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김재봉(Kim, Chaeb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수법을 중심으로 하여 다문화 교육의 일부로서 초등학교에서 이뤄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교수법)의 현황과 과제를 문헌을 통해 탐색했다. 현황과 과제를 구분하여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교수법) 현황은 다음과 같다. 상향식 교수법이 주를 이루고 있고, 과정중심의 교육이 소홀히 되고 있으며, 통합적인 언어사용을 위한 기능 강화가 미흡하다. 뿐만 아니라 언어 기능을 분리하여 가르치도록 교재가 구성되어 있다. 둘째, 과제는 다음과 같다. 초등 다문화 학생을 위해 한국어 교육을 할 경우에 한국어 교육을 병렬 이중 언어 교육의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고, 상향식 교수법뿐만 아니라 하향식 교수법도 함께(혹은 더 중요하게) 강조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과정 중심의 교육을 강화하고, 따로따로 현상이 아닌 통합적인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지향해야 하고, 문장 구성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the teaching method) in elementary schools as part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Korean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organized by separat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Bottom up teaching methods are the main focus, course-oriented education is neglected and the enhancement of functions for integrated language use is insufficient. In addition, textbooks are organized to teach language functions separately. Second, the challenge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educational needs should be approached in terms of coordinated bilingual language education, and top down teaching methods that are emphasized along with bottom up teaching methods as well. In addition, course-oriented education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integrated language skills pursed, and the ability to organize Korean sentences skills likewise strengthened.

      • KCI등재후보

        가치 토론의 입론 구성 방식과 활용에 대한 연구

        김재봉(Kim Chaebo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5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의 방법을 통해 가치토론의 입론 구성 방식과 활용을 탐색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토론의 입론 구성은 가치 구조를 중심으로 해야 하는데, 가치 구조는 핵심 가치와 가치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둘째, 포괄적인 핵심 가치와 구체적인 핵심 가치를 교차 검토하면서 구체적인 핵심 가지와 핵심 가치를 뒷받침할 수 있는 가치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핵심 가치를 탐색하는 체계적인 훈련을 해야 한다. In this study,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have blotted out the methodology and utilization of the ground theory of value debate.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framework of the value debate should be centered around the value structure, understanding that the value structure consists of core values and value criteria. Second, cross-examination of comprehensive core value and specific core value should present value criteria that can support specific core values and core values. Third, systematic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to explore core values.

      • KCI등재

        교육대학생들의 논증 분석의 어려움 요인과 극복 방안

        김재봉(Kim, Chaeb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이 연구에서는 논증도 작성하기를 통해 논증분석 양상과, 탐색한 양상에 근거하여 논증분석을 할 때의 어려움 요인을 탐색한 다음, 그 극복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증분석 양상은‘결론과 보충 설명의 혼동, 결론과 이유․근거의 혼동, 주논증과 부논증의 병용, 논증분석 방법의 혼동’으로 드러났다. 둘째, ‘결론과 보충 설명의 혼동’과 관련하여 탐색된 어려움 요인은‘맥락의 활용’,‘결론과 이유․근거의 혼동’과 관련해서는‘인과관계 파악’,‘주논증과 부논증의 병용’과 관련해서는‘주논증과 부논증의 구분’,‘논증분석 방법의 혼동’과 관련해서는‘논증분석 방법’이다. 따라서 국어교육을 통해서‘맥락의 활용, 인과관계 파악, 주논증과 부논증 구분, 논증분석 방법의 훈련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aspects of the analysis and the difficult factors of argument analysis by preparing the argument, and then suggest ways to overcome them.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esented: First, the aspects of the argument analysis were revealed as ‘confusion of conclusion and supplementary explanation, confusion of conclusion and reason, combination of main argument and by-argument, and confusion of argument analysis methods. Second, ‘the confusion of conclusion and explanation’, the challenging factors explored in relation to ‘the use of context’, ‘causal ident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use of conclusions and reasons’, ‘distinction between main and by-discussion’ with respect to ‘the combination of main argument’, and ‘confusion in argument analysis methods’. Therefore,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use of context, the identification of causality, the distinction between main and minor arguments, and the training of method of argument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 KCI등재후보

