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의 고등교육기관 입학시험의 성격 : 조선과 일본, 관학과 사학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자중 ( Kim¸ Ja-joong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논문은 제2차 조선교육령기 고등교육기관 입학시험의 실태를 일본 내 고등교육기관 입학시험과의 비교, 조선 내 관학과 사학의 입학시험 간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 내 고등교육기관 입학시험에 반영된 의도와 그 결과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차 조선교육령기에 조선에서는 일본의 경우와 달리 관사학을 막론하고 모든 고등교육기관이 국어시험을 부과했다. 둘째 조선 내에서도 관학은 사학보다 국어시험의 배점비율을 비교적 높게 책정했다. 셋째 영어시험에서 관학은 ‘영문화역’과 ‘화문영역’을 출제했으나 일부 사학은 ‘영문선역’과 ‘선문영역’을 출제했다. 넷째 연희전문학교 문과는 조선어시험을 부과했다. 이와 같은 관학과 사학의 입학시험 간의 차이는 대체로 관학의 입학시험에는 지원자의 동화의 정도를 평가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비교적 강하게 반영됐으며 반면 사학의 입학시험에는 그 의도가 비교적 약하게 반영됐고 이에 비해 실용적 의도, 그리고 연희전문학교 문과의 경우에는 민족주의적 의도가 반영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관학의 입학시험은 유난히 일어실력을 강조한 탓에 조선인보다 일본인이 다수 선발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Joseon by comparing it with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Japan and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chools in Korea during the Second Joseon Educational Ordinance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during the Second Joseon Educational Ordinance period, unlike the case of Japan, al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mposed the Japanese language tests. Secondly, in Korea, government schools set a relatively higher point ratio for Japanese language tests than private schools. Thirdly, government schools presented “Translation from English into Japanese” and “Translation from Japanese into English”, but some private schools presented “Translation from English into Korean” and “Translation from Korean into English” in English test. Fourthly, Chosen Christian College imposed a Korean language test.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school projected relatively strong political intentions to evaluate the degree of ‘Japanization’ of applicants on the entrance exam, while the private school projected practical and nationalist intentions on the entrance exam. As a result, the entrance examination of government schools served as a reason for the selection of a large number of Japanese.

