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특성: 만4세 일반유아와의 비교

        김자경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umber sense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lower grade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first and seconde grades, and 65 preschoolers at age 4 as a comparison group. The number sense test developed by Kim et al. (2018)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individually.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 hoc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number sense were compared between students with mild ID and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The students with mild ID showed lower levels of number sense than those of preschoolers on the total score and sub-area scores. Second, the comparison group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 total score of the number sense test, then the differences among those four groups and mild ID group were analysed on the total and sub-area scores. The total score of the mild ID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schooler group below 25th percentile. Regarding to the sub-areas of the number sense, the mild ID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s of the number sense on the areas of number recognition, quantity discrimination, and measure. On the area of counting,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schooler group below 25th percentile, while on the areas of the pattern and the number transformation,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schooler group below 25th percentile and the preschooler group in the low 26th∼50th percentile.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preschooler group above 76th percentile on the areas of the computation and the estimation, but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hree preschooler groups. On the areas of the missing number and the number meaning,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mild ID group and the preschooler group above 76th percentile, but the scores of the mild I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hree preschooler groups.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kip counting among five groups, no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Scheffé post hoc test. In conclusion, the number sense of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D was lower than that of the four-year-old preschoolers, and lower than or similar to the preschoolers below the 25th percentile in some sub-areas of number sens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need for continuos and systematic number sense instruction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mild ID in the early grades.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특성을 만4세 일반유아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지역에 소재한 다섯 개 초등학교와 한 곳의 사설치료실에 대상을 의뢰하였으며, 부모의 동의를 얻어 총 15명의 지적장애 아동을 선정하였다. 비교 대상은 두 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65명이며, 이들은 수감각 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백분위 76이상, 백분위 51∼75이하, 백분위 26∼50이하, 백분위 25이하)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김자경 외(2018a)가 개발한 수감각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별검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일반유아에 비해 수감각 총점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집단과 수감각 수준별 유아집단을 비교한 결과, 경도 지적장애 아동집단은 수감각 총점이 백분위 25이하 집단을 제외한 다른 유아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인식과 수량변별, 측정 영역에서는 모든 수준별 유아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수세기 영역에서는 백분위 25이하 집단과, 규칙과 합성분해 영역에서는 백분위 25이하 및 백분위 25∼50이하 유아집단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셈하기와 어림 영역은 백분위 76이상인 유아집단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지만 다른 유아집단들과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빠진 수 넣기와 수의미 영역에서는 백분위 76이상의 유아집단과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유아집단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뛰어 세기 영역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나, 지적장애 아동집단과 모든 유아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종합하건데,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수준은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비교한 일반유아에 비해 낮았으며, 하위 영역에 따라서는 백분위 25이하의 유아집단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에게 수감각 교육이 필요함을 입증해주며, 이를 위한 방안에 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가면역간염의 치료

        김자경 대한소화기학회 202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81 No.2

        Autoimmune hepatitis (AIH) is a chronic liver disease, characterized by elevated levels of transaminases, immunoglobulin G, and positive autoantibodies. The disease course is dynamic and presents heterogeneous disease manifestations at diagnosis. This review summarizes the issues regarding the treatment and monitoring of AIH in adult patients. Glucocorticoids and azathioprine are the first line of treatment. Alternative first-line treatments include budesonide or mycophenolate mofetil (MMF). Although n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ave been performed, MMF, cyclosporine, tacrolimus, 6-mercaptopurine, 6-thioguanine, allopurinol, sirolimus, everolimus, infliximab, or rituximab have been attempted in patients not responding to or intolerant to first-line treatments. Most patients require life-long special monitoring, with or without maintenance treatment.

      • KCI등재

        리사이클(Recycle) 디자인 제품의 브랜드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김자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1

        산업화에 의해 발생되는 폐기물은 해마다 늘어나고 그 종 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폐기물 처리를 위한 경제적 손실이 늘 고 있는 현재, 버려진 자원의 재활용(Recycle)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이슈화되고 있다. 이러한 인문, 사회, 문화적 움직임은 여러 방면에서 버려진 물건을 재활용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가벼운 리폼(Reform)의 개념에서부터 자재를 녹이거나 재합성하여 신소재 개발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서 많은 시도를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리사이클 디자인 산업은 ‘아나바다’ 운동과 ‘헌물건가게’로재사용산업이주축이되고 주소비자층이 중·장년층에 국한되어 시장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극히 미미 하다. 이에 본 연구는 리사이클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소 비자층을 겨냥한 리사이클 디자인 브랜드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실질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 해 현재 리사이클 디자인 현황과 국내·외 리사이클 디자인 브 랜드 사례를 분석하여 차이점을 파악하고 전략적으로 리사이 클 브랜드를 개발하기 위한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와 해외 대표적인 리사이클 브랜드를 선정하 여 각 브랜드의 특성을 분석하고, 브랜드 제품의 제품적 특성 과 서비스적 특성을 중심으로 평가 체크리스트 표를 통해 비 교 분석함으로 국내 리사이클 브랜드 전략의 문제점을 제시 하고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The waste material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increas e from year to year and the kinds of them are diversifyin g. Economic losses for waste disposal are increasing no w, the attention and effort for the recycling of discarded resources became a big issue. These humanistic, social a nd cultural movements created the condition that can ma ke a positive evaluation of recycling discarded goods in many ways. Due to these movements, wastes are being widely recycled in a way from simple reform to develop ment of new materials. However, the impact of domestic recycle design industry on market economy is extremely small because reuse industry such as 'anabada' moveme nt and 'old stuff store' is the main of its recycle design industry and the major consumer of this recycle design industry is limited to the middle-aged.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of the development of recycle design brand for various consumers to vitalize re cycle industry, and proposes practical ways to activate it. To achieve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of recycle design and the cases of foreign and domestic recycle design brands so finds the difference among them and suggests the encouragement strategy for tactical dev elopment of recycle brand.Therefore, we presented the pr oblems of the domestic recycling brand strategy and the requirements to improve it by selecting the domestic and overseas representative recycling brands and analyzing t 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d and comparing their char acteristics by assessment checklist focused on the bran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duct and service.

