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소년경찰 다이버전의 비교법적 고찰

        김재봉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5 법학논총 Vol.22 No.1

        In jünster Zeit kann man in der jugendlichen kriminalen Statistik mehrere negative Erscheinungen d.h. das bedeutende Wachstum der jugendlichen Kriminalen, der Zuwachs der Rückfälligen und der Gewalttäter usw. bestätigen. Daraus könnte man einen Schluß ziehen, daß die bisherigen Maßnahmen gegen die jugendlichen Verfehlungenen in Korea nicht so befriedigend sein. Deswegen muß man sich bemühen, neue Lösungen gegen die jugendliche Probleme zu finden. Im allgemeinen ist es anerkannt, daß es sich in der jugendlichen Missetaten nicht um die Sanktion sondern um die erzieherische Maßnahme handelt. Hier richtet man eine Aufmerksamkeit auf die Diversion der Jugendpolizei, weil die Polizei, die die Misstäter anfänglich behandelt, durch die möglicht schnelle Freilassung und die erzieherische Maßnahme den Sinn der Diversion verwirklichen können. Wie oben schon dargestellt, wird Diversion in Ausländer z.B. USA, UK, Niederlanden usw. lebhaft von Jugendpolizei durchgeführt. In dieser Länder wird Diversion als eine beste Alternative für die Lösung der jugendlichen Probleme betrachtet. Wenn das Befugniss von Diversion der Jugendpolizei durch die Befriedigung der gesetzlichen und systematischen Voraussetzungen in Korea verschafft wird, kann das zur Lösung der Problemen der jugendlichen Verfehlungen beitragen.

      • KCI등재

        The usefulness of pedicled perforator flap in partial breast reconstruction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in Korean women

        김재봉,김동규,이정우,최강영,정호윤,조병채,박호용,이지연,양정덕 대한성형외과학회 2018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45 No.1

        Background The emergence of breast-conserving surgery combined with radiotherapy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early stage breast cancer has resulted in greater focus on oncoplastic breast surgery. The use of perforator flaps has particularly gained in reputation for its effectiveness in the reconstruction of partial breast defects in Korean women. Herein, we present our experience with the use of thoracodorsal artery perforator (TDAP) and lateral intercostal artery perforator (LICAP) flap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3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reconstruction using TDAP or LICAP flaps at our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4. Data from patient medical records, and patient satisfaction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12 months postoperatively,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TDAP and LICAP flap-based reconstructions were performed in 14 and 19 patients, respectively. Five patients developed complications that required additional intervention. Overall patient satisfaction was observed to be excellent in 15 (46%) patients, and good in 12 (36%). Conclusions Based on our experience, oncoplastic breast surgery using TDAP or LICAP flap is an effective remodeling technique for small-to-moderate breast defects in Korean women with smaller breasts.

      • KCI등재

        해운산업의 운임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 운임선물거래의 도입경제성 분석을 중심으로

        김재봉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000 리스크 管理硏究 Vol.11 No.1

        선주, 용선주 등은 해상운임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전통적으로 선박 매매, 용선 계약, 장기운송 계약 등의 헷징 방법 등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통적인 기법들은 계약의 비융통성 및 불확실성 그리고 계약당사자 확보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주, 용선주 등은 해상운임 변동 리스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해상운임 선물거래 방식을 모색하였으며 마침내 1985년 영국에 볼틱국제운임선물거래소(Baltic International Freight Futures Exchange : BIFFEX)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선박량 및 물동량 측면에서 세계 상위의 해운국이나 해상운임 리스크관리를 위해 아직까지 전통적인 헷징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 BIFFEX와 같은 운임선물거래 도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도입시 고려될 수 있는 가능한 상품의 형태에 대해 살펴본다. 가격변동성, 현물시장 규모, 헷징 수요, 표준화 가능성, 현물시장 규제 측면에서 도입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부정기선 시장에서 운임선물거래의 도입 가능성이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해상운임선물거래의 복잡성으로 인해 이해 관계자의 시장참여에 대한 문제가 다소 있을 것으로 보이며, 표준화의 문제는 거래 대상상품을 지수화 함으로써 충분히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에 효율적인 해상운임 선물거래의 도입, 운영을 위해서는 향후 기존 선물거래소와의 연계방안 및 적정한 운임지수 산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raditionally shipowners and charterers have been managing freight fluctuation risk by using such hedging methods as selling the vessel, releting the vessel time and voyage charter and fixing a contract of affreightment. However, such traditional methods have potential problems such as inflexibility and unreliability of the contracts and difficulties in fording contracting parties. Consequently, shipowners and charterers have been trying to implement the freight futures to manage freight fluctuation risk more efficiently and finally established the Baltic International Freight Futures Exchanges(BIFFEX) in Great Britain in 1985 and have been operating successfully since then. However, in spite of the high ranked nation from the standpoint of the number of vessels and quantity of cargoes mobilization by vessels, Korea has been highly depending on the traditional hedging methods which are regarded inefficient compared with the freight futures.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the freight futures which are currently traded in the BIFFEX and present applicable types of futures to be considered when they are introduced in Korea. As a result of a feasibility study considering freight fluctuation, liquidity in the futures market, demand for hedging, homogeneity and the level of regulation in the spot market. This study will show that introduction of the freight futures in the dry bulk shipping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on managing freight fluctuation risk. However, due to the complexity of futures trading, there will be some problems in liquidity. Homogeneity problems can be solved by indexation of the trading freight. In order to introduce and operate the efficient freight futures in Korea, further studies should be followed to find a way to connect the freight futures with the existing future exchange and to compute applicable freight indexes.

