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요르단 거주 시리아 난민의 외상경험과 정신건강 실태

        김재신,강성욱,양연수,민영희,김태언,구광서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type and prevalence of traumatic experience of Syrian refugees in Jordan and its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The results showed that 92.9% of a total of 183 participants experienced at least one traumatic event and an average of 8.71 traumatic events. Among the traumatic events frequently experienced were ‘property loss or destroyed(78.1%)’, ‘night raids(78.1%)’, ‘witness murder or physical abuse(62.3%)’, and ‘being forced to flee(62.3%).’ Second, participants originated from Deraa or Homs experienced more traumatic events than those from Damascus or other regions, and participants dependent on aid or none experienced more events than those on their own jobs or relatives/friends. Third, participants showed the high prevalence rat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51.9%), anxiety(44.3%), and depression(48.1%). Fourth, all of the mental health outcomes(PTSD,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and hostility) except post-traumatic growth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number of traumatic events experienced.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refugee support. 본 연구는 요르단에 거주하는 시리아 난민 183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과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참가자의 92.9%가 한건이상의 외상사건을 경험했으며 평균적으로 8.71건의 외상사건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연구참가자 중 많은 수가 경험했다고 답한 외상사건으로는 자기재산을 잃거나 파괴당함(78.1%), 야간급습(78.1%), 살해 또는 신체적 학대를 목격함(62.3%), 강제로 쫓겨남(62.3%)이 있다. 둘째, 시리아의 다라와 홈스에 거주했던 난민들이 다마스쿠스나 그외 지역의 난민들보다 더 많은 외상사건을 경험했으며, 현재 생계수단이 없거나 구호에 의존하는 난민들이 직장이 있거나 친척이나 친구의 도움을 받고 있는 난민들보다 외상사건의 경험빈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연구참가자 중 외상후 스트레스 위험군은 51.9%, 불안증상 위험군은 44.3%, 우울증상 위험군은 48.1%로 나타났으며, 넷째, 외상사건 경험빈도는 외상후성장을 제외하고 외상후 스트레스, 불안, 우울, 신체화 증상, 적대감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난민지원의 측면에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주민들의 외상경험과 정신건강 실태

        김재신,양연수,김태언,이선재,박선영 한국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3 No.2

        본 연구는 2013년 2월부터 5월까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거주하는 주민들(N=270)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외상사건을 살펴보고, 외상경험과 정신건강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먼저 외상경험을 살펴본 결과, 연구 참여자의 93.0%가 1건 이상의 외상사건을 경험했으며, 구체적으로 재산손실 및 파괴, 가까운 가족의 죽음, 최루가스 공격, 야간공습 등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둘째, 외상후 스트레스 위험군은 전체의 53.5%, 불안증상 위험군은 58.1%, 우울증상 위험군은 57.4%로 나타나 매우 심각했으며, 셋째, 외상경험과 정신건강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외상사건 경험빈도는 외상후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 적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at traumatic events Palestinians living in Gaza Strip(N=270) have experienced and how those experiences ar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orders(i.e., PTSD,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hostility, life-satisfaction) by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February to May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93.0%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t leat one traumatic event, and many had traumatic experiences such as property loss, close family members' death, tear gas attacks, and night raids. Second, among 270 participants, 53.5% reported PTSD, 58.1% anxiety, and 57.4% depression. Third, traumatic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TSD, somatization, and hostility.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시민사회 갈등인식과 정부신뢰 - 공공갈등 평가와 전망, 정부신뢰간의 관계 -

        김재신,김강민 한국지방행정학회 2011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8 No.1

        Trust in gover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solving public conflicts which occur frequently in the public policy-making proces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trust in government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public conflicts.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rational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xpectation of rational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and that trust in govern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hem.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공갈등 해결방식에 있어 정부 역할에 대한 시민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2010-2013