      • KCI등재

        연령대별 발달을 고려한 아동용 학습 가구 유형 및 개발 방향 연구

        김자경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6

        In recent years, the market for children's furniture has grown every year, especially, as parents' attention is concentrated on study furniture, various brand study furniture are being released centering on desks and chairs. However, products focused on study furniture for junior, rather than products of various age groups, are dominant.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emotional and emotional developmental aspects of children by age group and conducted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ideal study furniture for each age group taking into account the complex and integrated dimension such as stability. In order to derive appropriate types of children's study furniture for each age group, From the age of two to begin using study furniture, we classify children aged 2-3, 4-5, 6-7 as infants and 8-9, 10-11, and 12-13 as students. We identified children's development, behavior, play, emotional factors, and study furniture safety design elements and quality standards and used it as a study furniture design standard.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roduct type by dividing the type of furniture marketed by 51 domestic companies and 53 overseas companies into infant and student furniture, and derived the type of study furniture by integrating it with its furniture design considerations. Based on this, we finally propos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long with the type of study furniture design, focusing on the check element for developing appropriate learning furniture for each age group, focusing on the home desk, chair, and bookcase. 최근 들어 아동용 가구시장은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공부를 잘하기 바라는 부모들의 관심이 책상과 의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브랜드의 학습 가구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연령층의 제품보다는 주니어를 위한 학생용 가구를 중심으로 학습기능만 강조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령대별 아동의 발달과 행태, 정서와 감성 발달 측면을 고려하고 안정성과 친환경성 등 복합적이고 통합적 차원을 고려한 연령대별로 이상적인 학습가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령대별로 적합한 아동용 학습 가구 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학습가구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2세부터 유아용은 2-3세, 4-5세, 6-7세로 학생용은 8-9세, 10-11세, 12-13세로 연령대를 구분하여 학습가구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아동 발달, 행태, 놀이, 감성 요소와 학습가구 안전 설계 요소와 품질 기준을 체크하여 가구 설계기준을 삼았다. 그리고 국내 51개 업체와 해외 53개의 회사를 중심으로 시판 되는 가구 유형을 유아용과 학생용 가구로 구분하여 제품 유형을 분석하여, 앞에 도출된 가구 디자인 고려조건과 통합하여 학습가구 유형 도출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연령대별로 적합한 학습가구 유형도출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색채와 재료, 디자인 개발 방향, 기본 도출유형을 책상, 의자, 책장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수학학습장애 아동의 연산 전략 발달 연구 -생활연령과 수학능력을 일치시킨 집단과의 단순 덧셈, 뺄셈 전략 비교-

        김자경,정남용,김기주,임은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수학학습장애(mathematical disabilities, MD) 아동의 단순 덧셈, 뺄셈에서의 전략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생활연령(chronological level, CA) 일치 집단과 수학능력(ability-level, AL) 일치 집단과 비교․연구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일반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수학학습장애 아동(MD) 2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아동(CA) 25명, 2학년 수학능력이 일치하는 아동(AL) 25명, 총 75명이 참여하였다. 수 세기(counting on), 수 가르기(decomposition), 회상(retrieval)의 세 가지 전략이 그림으로 표현되어 있는 36문항의 단순 덧셈, 뺄셈 문제를 제시한 후, 학생에게 전략을 선택한 후 문제를 풀게 하여 전략 분배와 전략 실행의 효율성, 연산능력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전략인 회상 전략만을 사용한 CA집단과는 달리 MD집단 아동은 회상전략과 더불어 하위수준의 전략인 수 세기와 수 가르기 전략도 꽤 많이 사용하였다. AL집단 아동과의 비교에서도 회상전략을 다른 전략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였다. 전략 효율성에서는 다른 집단과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순 덧셈 및 뺄셈에서의 연산능력에 있어서는 MD집단 아동이 다른 두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지만, 실제 점수 차는 그리 크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수학학습장애 아동은 전략의 효율성 및 수 사용하는 전략 수준에 있어서는 발달상의 지체를 보이지만, 단순 덧․뺄셈 능력에서는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해양가스전 생산시스템 설계 시 고려할 유체 특성: 서호주 가스전 사례 연구