      • KCI등재

        간이신속절차로서 즉결심판절차의 개선방안

        김재봉 한국경찰법학회 2018 경찰법연구 Vol.16 No.2

        It concurs generally in opinion that a summary criminal procedure is needed to guarantee a speedy trial for minor offeses. However the current summary judgements proceedings as a typical example of summary criminal procedure contain many problems, so proper reforms should be taken. First of all, there is a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summary proceedings should be in maintenance or abolition, the claimer of which is the chief of the competent police station.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a summary judgement procedure, in which the prosecutor is in charge of claiming, in order to specialize and purify the roles of the police and the prosecutors, respectively, as experts in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But as a precondition, it is essential to secu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uch as the county prosecutor's office and the deputy prosecutors. In order to resolve the criticism that the scope of the claiming objects is ambiguous and that it is likely to be abuse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claiming guideline such as a sentencing guideline.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cedural control mechanism through a committee with outside experts such as lawyers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claim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roversy of unconstitutionality by introducing a prior consent for proceedings. Since the principle of reinforcement of confession and the hearsay rule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wrong finding of substantial truth, it is not easily to exclude its application and it is appropriate to obtain prior consent in order to exclude them. Although there are conflicting views on the validity of the imposition of the detention, it is reasonable to abolish it, because there are very few cases of its imposing and there are possibilities of abuse. 경미한 범죄에 대하여 엄격한 소송법적 규율을 완화하여 절차의 신속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즉결심판절차와 같은 간이신속절차가 필요하다는 것에는 대부분 견해가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간이신속절차의 대표적인 예인 즉결심판절차의 경우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고 그 적절한 개선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우선 경찰서장을 청구권자로 하는 현행 즉결심판절차에 대하여 존폐론이 대립하고 있으나 수사와 기소의 분리를 통한 검찰과 경찰의 역할의 전문화 및 순수화를 위하여 검사를 소추권자로 하는 간이신속절차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 전제로서 시군 검찰청이나 부검사·검사직무대리 등 인적·물적 자원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즉결심판대상사건의 범위가 불명확하여 남용될 소지가 있다는 비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형기준과 같은 청구기준을 설정하여 청구대상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소년사건의 경우 소년법원에 의한 보호처분 부과의 필요성 때문에 즉결심판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타당하다. 고소고발사건의 청구대상 여부에 대하여 논란이 있으나 경미한 사건의 경우 간이신속한 처리를 위하여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즉결심판청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변호사 등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통한 절차적 통제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사전동의나 사후이의제기제도를 도입할 경우 위헌 논란을 차단할 수 있고, 현행 서면 또는 구두에 의한 고지제도를 활용하게 되면 절차의 신속성에도 커다란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즉결심판절차의 가장 큰 특징이 자백의 보강법칙과 전문법칙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인데, 이들 원칙은 오판 방지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쉽게 예외를 인정해서는 곤란하고 예외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사전 동의를 받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즉결심판에서 구류형 부과의 타당성에 대하여 견해가 대립하고 있으나, 실제로 구류형이 부과되는 경우가 매우 적고 별건구류 등 남용의 소지가 있기 때문에 구류형은 폐지하고 보호관찰 등 사회내 처우로 대체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즉결심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제구인 등 피고인을 출석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