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Geometric Programming Applied to Multipoint-to-Multipoint MIMO Relay Networks

        김재신,김수일,박의영 한국통신학회 2015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Vol.17 No.3

        In this paper, we consider a relaying system which employs a single relay in a wireless network with distributed sources and destinations. Here, all source, destination, and relay nodes are equipped with multiple antennas. For amplify-and-forward relay systems, we confirm the achievable sum rate through a joint multiple source precoders and a single relay filter design. To this end, we propose a new linear processing scheme in terms of maximizing the sum rate performance by applying a blockwise relaying method combined with geometric programming techniques. By allowing the global channel knowledge at the source nodes, we show that this joint design problem is formulated as a standard geometric program, which can guarantees a global optimal value under the modified sum rate criter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blockwise relaying scheme with the joint power allocation method provides substantial sum rate gai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chemes.

      • KCI등재

        권위주의 성격에 따른 공정과 인정의 갈등상황에서의 판단: 이중잣대를 가진 사람은 누구인가?

        김재신,한성열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18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flict between justice of modern value and Incheong (humaneness) of traditional value in Korean society. The main reason for this conflict is that people judge and behave on their double standards. Study 1 examined the effects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on social judgments in the conflict between justice and Incheong.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two kinds of scenarios - justice-centered and Incheong-centered scenarios involving either the relationship to superior or colleague, and they were asked to imagine themselves as the person of the scenarios and make their own judg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in justice-centered situations, low authoritarian people tended to judge fairly regardless of their relationship, but high authoritarian people tended to judge differently; they judge more benevolently to their superiors while judging more harshly to their colleague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authoritarian people was not significant in Incheong-centered situations. Study 2 investigated why high authoritarian people judge more benevolently to their superiors in justice-centered situat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justice-centered situations, the low authoritarian people tended to judge fairly to their superiors regardless of their possible disadvantage resulting from their judgments, but high authoritarian people tended to judge more benevolently to their superiors on condition that they can benefit from the relationship to their superiors.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공정과 인정의 갈등문제를 이해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한가지 시도로써 행하여졌다. 이러한 갈등현상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나 그로 인해 자신에게 주어지는 이익이나 불이익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고 행동하기 때문이다. 연구 1에서는 공정과 인정의 갈등상황을 상대적으로 공정이 우선시되는 공정중심상황과 인정이 우선시되는 인정중심상황으로 구분하고 각 상황에서 당사자들간의 관계를 수평관계와 수직관계로 조작하여 권위주의 성향이 높은 사람들과 낮은 사람들이 어떻게 판단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정중심상황에서 권위주의 성향이 낮은 사람들은 자신과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지 않은 반면, 권위주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보다 윗사람과의 관계에서 덜 공정하게 판단하였고 자신과 수평관계에 있는 사람에게는 더 공정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정중심상황에서는 이러한 권위주의 성격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2는 권위주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수직관계의 공정중심상황에서 덜 공정하게 판단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상황결과를 조작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윗사람과의 관계에서 권위주의 성향이 낮은 사람들은 상황결과에 따라 다르게 판단하지 않은 반면, 권위주의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상황결과에 따라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에 덜 공정하게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덜 공정하게 판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선호와 노동시장 참여

        김재신,최석현,조창현 한국공공사회학회 2019 공공사회연구 Vol.9 No.4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lifestyle preference choice of married women shape labour market achievements in the Korean labour market. In this research, we try to find the relationships of lifestyle preference with career developments of married women in Korea based on Hakim's preference theory which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married women's labour market outcomes in the modern worl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work-centred women who have children under age eight are more likely to be out of the labour market. It means the age of children is the primary determinant of married women's employment regardless of their lifestyle preference type. Nevertheless, we find that home-centred lifestyle preference accentuates exit of the labour market of married women who have children under age eight. Also, the human capital theory does not show a strong relation with female employment than personal attitudes of married women. That is, preference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Korean labour market on a limited scope because the age of children is a more important factor for female employment than personal attitude. By testing Hakim's preference theory in the Korean context, we can determine that lifestyle preference of wome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female employment. 본 연구는 노동시장 구조적 상황 하에서 기혼 여성들의 일과 가족에 대한 선호관이 노동시장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여성의 일-가족 양립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을 고찰한다. 분석결과, 미취학아동이 있을 경우에 일 중심 선호가 높더라도 비취업상태를 유지할 확률이 높은 것은 자녀의 생애주기단계가 노동시장 이탈에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일 중심 선호 여부보다 가정 중심 선호의 높낮이에 따라 노동시장 이탈과 잔류를 결정하는 경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akim의 선호이론은 우리나라 여성 노동시장 현실에서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경력 및 성과의 차이를 이해하는 유익한 모델이지만, 현실적으로 여전히 기혼여성의 가사와 육아 부담이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선호를 실현시키는 데 큰 장애물로 작용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다만, 기혼여성이 일에 대한 가치를 중시하더라도 노동시장 내 고용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노동시장을 이탈하여 가사와 육아에 전념할 수 있기 때문에,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서 미취학아동의 육아 지원 제도의 강화와 여성의 고용안정화에도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