      • KCI등재

        갑오・광무개혁기 정부의 고등교육기관의 설립 구상과 실현

        김자중(Kim Ja Jo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4

        본 논문은 갑오・광무개혁기 조선・대한제국 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을 고등교육기관의 설립 구상과 그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그것의 교육사적 의의에 대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갑오개혁기에 조선 정부는 대학의 설립을 구상했으나 이는 일본 정부의 적극적 간섭에 의해 좌절됐다. 갑오개혁기 중 ‘소극적 간섭기에’ 조선 정부 내에서 개혁을 주도한 세력은 개혁관료였다. 이들은 근대교육제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대학의 설립을 구상했다. 이는 「학무아문관제」에 ‘대학’과 ‘전문학교’가 규정된 점, 학부대신 박정양이 고시문에서 대학과 전문학교의 설립을 언급한 점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적극적 간섭기’에 이노우에 공사는 새롭게 제정된 「학부관제」에서 ‘대학’을 삭제하게 했으며 그 대신 ‘외국유학’을 신설하게 하고 실제로는 조선인의 ‘일본유학’을 추진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조선인의 ‘일본유학’을 통해 친일세력을 양성하고 이들을 조선 정부 내에 부식시키려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개혁관료의 대학 설립의 구상은 좌절됐다. 둘째 광무개혁기에 대한제국 정부는 전문학교의 설립을 구상했으며 이를 법관양성소와 의학교의 전문학교로서의 성격을 강화하는 형식으로 실현시켰다. 이 시기에 대한제국 정부는 고종의 주도로 광무개혁을 실시했다. 이때 대한제국 정부는 갑오개혁기에 일차 추진된 근대교육제도의 도입을 재차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문학교의 설립도 구상했다. 이는 대한제국 정부가「의학교규칙」에서 의학교의 입학자격으로 원칙적으로 “중학교 졸업장”을 가진 사람을 규정했다는 점, 그리고 「중학교규칙」에서 중학교 고등과 졸업자가 “판임관과 전문학에 들어갈 자격이 구유”하다고 규정했다는 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한제국 정부는 법관양성소와 의학교의 입학자격을 중등학교 졸업 등으로 격상하고 ‘전문교육’을 표방했다. 결론적으로 갑오개혁기에 조선 정부의 고등교육기관의 설립 구상은 좌절됐으나 광무개혁기에 대한제국 정부의 전문학교 설립 구상은 법관양성소와 의학교라는 형태로 실현됐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 Empire government’s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establishment planning and practice, to consider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at during the Gabo and Gwangmu Refor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Joseon Dynasty government planned to establish university, it was frustr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obstruction during the Gabo Reform. During the Passive Interference, the Reformist Bureaucrats in the government led the reform. They planned to establish university in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modern educational system. It was proved from the Education Ministry Organization which regulated ‘university’, and notification of Park Jong-yang, the Minister of Education which mentioned university establishment planning. But Inoue Kaoru, the Japanese minister to Korea deleted ‘university’ and newly regulated ‘studying abroad’ in the Education Ministry Organization during the Active Interference. It was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 attempted to train pro-Japanese group and to planed them in the Joseon Dynasty government. As a result, the Joseon Dynasty government’s university establishment planning was frustrated. Secondly,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planned to establish the Jeon-Mun-Hak-Kyo(專門學校), it was realized as the Law School and the Medical School during the Gwangmu Reform. During this time, Gojong led the reform. At that time,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planned to establish the Jeon-Mun-Hak-Kyo in the process of promoting introduction of modern educational system again. It was proved from the Medical School Regulations which determined requirements for admission as graduation from the Middle School and the Middle School Regulations which regulated that advanced course graduates could enter the Jeon-Mun-Hak-Kyo. Therefore,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raised requirements for admission of the Law School and the Medical School, let them claim professional education. In conclusion, the Joseon Dynasty government’s university Establishment Planning was frustrated during the Gabo Reform, but the Korean Empire government’s Jeon-Mun-Hak-Kyo Establishment Planning was realized as the Law School and the Medical School during the Gwangmu Reform.

      • KCI등재

        1920-1945년간 식민지 조선의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에 관한 연구

        김자중(Kim, Ja Joong) 교육사학회 2016 교육사학연구 Vol.26 No.2

        본 논문은 1920-1945년간 식민지 조선의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의 설립 배경과 현황, 그리고 그 역사적 의의에 대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20년 이후 조선인은 일제의 식민지 고등교육정책에 대한 하나의 대응으로써 다수의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를 설립·운영했다. 일제는 「제2차 조선교육령」을 제정하여 새롭게 ‘대학’을 규정하고 ‘내지’에서 제정된 고등교육 관계법령을 식민지 조선에도 적용했지만 여전히 관립고등교육기관의 증설이나 사립전문학교 설립의 인가에 제한적이었다. 반면 이 시기에 조선인의 고등교육 진학욕구는 크게 고조됐다. 이에 조선인은 처음부터 설립부담이 큰 사립전문학교를 설립하기보다 먼저 상대적으로 설립부담이 적은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를 설립하여 전문학교에 준하는 고등교육의 기회를 확보한 후 여러 여건 등을 고려하여 사립전문학교로의 승격을 도모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1920년 이후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는 23교가 설립·운영됐다.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는 경성제국대학이나 관공사립전문학교에 비해 재학자 수가 적고 입학경쟁률이 저조했으며 직원은 겸임교원이 다수이고 연간 경비가 빈약했다. 셋째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는 한국의 식민지 고등교육사에서 다음의 세 가지를 의의를 갖는다. ①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는 사립전문학교의 요람으로써 기능했다. ②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는 조선인의 고등교육 진학욕구를 부분적으로 충족시켜주었다. ③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는 특히 식민지 조선의 여성들에게 전문학교에 준하는 고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the background of foundation, situation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Higher Education-leveled Miscellaneous Schools in colonial Korea since the 1920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s founded and operated a great number of Higher Education-leveled Miscellaneous Schools as a response to colonial higher education policies of the Japanese Empire since the 1920s. The Japanese Empire allowed foundation of university and applied higher education act that they established in the mainland by establishing the Second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but still were negative to establish additional government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o approve foundation of private specialized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 desire to higher education of the Koreans heightened greatly at this time. Therefore, at first, the koreans established Higher Education-leveled Miscellaneous Schools to get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since then they tried to grow to private specialized schools status. Secondly, There were 23 Higher Education-leveled Miscellaneous Schools that were established or were operated since the 1920s. These had fewer students, lower admission rate, more adjunct professor, poorer finances than that of university or specialized schools. Thirdly, the Higher Education-leveled Miscellaneous Schools had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these were cradle of private specialized schools, satisfied the desire to higher education of the Koreans partly,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Koreans desiring higher education especially.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고등교육기관의 입시제도(1) : 내신서 평가, 구두시문, 신체검사를 중심으로

