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의 사물-다큐멘트 연구

        김재영 ( Kim¸ Jaeyoung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8

        다큐멘터리 연극이 다루는 내용과 정치적 의제가 변화함에 따라 연극에서 활용되는 다큐멘트의 종류와 성격도 변하게 된다.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이 개인의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이해하려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개인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사물-다큐멘트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물건, 소지품, 자연물 등의 사물은 그 자체로 다큐멘트라고 할 수 없지만, 그것이 특정한 환경과 맥락 안에 배치될 때 다큐멘트로 인식된다. 즉, 사물은 실재하는 사건이나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그 사건 혹은 사람이 현실에서 실제로 존재했음을 지시하는 증거로 다뤄질 때, 다큐멘트가 된다. 연극의 사물-다큐멘트는 사물인 동시에 다큐멘트라는 점에서 독특한 행위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사물로서 그것은 무대 위에 현존하면서 연행자의 특정한 행위를 유도하거나 촉발시키며, 다큐멘트로서 그것은 현실의 사건과 사람을 직접 지시함으로써 무대 안으로 현실 세계를 지속적으로 소환한다. 사물-다큐멘트는 그 사물을 사용하는 사람의 신체에 습관으로서의 흔적을 남기거나, 사회적 규범으로 작동하면서 사람들의 행위에 제약을 가하기도 하며, 연행자의 행위와 결합하여 새로운 연극적 의미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연행자의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사물-다큐멘트의 행위능력을 고려할 때, 동시대 다큐멘터리 연극 고유의 수행적 성격이 보다 면밀히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contents and political agenda of documentary theatre change, the type and the character of the documents used in the theatre also undergo a change.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s tend to apprehend th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rough an individual's daily experiences, so the use of object-docume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one's life becomes remarkable. Objects such as stuffs, belongings, and natural objects are hardly considered as documents by themselves, but once they are arranged in a specific environment and context, they are made into documents. An object becomes a document when it conveys information about an actual event or person and is treated as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event or person in theatre actually existed in reality. The object-document of the theatre has a unique agency because it is both an object and a document. As an object, it presents on the stage and induces or provokes a specific action of the performer, and as a document, by indicating the event and person in reality, it continuously calls that reality into the stage. The object-document leaves traces as a habitus on the person's body, functions as a social norm restricting people's acts, and generates theatrical meanings by combining with performer’s acts. Therefore, considering the object-document's agency to affect other actors, the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 can be understood more specifically.

      • KCI등재

        데리다와 『햄릿』의 유령들: 마지막으로 사는 법을 배우기

        김재영 ( Kim¸ Jaeyou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데리다는 『마르크스의 유령들』의 서문에서 ‘마지막으로 사는 법을 배우고 싶습니다’라고 말한다. 마지막으로 사는 법을 외면한다면, 일반으로 수용되는 모범적인 삶의 방식을 배우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움은 타자의 삶을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다. 게다가 모범적인 삶을 배울수록 기존의 질서는 더욱 공고해지며, 그리하여 더 정의로운 삶의 가능성은 점점 더 닫히고 만다. 그러므로 진정 정의로운 삶을 살고자 한다면 마지막으로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이 문제를 데리다는 『마르크스의 유령들』에서 햄릿과 유령의 관계를 통해 검토하고 있다. 이때 특히 주목의 대상이 되는 구절이 ‘시간이 이음매에서 어긋나 있다’(The time is out of joint)이다. 햄릿은 이음매가 어긋난 시간 속에서 마지막으로 사는 법을 배우고 정의를 실천한다. 이러한 햄릿의 배움과 실천은 유령과 자가면역을 통해 이루어진다. 햄릿의 자가면역은 끊임없이 유령들을 환대함으로써 마지막으로 사는 법을 반복해서 배우도록 만든다. 이 논문의 목적은 데리다의 『햄릿』에 대한 해석을 기초로 마지막으로 사는 법을 배우는 것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배움에 관한 새로운 관점과 더불어, 배움에 있어 유령과 스승의 역할이 무엇인지 제시할 수 있다. In the exordium of Specters of Marx, Derrida says, “I would like to learn to live finally.” If you ignore the way to live finally, you will learn an exemplary way of life that is generally accepted. However, this learning is nothing more than repeating the other’s life. In addition, if we increasingly learn to live an exemplary life, the existing order becomes more solid, thus the possibility of a more just life becomes increasingly unattainable. Therefore, if you wish to live a truly just life, you must learn to live finally. This issue is examined in the Specters of Marx by Derrida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amlet and the specter. At this time, the particularly significant phrase is “The time is out of joint.” Hamlet learns to live finally and practices justice in a time that is out of joint. This learning and practice on the part of Hamlet is accomplished through specters and autoimmune. Hamlet’s autoimmune leads him to learn to live finally by continuously treating the specters with hospita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aning of learning to live finally based on Derrida’s interpretation of Hamlet. Through this, we can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s well as the role of specters and teachers in learning.