        김재신,가상준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eople perceive public conflict resolution and what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is perception by using four-year surveys.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older age, low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moreconservative attitudes preferred public conflicts resolved by government interventionrather than by conflicting parties. Second, people preferred party-centered resolution in 2010, while preferring government intervention in 2011. No significant differencesbetween the two were found in 2012 and 2013. Also, people with older age, low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more conservative attitudes preferred governmentintervention to party-centered resolution. Also, people perceived the severity of publicconflicts in 2010 less strongly than in the other years. They trusted government morestrongly in 2010 and 2013 than in 2011 and 2012, and generalized others peoplemore strongly in 2010 than in the other years. Lastly,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people’s preference of public conflict resolution was influenced by generalized trust in2010, perceived severity of public conflicts, government trust, generalized trust in2011, perceived frequency of public conflicts, government trust, generalized trust in2012, and perceived intensity of public conflicts, government trust, generalized trust in2013.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ople's perception of public conflicts is affected byvarious factors including socio-political situation. 본 연구는 4년 동안 주기적으로 실시한 전국적 규모의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갈등 해결방식에 있어 정부 역할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연령이 많고, 학력이 낮고, 이념성향이 보수적일수록 당사자 간 해결보다 정부의 개입을 통한 해결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도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2010년은 당사자 간 해결을 더 선호했고, 2011년에는 정부의 개입을 더 선호했으며, 2012년과 2013년에는 양쪽에 대한 선호도가 거의 비슷했다. 또한 시민들은 2010년에 비해 2011년, 2012년, 2013년에 공공갈등이 더 심각하고 집회 및 시위가 많고 격렬하다고 인식했다. 정부에 대한 신뢰수준은 2010년과 2013년이 다른 해에 비해 높았으며, 일반적 신뢰수준은 2010년이 다른 해에 비해 높았다. 연도별 공공갈등해결방식 선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2010년에는 일반적 신뢰가, 2011년에는 공공갈등의 심각성인식, 정부 신뢰, 일반적 신뢰가, 2012년에는 집회 및 시위 빈도인식, 정부 신뢰, 일반적 신뢰가, 2013년에는 집회 및 시위 격렬성인식, 정부 신뢰, 일반적 신뢰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갈등 해결에 있어 정부 개입에 대한 시민인식이 시기별 정치 및 사회상황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일반화된 타자, 정부,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공공갈등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재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rust in generalized others, trust in government, and trust in civic organizations affect the perception of public conflicts through a nation-wide survey(n = 1014).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higher levels of trust in generalized others and government are more likely to value the role that public conflicts play in developing democracy, to expect the decrease of public conflicts in the future, and to expect the rational and peaceful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the future, while people with higher levels of trust in civic organizations recognize that public conflicts have helped to develop democracy and will be resolved more rationally in the future. Also, when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e.g., gender, age, education), trust in government and civic organizations predicted the perceived contribution of public conflicts to democracy, and trust in generalized others and government predicted the expectation of decrease of public conflicts and the expectation of rational and peaceful resolution of public conflicts in the futur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전국적인 설문조사(n = 1014)를 통해 시민들이 갖고 있는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 정부에 대한 신뢰,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우리사회 공공갈등에 대한 평가와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시민들의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와 정부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공공갈등이 민주주의 발전에 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고, 앞으로 공공갈등이 더 줄어들고 더 잘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공공갈등의 민주주의 기여도와 공공갈등의 해결전망의 인식에 더 긍정적이었다. 또한 성별, 연령, 학력 등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뒤 각 신뢰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부 신뢰와 시민단체 신뢰가 공공갈등의 민주주의 기여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일반화된 타자에 대한 신뢰와 정부 신뢰가 공공갈등의 증가전망과 해결전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재밍 타입에 따른 DS-SS 데이터링크 시스템의 성능

        김재신,유정훈,권대훈,박의영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공지 데이터링크 시스템에서 재밍이나 페이딩 환경에 강인한 데이터링크 시스템을 위해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DS-SS 전송방식이 다양한 재밍 환경에서 동일한 성능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밍 타입에 따른 DS-SS 의 이론적인 성능을 조사하여 대표적인 wideband noise jamming 과 narrowband noise/tone jamming 간에 3 dB 성능차이가 존재함을 보였다. 또한 제작된 DS-SS 송수신 장비를 기반으로 실측 환경을 꾸며 측정하고 성능 차이를 확인하였다. Two environments that are often encountered in air-to-ground data link systems are the jamming environment and the fading environment. In an effect of the jamm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technique can be utilized for a robust data link system performance.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DS-SS is not the same in various jamming environments.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theoretical performance of the DS-SS according to jamming types and shows a 3 dB difference on a performance between a representative wideband noise jamming and a narrowband/tone jamming. Additionally, we measure the performance difference through a manufactured DS-SS transce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