        김자중(Kim, Ja-Joo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0 敎育思想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 고등교육기관의 입시제도 중 내신서 평가, 구두시문, 신체검사의 제도적 변천과 특징, 실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조선총독부의 입시정책과 고등교육기관의 입시제도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교육’과 ‘선발’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을 이해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과제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총독부는 각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자 선발방법에 대한 통제를 점차 강화했다. 이는 두 가지 문제를 초래했다. 하나는 각 고등교육기관이 입학자 선발방법을 결정하는데에 있어서의 자율권을 침해했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각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자 선발방법이 점차 획일화됐다는 점이다. 둘째 조선총독부의 입시정책은 식민지 지배정책의 일환이기도 했다. 즉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학생운동이나 사상문제에 대한 대응 등과 같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자 선발방법을 통제하기도 했다. 또한 조선총독부는 입시정책을 매개로 학교교육 그 자체도 통제하려 했다. 이는 내신서 평가의 제도적 변천을 통해 가장 분명하게 확인된다. 셋째 다만 조선총독부의 입시정책은 항상 본래의 취지대로 관철된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면 전시체제기에 조선총독부는 학과시험과 내신서 평가, 구두시문, 신체검사를 균등하게 평가하도록 했으나 각 고등교육기관은 1945년 이전까지는 여전히 학과시험을 가장 중시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조선총독부의 입시정책이 각 고등교육기관 관계자의 동의를 확보하는 데에 실패하기도 했다는 점, 그리고 그것이 조선총독부의 입시정책이 본래의 취지대로 관철되지 못하게 되는 데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는 점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Korea under Japanese ru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gradually controll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tudents selection. From 1916 to 1927,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required the founders to submit the school regulations including ‘regulation on admission’ when they applied for permission to establish. And since 1928,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ssued a guideline to strengthen the evaluation of personality, and in 1945, they arbitrarily decided how to select students. Secondly, the entrance examination policies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part of the colonial rule. They was carried out not only to curb ‘preparatory education’, but also to respond to Korean student movements, and to implement Japanization education and labor mobilization. In other words,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used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s a “procedure or process for selecting qualified persons to enter upper schools” but also as a “control system”. Thirdly, the entrance examination policies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not implemented as originally intended. For example,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requir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evaluate a written examination, an assessment of school records, oral examin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equally, but they was still the most emphasis on a written examination. Also, Koreans preferred it. This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the entrance examination policies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 사례연구: 경성보육학교와 여성의 고등교육

