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주의로 본 의경(意境), 그 감각의 시작

        김자림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3 No.-

        이 논문은 생태주의와 의경(意境)에서 공통적으로 논의되는 감각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하여 감각의 절제보다는 감각의 확장을 제시하고 있다· 감각의 확장이란 기존의 감각들이 욕망의 측면에서 배제 또는 극복의 대상이었던 점과는 달리 감각의 기능적 측면에서 배양의 대상으로 거듭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 초점이 있다· 생태주의 입장에서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이 논의하는 감각은 ‘생태적 자기(ecological self)’가 자기실현을 위해 자연과의 동일시 과정에서 사용하는 생물학적 뿌리에 기인하는 우리의 의식을 말한다· 그리고 意境에서 논의하는 감각은 意境이 발생하는 데 필수적인 象을 생성하는 기반으로 촉발(觸發)이라는 양상을 통해 우리의 의식을 외부세계에서 내면세계로 이끄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심층생태학과 意境에서 감각이 작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감각은 기존의 고정된 감각에서 탈피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특징은 인간의 다섯 감각중에서 중심이 되는 시각으로부터 시간차를 두고 발생하는 다른 감각들[청각· 미각·후각·촉각]을 찾아 살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형태에서 물질로 이행하는 감각의 행보를 탐색하고 재정립하는 것이다· 그리고 필자는 소식(蘇軾1037∼1101)의 『寶繪堂記』에서 부분 인용된 『老子』 12장_五色令人目盲, 五音令人耳聾, 五味令人口爽· 馳騁獵令人心發狂을 통해 감각의 확장을 모색한다· 本文主要探討如何使用在生態主義和意境理論中共同談論的“感覺”的問題,就此問題,本文主張的是感覺的擴張而不是感覺的節制。現有理論中感覺更多地是屬於欲望層面,是應排斥或克服的對象,但是本文將焦點放在從感覺功能的層面上觀察作爲培養對象的感覺。 從生態主義觀點而言,深層生態學(deep ecology)中所談論的感覺是指“生態自我(ecological self)”爲實現自我將自我與自然合而爲壹的過程中所啓動的根植於生物學的壹種意識。령外,就意境理論所談論的感覺而言,타是生發意境的象所産生的基礎,其作用就是通過被觸發的過程將我們的意識從外部世界引向內心世界。觀察深層生態學和意境理論中感覺發揮其作用的過程,可以發現此時感覺具有從過去固定的感覺中擺脫出來的特征。此特征就是擺脫人的五種感覺中屬於中心地位的視覺,擴展到在與視覺不同的時間點上産生的령外四種感覺(聽覺、味覺、嗅覺、觸覺)。換言之,本文探索感覺從形態移至物質的過程,倂對此進行再定義。爲此,筆者通過分析蘇軾(1037~1101)的《寶繪堂記》中部分引用的《老子》第十二章“五色令人目盲, 五音令人耳聾, 五味令人口爽. 馳騁獵令人心發狂”這壹部分內容,來探討感覺的擴張。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활동공중 이해를 위한 촛불집회의 문화적 의미 고찰

        김자림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4

        The candlelight vigil is a nonviolent collective action by Koreans to communicate with the government. Although they have political goals, candlelight vigils are represented as cultural events. However, despite its importance in Korean society, it is unclear how Koreans perceive the cultural meaning of the candlelight vigil.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s the cultural meaning of the candlelight vigil, ultimately aiming to extending th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ctive public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47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of 2008 and 2016 candlelight vigil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candlelight vigil has cultural meanings of festivity, humor, and self-expression.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촛불집회는 한국 사회에서 국민들의 뜻을 비폭력적으로 전하는 상징으로 자리잡아왔다. 촛불집회는 문화적 행사라는 명목으로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시작되었다. 이렇듯 명목상 문화제로 시작되었던 촛불집회가 실제로 사람들에게 어떠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는지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촛불집회 참가자들이 촛불집회에 어떠한 문화적 의미를 부여하는지 탐색해보고, 이를 통해 활동공중에 대한 이론적 틀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2008년과 2016년 촛불집회를 통해 총 47명의 촛불집회 참가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분석 결과, 촛불집회는 축제, 해학, 개인의 자유로운 표현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활동공중의 이론적 접근에 대한 논의 및 향후 연구 제언이 이루어진다.

      • KCI등재

        친수공간으로서 도심하천의 활용을 위한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 제주시 한천 및 오등봉공원 민간특례사업을 중심으로 -

        김자림,박정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lternatives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so that urban residents can experience Jeju Island's streams. Among the 17 streams in the Jeju-si, Hancheon, the most suitable stream as a 'good waterfront space', its surroundings, and the related plan including Hancheon are the objects of this study. The architectural guidelines – for creating a water-friendly space, architectural layout and design techniques - in the form of points, lines, and planes, were used as a analysis and evaluation tool. The architectural alternative proposal regarding the item unsatisfied with the guidelines was drawn up. For the Point element, alternative proposal to enhance accessibility, connectivity to the waterfront of public space, for the Line element, such as linkage between spaces, public transportation connection, and linear arrangement of building's outside spa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Plane element, to enhance the sense of open and place along Hancheon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