      • KCI등재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변단면 분석을 통한 최적 기둥-말뚝 직경비 제안

        김재영,정상섬,안상용,Kim, Jaeyoung,Jeong, Sangseom,Ahn, Sangyong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5

        In this stud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bent pile structures with varying cross-sec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measured results of field load test. A framework for determining the bending stress is calculated based on the stresses in the circumference of the pile using 3D finite element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bending stress near the pile-column joint changes rapidly and fracture zones occurs easily at variable cross-sections in bent pile structures. Also, the optimized column-pile diameter ratio was analyz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umn-pile diameter ratio and lateral crack load ratio. Based on this study, the optimized column-pile diameter ratio can be obtained near the inflection point of the curve between the column-pile diameter ratio and lateral crack load ratio. Therefore, a present study by considering the optimized variable cross-section condition would be improved bent pile structures design. 본 연구에서는 변단면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거동 특성을 평가하고자 현장재하시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말뚝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통해 심도별 휨응력을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변단면 부근에서 휨응력이 집중되어 재료파괴가 발생하기 가장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단일 현장타설말뚝의 기둥-말뚝 직경비와 수평 균열하중비 관계를 통해 최적의 기둥-말뚝 직경비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최적의 기둥-말뚝 직경비는 기둥-말뚝 직경비와 수평 균열하중비 관계 곡선의 변곡점 부근에서 산정되었으며, 단일 현장타설말뚝 설계에 최적 변단면 특성을 고려한다면 개선된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후보

        형광영상을 이용한 옥수수 반수체 종자 선발 효율성 향상

        김영욱(Younguk Kim),한정헌(Jeong Heon Han),김재영(Jaeyoung Kim),김영태(Yeongtae Kim),김년희(Nyunhee Kim),이채원(Chaewon Lee),이서연(Seoyeoun Lee),김송림(Song Lim Kim),김문종(Moon Jong Kim),류시환(Si Hwan Ryu),이홍로(Hongro Lee),지현소(H 한국육종학회 2022 한국육종학회지 Vol.54 No.4

        Many studies concerning breeding maize varieties are in progres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Double haploid technology is wide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maize varieties worldwide, and has also been utilized in Korea since its introduction by the Maize Research Institute, Gangwondo. We performed a stud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lecting haploid maize seeds using fluorescence imaging. It was verified that anthocyanin produced by the expression of R1-nj gene can be detected by fluorescence imaging, and we developed a high-throughput method for discriminating between haploid and diploid seeds. Compared with discriminating with naked eye, this method reduced the time for discriminating haploid and diploid maize by 91.7% and increased selection accuracy by 16.8% for haploid and 2.2% for diploid maize. This method enabled the acquisition of more haploid seeds and improved the efficiency of breeding research by shortening the time involved.