        김자중 ( Kim Ja Joong ) 한국교육사학회 2023 한국교육사학 Vol.45 No.3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 경성보육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같은 시기 여성의 고등교육과 관련하여 이 학교가 갖는 의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성보육학교가 설립된 배경에는 유치원 수의 증가와 이에 수반한 보육전문인력 ‘보모’ 수요의 확대가 있었다. 1920년대에 유치원 수는 계속해서 증가했으며, 각 유치원은 기왕이면 보모 중에서도 보모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을 채용하려 했다. 둘째 경성보육학교는 여자중등학교 졸업자에게 다수의 고등교육기회를 제공했다. 경성보육학교의 재학생 수는 1933년부터 점차 증가하기 시작했다. 입학자의 출신학교를 보면, 사립여자고등보통학교 출신이 가장 많았다. 셋째 경성보육학교의 교육과정은 일본 내 보모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경성보육학교는 음악과 율동에 주력했다. 또한 1933년 이후에는 일본 내 보모양성기관 유학출신 교원을 다수 채용했으며, 교과서도 일본인 저자의 저서를 다수 사용했다. 넷째 경성보육학교는 다수의 보모를 배출했다. 경성보육학교의 재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졸업자 수도 점차 증가했다. 이들은 주로 보모로의 취직을 지망했으며, 실제로도 그중 대다수는 보모로 취직하는 데에 성공했다. 다섯째 전시체제기에 경성보육학교는 폐교됐다. 해방 이후 1946년에 전 경성보육학교 교원들과 졸업자들이 동교를 재건하려 했지만, 결국 이는 실현되지 못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Gyeongseong Kindergarten Normal College(GKNC) as a College Level Private Miscellaneous Schoo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is school in relation to women’s higher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GKNC was the increase in kindergartens and the expansion of the demand for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1920s, the number of kindergartens increased, and each kindergarten tried to hire a person who had completed the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course. Secondly, GKNC provided a number of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graduates of women’s secondary schools.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GKNC increased gradually in 1933. Most of the entrants were from private girls’ high schools. Thirdly, the curriculum of GKNC was little different from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Japan. GKNC focused on music and dance. A number of teachers from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Japan have been hired, and many books by Japanese authors have been used. Fourthly, GKNC produced a number of kindergarten teachers. As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GKNC increased, the number of graduates gradually increased. They mainly wanted to get a job as a kindergarten teacher, and in fact, most of them succeeded in getting a job as a kindergarten teacher.

      • KCI등재

        19세기 영국에서의 "삼육" 개념의 형성과 전개

        김자중 ( Ja Joong Kim ),한용진 ( Yong Jin Hahn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1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에서 ‘삼육’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을 독일의 역사학자 라인하르트 코젤렉 등이 제창한 ‘개념사’라는 역사연구방법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육개념은 19세기 초에 페스탈로치 ‘삼육’ 사상의 조셉 니프에 의한 영역(英譯)과 영국의 란트 카펜터에 의한 ‘때 이른 수용’에 의해 형성됐다. 이때 카펜터는 ‘지육’ 개념에서 ‘형식도야이론’에 기초한 ‘오성의 연습’을, ‘체육’ 개념에서 ‘아이의 건강에 대한 임상의학적 관심’에 기초한 ‘단련주의’를 설명했다. 둘째, 카펜터 이후 스펜서의 『교육론』(1860)이 간행되기까지 ‘삼육’ 개념을 중심으로 목차를 구성한 교육서 중 6종을 분석한 결과, 이들 책에서 ‘지육’ 개념에는 점차 구체적인 ‘교수방법’이 강조되고 있었으며, ‘체육’ 개념에는 자연과학의 성과가 조금씩 적용되고 있었다. 셋째, 스펜서는 『교육론』에서, ‘지육’ 개념으로 ‘과학’ 교육과정의 강조와 페스탈로치 교수방법의 보완을 주장했으며, ‘덕육’ 개념으로 ‘습관의 형성’과 ‘자연의 반작용’이라는 원리를 주장했고, ‘체육’ 개념으로 단련주의를 비판했으며, 특히 체조를 비판하고 아이의 자연적이고 자발적인 운동을 강조했다. 19세기 초에 영국에서 형성된 ‘삼육’ 개념은 영국의 현실과 관계를 맺으면서 끊임없이 변화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in Britain in the 19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was formed by Joseph Neef`s translation and Lant Carpenter`s acceptance of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estalozzi in Britain in the earlier years of the 19th century. At that time, the concept of ``intellectual education`` meant the training of understanding by ``formal discipline theory`` and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meant ``physical hardening`` which is based on ``clinical medical interest on children``. Second, until Spencer`s On Education was published, only six books had been published featuring content o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books we found that the concept of ``intellectual education`` meant some kind of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meant something related to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Third, Spencer stated that the concept of ``intellectual education`` meant ``science`` learned through Pestalozzi`s teaching methods, the concept of ``moral education`` meant habit formation by principle of ``natural selection``, and ``physical education`` meant spontaneous, natural exercise which is contrary to artificial exercise(especially gymnastics in his book).