        대립토론의 반박하기 활동을 통한 비판적 듣기 능력 향상 방안

        김재봉(Kim Chaebo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의 방법을 병용하여 대립토론의 입론, 교차조사, 반박의 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알고 실제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판적 듣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론의 과정에서는 먼저,‘AREA의 법칙’을 기본으로 하고, 그 기반 위에서 입론의 전개 패턴을 활용하며, 핵심 쟁점을 파악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둘째, 교차조사 과정에서는 논증의 허점을 찾아내고, 핵심 쟁점에 대해 질문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핵심 쟁점에 대한 질문은‘문제의 심각성, 내인성, 문제해결력, 실행가능성, 장점’에 초점을 맞추어 연습을 해야 한다. 셋째, 반박의 과정에서는‘AREA의 법칙’을 기본으로 삼고, 그 기반 위에서 ‘유보조건, 역전법, 논의의 전제 깨기’와 같은 연습을 해야 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ways to improve critical listening skills by combining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ive research to allow theory to know and practice the methods of introduction, cross-examination, and refutation of confrontational debate.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introduction should first be based on the ‘Law of AREA’and practice using the development pattern of the introduction on its foundation and identifying key issues. Second, the cross-examination process requires practice of finding loopholes in the argument and asking questions about key issues. Questions on key issues should focus on ‘seriousness of the problem, tolerance, problem-solving skills, practicability, and advantages.’ Third, in the processes of refutation, the ‘Law of AREA’should be based on and practice such as ‘reservation conditions, reversal methods, and breaking the premise of discussion’on its basis.

      • KCI등재후보

        장르의 구속성과 탈장르적 사고의 상호작용

        김재봉(Kim ChaeBo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이 연구에서는 장르의 구속성과 탈장르적 사고의 상호작용에 대해 글쓰기의 측면에서 탐색했다. 문헌 연구의 방법을 통해 탐색한 결과를 기반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 연구 기반의 전통적인 장르에 대한 접근에서 벗어나 장르를 역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것으로 파악했다. 장르의 역동적 측면을 특히 강조하는 장르 연구의 전통은 북미 신수사학의 연구에서 강조되고 있다. 둘째,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글을 쓰는 목적이다. 글을 쓰는 목적을 중심에 놓고 글쓰기를 할 때 장르의 구속성을 덜 받을 수 있으며 장르의 구속성을 덜 받을 때 탈장르적 사고 활동은 촉진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는 기존의 장르 중심의 글쓰기를 너무 강조해서는 안 된다. 글쓰기의 목적을 생각하면서 왜 내가 글을 써야 하는가에 대한 글쓰기의 동기 형성에 방점을 두어야 한다. 글쓰기의 목적이 뚜렷하고 쓰고자 하는 동기가 확고하게 형성되도록하는 것이 초등학교 글쓰기에서 중요한 목표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interplay between genre binding and Genre-free thinking in terms of writing. Based on the results explored through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the conclus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e have identified the genre as dynamic and interactive, deviating from our approach to traditional genre baded on literacy research, which particularly emphasizes the dynamic aspects of genre, is particularly emphasized in the North American New Rhetoric study. Seco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writing is the purpose of the writing. When writing 자소 the purpose lf the writing at the center, the genre may be less binding and when the genre is less binding, the genre of thinking is prompted. Third, in elementary schools, writing centered on traditional genres should not be emphasized too much. Thinking about the purpose of writing,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formation of the motivations for writing, why I should write. Making sure that the purpose of writing is clear and that the motivation to write is firmly formed should be one of the important goals in elementary school writing.