      • KCI등재

        1970~80년대 한국 극사실 회화의 ‘익명성’ 연구: 극사실 회화 단체 ‘사실과 현실’을 중심으로

        金在榮(Kim Jaeyoung) 미술사연구회 2021 미술사연구 Vol.- No.41

        지금까지 한국 극사실 회화에 대한 연구가 적잖이 축적되었지만, 가장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요소인 한국 극사실 1세대 작가들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최초의 극사실 회화 단체 ‘사실과 현실’의 결성 배경부터 활동 양상, 주요 회원의 작품 특징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여 ‘익명성’이라는 새로운 특징적 요소를 밝혀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사실과 현실’ 회원들이 당시 생산한 1차 자료를 수집하고 작가 인터뷰를 직접 진행하면서, 그간 논의되지 않았던 한국 극사실 회화의 특징을 재고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렇기에 ‘사실과 현실’의 회원 중 현재까지 극사실적 경향의 작품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작가 4인(김강용, 서정찬, 주태석, 지석철)의 주요 작품을 예로 들어 극사실 회화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이들의 작품 외견에서 확인되는 극사실적 기법, 부분 확대 구도, 중성적인 색채 등과 같은 형식적인 특징을 비롯하여 일상 현실에서 소외되어왔던 사물과 장면에 대한 思惟의 배경을 ‘익명성’이라는 하나의 큰 틀 안에서 이해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한국 극사실 회화가 추구한 본질적인 요소이자 독자적 특징을 양식 자체에 두기보다 익명적인 작가들의 의식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접근은 극사실 회화를 표현양식의 문제로만 접근해온 기존의 연구를 넘어선 것으로, 한국 극사실 회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Up to this day, quite a few studies on Korean hyperrealist painting have been published. However, no research has looked specifically at what is arguably the most essential and vital element of the wider movement, the first-generation of hyperrealist artists in Korea. In this regard, this study primarily examines the formation and activities of the collective Fact and Reality (Sasilkwa Hyonsil), Korea’s first hyperrealist painting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s of its members, and identifies a new distinctive defining element, that of “anonymity.” To this end, the author collected and reviewed primary source material attributable to the members of the Fact and Reality and interviewed the artists with the main goal of re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yperrealist painting that haven’t been discusse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groups characteristics of form and content closely by analysing the major works by the four artists(Kim Kangyong, Seo Jeoungchan, Ju Taeseok and Ji Seokcheol) who created hyperrealist paintings within the Fact and Reality group. In this study, the formal characteristics which their works show on the surface – hyperrealist techniques, partially enlarged composition, and neutral color schemes - and the background context of the ideas about the objects and scenes within the images that have been removed from mundane reality are understood within a larger frame of “anonymity.” This orientation allows this study to uncover the fundamental elements and unique characteristics that Korean hyperrealist artists have pursu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anonymous artists’ consciousness instead on the basis of the style itself. This approach goes beyond that of other approaches adopted by existing studies that have regarded hyperrealist painting only as a matter of the form of expression, and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nnovatively interpret Korean hyperrealist painting.

      • KCI등재

        다중시점을 통해 본 내러티브와 시각화

        김재영(JaeYoung Kim)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8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5 No.-

        본 연구는 구스 반 산트 감독이 2003년도에 연출한 〈엘리펀트 Elephant〉를 ‘다중시점’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자한다. 조엘 마니는 영화에서 시점은 “카메라의 시선이며, 감독의 시선이며, 어떤 문제나 현실세계에 대한 감독의 관점”이라고 했다. 〈엘리펀트〉를 선택한 이유는 이러한 시점의 문제를, 감독이 지닌 현실세계의 인식의 구현인 내러티브와 카메라의 시선인 시각화 문제로까지 확장해서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었다. 영화 〈엘리펀트〉는 1999년 콜럼바인 고등학교에서 일어난 총기난사사건을 다루고 있다. 소외된 소수자들에게 관심을 가져온 감독은 〈엘리펀트〉에서 이 문제가 발생한 원인 규명보다는 총기난사 사건 발생 당시 같은 장소에 있었던 피해자들과 목격자들, 그리고 가해자들을 평등한 시선으로 지켜볼 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스 반 산트 감독이 〈엘리펀트〉에서 이러한 인식과 관점의 구현으로서 다중시점을 어떻게 재현해내고 있는 지를, 2장에서는 ‘내러티브로 본 다중시점’을, 3장에서는 ‘스타일로 본 다중시점’을 통해 살펴보려고 한다. 2장에서, 전형적인 내러티브 방식이 아닌 비전형적인 다중시점 내러티브 방식을 통해 감독은 효과적으로 관객들의 동화를 이끌어내는 방식보다는 감독 자신의 문제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비전형적인 멀티 인물설정, 정교하게 계산된 에피소드식 구성 방식, 그리고 선형적인 내러티브적 시간구성이 아닌 중첩된 시간구성 방식 등을 선택하여 재현하고 있다. 3장에서는 앞선 다중시점 내러티브가 감독의 문제의식을 어떻게 보여주고 있느냐와 관련시켰다면, 여기서는 스타일적 측면에서 화면구성으로서 촬영과 시간구성으로 편집을 중심으로 다중시점 시각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시각화는 “카메라가 보여주는(하지만 관객이 보고 있는) 것과 등장인물이 보고 있다고 여겨지는 것 사이의 관계”이다. 즉, 구성된 공간과 시간 속에서 재현된 인물들 간의 관계에 대한 영화적 시점과 카메라의 시선에 관한 것이다. 〈엘리펀트〉에서 카메라의 시선으로 구현된 시각화는 개별 객체들의 시선으로 분화되어 객관화 되었다가 다시 주체로 통합되는 과정을 스타일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엘리펀트〉를 연출한 구스 반 산트 감독이 이 영화를 통해 현실세계에 대한 문제인식 방식과 영상적 시각화 재현 방식을 살펴보았다. 〈엘리펀트〉에서의 다중시점 내러티브와 다중시점 시각화는 영상매체로서 영화가 현실세계에 대한 단순한 재현이 아닌 복합적 인식과 지각의 기능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Elephant directed by Gus Van Sant in 2003. Joel Manney said that the point of view in the movie was “the camera’s gaze, the gaze of the director, and the viewpoint of the director on any problem or real world.” The movie Elephant deals with the shooting rampage at Columbine High School in 1999. In this paper, we present how the director Gus Van Sant reflects in the film Elephant through multi-view, as a multi-view narrative in chapter 2 and multi-view visualization. In Chapter 2, supervisors use non-traditional multi-view narrative methods, which are not typical narrative methods,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ir own awareness of problems, rather than deriving the audience’s assimilation effectively. In Chapter 3, we discuss the multi-view visualization with emphasis on editing in terms of shooting and time composition as a screen composition in terms of style from the viewpoint of how the preceding multi-view narrative relates to how the supervisor’s problem consciousness is shown. Visualizat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hat the camera shows (but what the viewer is seeing) and what the character is supposed to see”. That is, it relates to the cinematic viewpoint and the camera’s gaz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ed space and the characters reproduced in time. In the Elephant, the visualization realized by the camera’s gaze is differentiated into the eyes of the individual objects, then objectified, and then the process of integrating into the subject is shown through the style. Director Gus Van Sant, who directed the Elephant, looked at how he perceived the problem in the real world and reproduced it with visual visualization. Multi-view narrative and multi-view visualization in Elephant is a good text that shows that film can be utilized as a function of complex perception and perception, not simply representation of the real world.