      • KCI등재

        경성제국대학의 여성입학허용문제에 관한 연구 : 그 경위와 배경을 중심으로

        김자중 ( Kim Ja Joong )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 경성제국대학의 여성입학허용문제에 관해 그 경위와 배경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그 교육사적 의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20년대 이후 식민지 조선사회의 여성고등교육기관의 설립요구는 경성제국대학이 여성입학허용문제를 논의하는 데에 대내적 요인으로서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경성제국대학은 여성입학허용문제를 ‘불허’ ⇒ ‘선과와 청강생으로서의 허용’ ⇒ ‘본과에서의 허용’이라는 3단계를 거쳐 추진했다. 셋째 1935년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가 본과에서 여성의 입학을 허용한 것은 대외적으로는 동 시기에 일본의 일부 제국대학과 식민지 대만의 타이페이제국대학 등이 본과에서 여성의 입학을 허용하는 추세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제 식민지기에 경성제국대학은 대내적으로는 식민지 조선사회의 여성고등교육기관의 설립요구, 대외적으로는 일본의 일부 제국대학과 식민지 대만의 타이페이제국대학의 여성입학허용정책 등에 영향을 받아 법문학부의 선과와 청강생, 나아가 본과에서 여성의 입학을 허용했으며 실제로 선과와 청강생으로 여성 입학자를 선발했다. 이는 식민지 조선사회의 ‘수재’ 여성들에게 대학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주었다는 점에서, 나아가 해방 이후 여성고등교육의 확대를 향한 하나의 스텝이었다는 점에서 교육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dmission of women to the 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tha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demands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women in Colonial Korea had a effect on the admission of women to 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as a internal factor. Women’s opportunities for higher education was very limited under Japanese rule. Therefore, the demands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women in Colonial Korea was expressed in earnest since the 1920s. It seems that the discussion of the admission of women to 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in 1926 was an extension of that. Secondly, the admission of women to the 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was realized through three steps, that is ‘no admission’, ‘the admission to the special course and as auditors’ and ‘the admission to the regular course’. But it has not yet been confirmed whether the 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selected female students for admission actually. thirdly, the admission of women to the Imperial Universities in Japan and Colonial Taiwan had a effect on the admission of women to 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as a external factor. Under these conditions, it would have been very difficult for the Imperial Japanese that the 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didn’t grant admission to women. In conclusion, the admission of women to the Kyongsong Imperial University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has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as a step to extension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since 1945.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 사례연구 - 경성법정학교의 설립과 운영 -

