장면을 검출한다. 이때 이런 기본 알고리즘에 새로이 Sub-Sampling방법과 Two-Pass 방법을 더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Wipe검출을 하였고, 비디오의 모션정보 및 Wipe지점의 시간간격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리플레이 장면을 검출하였으며, 샷의 녹색영역 비율을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줌인/아웃 장면을 검출하였다. 이렇게 최종적으로 검출된 리플레이 장면과 줌인/아웃 장면을 토대로 이벤트 샷(Shot)과 선수 샷으로 구성된 하이라이트 장면을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자동적으로 축구 중계방송을 요약해줌으로써 축구와 관련된 웹서비스나 방송용 하이라이트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