      • KCI등재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의 갈등에 관한 인식 양상 연구

        김재봉 ( Kim Chaebong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2

        이 연구에서는 Berko 등이 제안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갈등에 대한 인식의 양상을 탐색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신입생들은 갈등에 대해 “회피>통합>타협>경쟁>조화”와 같은 인식의 양상을 보였다. 또한 Berko 등이 제안한 갈등 유형과는 별도로 “융합형”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둘째, 혈액형에 따른 인식의 양상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다. 하지만 남녀 구별 없이 처리할 경우 인식의 양상은 “회피>통합>타협>경쟁>조화”와 같은 양상을 보인다. 셋째, 대화 시간과 갈등 반응 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했을 때 대화시간이 많을수록 조화형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반응을 보였다. 넷째, 대화 형태와 갈등 반응 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했을 때 토의형토론이 통합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응을 보였다. 다섯째, 인지적 측면에서는 일반적인 지적 능력을, 정의적 측면에서는 동기를 인식의 근거로 삼고 있다. 또한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을 모두 고려했을 때 인지적 측면보다는 정의적 측면을 우선하여 갈등 양상을 인식하는 근거로 활용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conflict recog-nition which has made questionnaire by Berko etc..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school teachers` realized the aspects of conflict as “avoidance > integration> compromise> competition> accommoda-tion”. Berko etc. suggested five patterns. But the new pattern of conflict is discovered in this research. This type is another. We name it “conver-gence type”. Seco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spects by blood type is mean-ingless statistically. But the aspects of conflict recognition without distinc-tion of sex are exposed to “avoidance > integration > compromise > com-petition > accommodation”. Third, when we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alk time and con-flict response patterns, the more we have talk time, the more we have meaningful accommodation pattern statistically. Forth, when we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talk patterns and conflict response patterns, the debate of discussion pattern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response to accommodation pattern. Finally, when the pre-service school teachers` judge the aspects of con-flict, they are based on a general intellectual ability in cognitive perspective and a motivation in an affective perspective. Also when we consider both cognitive perspec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 they judge the aspects of conflict recognition which motivation take priority over cognition.

      • KCI등재

        조하리의 창에 근거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간관계 인식 양상과 인성교육적 함의

        김재봉(Chaebong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1

        이 연구는 조하리의 창을 분석 도구로 활용하여 초등 신입생 예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인간관계의 양상과 인성교육적 함의를 탐색한 것이다. 연구 결과의 요약을 기반으로 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인간관계의 양상은 예상과 달리 ‘열린 영역, 숨겨진 영역, 눈먼 영역, 미지의 영역’에서 크기가 크게 나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네 영역에 대해 균형감감을 자기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자아노출과 수신피드백 사이의 상관관수는‘.234’로 상관이 높지 않다. 그리고 이들은‘긍정적 의미’와‘중립적 의미’ 그리고‘부정적 의미’를 지닌 항목별로 묶이는데, 이렇게 묶이게 하는 기제는‘긍정지향성’이다. 셋째, 공감능력이 열린 영역의 확장을 견인하고, 이들이 시너지효과를 발휘하여 인성교육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기 때문에 공감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정성을 담보한 공감 대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used Johari’s window as an analysis tool to explore the aspects of human relationships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implication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based o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of human relationships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did not grow significantly in open, hidden, blind, and unknown areas, contrary to expectations. This means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a sense of balance in those four area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xplore and reception feedback is ‘.234’, which is not significant. And they are grouped into items with ‘positive and natural meanings and negative meanings’, and the mechanism that binds them in this way is positive tropism. Third, since empathy drives the expansion of open area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character education to work by creating synergy effects, empathy with sincerity is needed to improve empathy.

      • KCI등재후보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교육방법 특성 비교

        김재봉(Chaebong Kim)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9

        이 연구는 문헌 연구의 방법을 통해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가르치는 방법을 달리해야 함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성언어 교육은 간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다. 뇌의 아미그달라는 정서(감성)를 담당하는데, 아미그달라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게 하려면 간접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둘째, 문자언어 교육은 직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다. 뇌의 탈라무스와 시각 피질은 주로 이성을 담당한다. 그런데 추상성을 띠는 문자언어는 탈라무스에서 시각 피질로 정보가 전달되면서 객관화되고, 이 과정에서 객관화된 정보는 아미그달라로 전달된다. 그래서 문자언어와 같이 객관화된 정보는 추상성이 강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다. 셋째, 토론 교육은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병용한다. 음성언어를 활용할 때는 아미그달라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간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고, 문자언어를 활용할 때는 탈라무스와 시각 피질의 기능때문에 직접적인 가르침이 효과적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need for different methods of teaching written and spoken language thotough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n spoken language education, subsidiary point of teaching is effective. Amigdala in the brain is responsible for emotions, and it is effective to educate indirectly to allow Amigdala to control itself. Second, focal point of teaching is effective in written language education. The Thalamus and visual cortex of the brain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reason. However, abstract written language is objectified a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alamus to visual cortex, and in this process, the objectifi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migdala. Forcal point of teaching is effective because objectified information, such sa written language, has strong abstract. Third, debate education combines spoken and written language. When using spoken language, subsidiary point od teaching os effective to control Amigdala, and when using written langauge, focal point of teaching is effective because of the function of Thalamus and visual cort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