        김자중 ( Kim Ja Joong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4

        본 연구는 경성법정학교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일제 식민지기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성법정학교의 전신은 1911년 6월에 설립된 법정연구회였다. 이는 조선총독부 내 일본인 관리들이 주체가 되어 고위관리들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923년에 경성법정학교는 조선총독부라고 하는 ‘관’의 인적·물적 지원에 일정 부분 의존하여 설립·운영됐다. 조선총독부가 경성법정학교를 지원한 이유는 식민지 지배를 위해 방대한 규모의 관리가 필요했으나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관립의 법학교육기관을 설립하는 것은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경성법정학교는 법학을 교수하고 또한 법학시험의 준비교육도 실시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1920년대 중후반에 경성법정학교의 학생들은 전문학교승격운동을 전개했다. 이는 경성법정학교가 전문학교가 아니라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인 까닭에 그 졸업자도 전문학교 졸업자가 부여받는 여러 자격으로부터 배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일제 말기에 경성법정학교는 조선총독부가 중등 이상의 각종학교를 폐쇄시키는 상황 속에서도 이재과 중심으로 개편함으로써 존속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해방 이후 경성법정학교는 격렬한 이념대립 하에서 미군정에 의해 교원의 정치적 색채 등을 이유로 폐쇄됐다. 이를 보면 전문정도 사립각종학교는 민간만이 아니라 조선총독부도 그 존재를 필요로 했던 교육기관이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민지 고등교육체제 내에서는 가장 하위에 위치하고 있던 교육기관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College Level Private Miscellaneous School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through a case study of Gyeongseong Pupchung School(G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edecessor of GPS was a Pupchung study group established in June 1911. It is pre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by junior officials i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with the support of high-ranking officials. Later, in 1923, GPS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depending on the human and material support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The reason wh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supported GPS was that it required a vast amount of officials for colonial rule, but it was burdensome to establish a new government law school that required a huge budget. GPS taught law and also provided preparatory education for the law exam. In this situation, in the mid-to-late 1920s, students of GPS launched a elevation movement for College. This is because GPS was not a College, but a College Level Private Miscellaneous School, so the graduates were also excluded from the various qualifications granted to graduates of the colleges. Since then, during the wartime, GPS was able to survive by reorganizing it around economics even in the situation where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closed middle or higher level Private Miscellaneous School. However, after liberation, GPS was closed by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due to the political character of teachers under ideological confrontat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 KCI등재

        근대 `교수(敎授)`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한용진 ( Hahn Yong-jin ),김자중 ( Kim Ja-joong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근대 한국에 `교수(敎授)` 개념이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개념사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교수라는 용어는 대학에서 `가르치는 사람`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이 글에서는 가르치는 행위와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결국 근대 `교수`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대에 `교수`는 가르치는 행위보다는 관직명으로 많이 사용되었지만, 1880년대에 들어와 가르치는 행위로서 `교수`라는 용어는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둘째, 1890년대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사전에서는 teach와 instruct, educate, elevate, edify등을 개념적으로 엄밀하게 구분하지는 않았다. 셋째, 헤르바르트 교육학이 소개되고 독일어 `Erziehender Unterricht`이 교육적 교수로 번역되면서, 지식 전수를 위한 `교수` 개념은 `교육` 개념과 구분되게 되었다. 넷째, 우리나라에서 서양의 `교수` 개념은 지적도야 이외에 심신의 수양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되면서, 궁극적으로 교육과 구분하기 어렵게 되었다. 비록 교수와 교육은 구분되었지만, 한국의 교육적 전통으로 말미암아 교수는 교육과 유사한 개념으로 종종 사용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Kyo-Su(敎授)` in modern Korea conceptual-historically. In general, the word `Kyo-Su(敎授)` means people who teach in universities - that is, `professor` - but has another meaning which is `teaching`, in contemporary Korea.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at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word `Kyo-Su(敎授)` was more used as the noun of `teacher` or `professor` than the verb `teach` or `instruct` in Joseon Dynasty. But it was widely used as a verb since 1880. Secondly, there is no strict discrimination between the words `teach`, `instruct` and `educate` etc., in the Korean-English Dictionary in 1890. Thirdly, the concept of `instruct` was differentiated from `educa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Herbartianism, especially the word `Erziehender Unterricht` which translates to educational instruction. Fourthly,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 concept of `instruction` and `education`, because the western concept of instruction includes the cultivation of knowledge as well as the body-mind cultivation. So `Kyo-Su(敎授)` has been used as a distinct meaning from `Kyo-Yuk(敎授)`, but as a similar meaning to `education` until now, owing to the Korean educational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