      • KCI등재

        시간열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관련 유의한 패스웨이 유전자 집합의 검출

        김재영(Jaeyoung Kim),신미영(Miyoung Shin)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7 No.5

        최근 특정 질병의 진단이나 예후 예측을 위해 마이크로어레이 실험 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관련 바이오마커 검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정상인에 비해 질병 환자군에서 특이하게 발현되는 개별 유전자를 바이오 마커로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동일한 생물학적 패스웨이에 관여하는 유전자 집합의 변화를 분석하여 특이하게 발현되는 패스웨이 유전자 집합을 바이오 마커로 사용하는 유전자 집합 분석(Gene-set analysis)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실험 조건 요인을 가지는 시간열 마이크로어레이 실험 데이터를 이용한 유의한 패스웨이 유전자 집합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시간열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을 이용하여 유전자 집합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유전자 발현값의 변화에 따라 개별 유전자의 유의성을 나타내는 스코어를 maSigPro (microarray Significant Profiles)를 이용하여 계산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전체 유전자의 순위를 결정하여 후보 유전자 집합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윌콕슨 순위합 검증을 통해 수행한다. 후보 유전자 집합의 생성을 위해서는 MSigDB (Molecular Signatures Database)의 패스웨이 정보를 이용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검증을 위해 공개된 전립선 암 관련 시간열 마이크로어레이 실험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실제로 전립선암과 관련된 것으로 밝혀진 7개의 패스웨이 중 6개의 패스웨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 study of identifying bio-markers for disease diagnosis and prognosis has been actively performed. In particular, lots of attentions have been paid to the finding of pathway gene-set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disease patients rather than the finding of individual gene mark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identify disease-related pathway gene-sets based on time-series microarray data. For this purpose, we firstly compute individual gene scores by the using maSigPro (microarray Significant Profiles) and then arrange all the genes in the decreasing order of the corresponding gene scores. The rank of each gene in the entire list is used to evaluat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candidate gene-sets with Wilcoxson rank sum test. For the generation of candidate gene-sets, MSigDB (Molecular Signatures Database) pathway information has been employ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prostate cancer time-series microarray data and the results show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correctly identifying 6 out of 7 biological pathways already known as being actually related to prostate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