        김자경,서유택,임종세,양동우,장대준 한국자원공학회 2013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0 No.3

        This paper discusses the effect of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produced fluids on the design of offshore gas-condensate production system. The status of Western Australian gas projects is reviewed along with the expected composition of natural gas from offshore wells. NWS, Pluto, and Gorgon projects in Carnarvon Basin are reviewed and then Browse and Ichthys projects in Browse Basin are reviewed as well. It is noted that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natural gas from Gorgon wells is 14.0 mol%,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gas wells in Carnarvon basin. When selecting the field development concept, it needs to consider the product, reservoir production strategy, surface production facilities, and production rate. This paper details each topics considering the status of Western Australian gas fields. During the design of offshore production facilities flow assurance issues has to be considered. Among various issues of flow assurance, hydrate, wax, and corrosion are discussed in this paper along with the detailed design modification in one of Western Australian offshore gas fields. 이 논문에서는 천연가스 생산을 위한 해양 플랜트 설계과정에서 생산 유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서호주 지역에서 진행 중인 가스전 프로젝트들의 진행상황을 살펴보고,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조성을 통해 생산 유체의 특성을 논하였다. Carnarbon Basin의 NWS, Pluto, Gorgon 프로젝트를 살펴보고, 이어서 Browse Basin의 Browse와 Ichthys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Gorgon 가스전의 경우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4.0 mol%로 가장 높았으며, Browse와 Ichthys 가스전도 각각 9.8, 8.5 mol%로 높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분리 및 주입 프로젝트가 별도로 진행 중이다. 가스전 개발을 계획하는 단계에서의 고려 사항과 생산 시스템 설계에서 유동안정성 확보를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을 함께 고찰하였다. 하이드레이트와 왁스, 부식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실제 가스전 설계에서 해당 문제들을 해결하기위해 적용된 설계 사례를 고찰해보았다. 모든 서호주 가스전에서 하이드레이트 문제로 인해 MEG 주입 및 재생 공정이 생산 시스템에 추가되었으며, 왁스의 경우에는 특정 가스전에서만 문제시 되는 경향이 있다. 부식의 경우 천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경우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식억제합금을 배관에 적용하고 있다.

      • KCI등재

        해외 실외 놀이터 놀이기구 제품 현황 및 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김자경 한국가구학회 2023 한국가구학회지 Vol.34 No.1

        The most important thing to help children develop is to let them play well.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and absolutely necessary to create an outdoor playground that children like and can enjoy various games and activi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where children can play happily by securing diversity of play equipment according to age group and playground lo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obtain the diversity of amusement equipment and design idea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overseas play equipment. To this end, various design types of play equipment were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status and products of famous overseas play equipment brands and companies. Accordingly, 20 overseas companies that produce and sell outdoor play equipment were selected, and all products introduced on the currently operated homepage and catalog were investigated in 13 types. As a result of the survey, 34.2% of all rides were combined, other rides 12.28%, climbing 11.69%, crossing 8.12%, rocking rides 6.88%, swing 6.02%, slide 5.13%, eco-friendly rides 4.95%, space net 4.36 %, spinning rides 4.08%, water rides 1.01%, aerial rides 0.8%, jungle gym 0.22%. As a result, a lot of combined playgrounds are being produced, but various other rides are being developed, and it can be seen that various types of climbing rides, crossing rides, rocking rides, swings, and slides are also being developed. In the detailed design type, playground equipment for school age a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playground equipment for the disabled considering all generations was investigated in swings, slides, aerial rides, rocking rides, and spinning rides.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various types of play equipment considering various generations are being developed rather than being developed in a concentrated manner on one play equipment. By systematizing the detailed types of the representative basic 8 types of play equipment, the currently produced product types were derived and the types that had not yet been developed were check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identify product types that were not designed for each detailed type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design ideas when developing play equipment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the main basic data when developing designs to secure diversity in domestic outdoor playgrounds, children's playgrounds, and play equipment in the future. .

      • KCI우수등재

        영국 1834년 신빈민법 제정과 생계부양권리

        김자경 한국서양사학회 2022 西洋史論 Vol.- No.153

        This paper examines the strategic role of the 1834 Poor law Commission Report that became the basis for the enactment of the Poor Law Amendment (New Poor Law) in 1834. While the debate over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Old Poor Law rose after the Napolean Wars, it did not reach any fruitful resolution until the New Poor Law came into effect. This was due to landlords’ management of the poor relief in their local provinces in the form of paternalism, which culminated in a state where the poor relief was intertwined with customary traditions, thus making the poor-law reforms even a more challenging problem. As the 1834 Poor Law Commission Report was essentially a proposal suggesting an overhaul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of poor relief to the landlords with various backgrounds in this field, it needed to avoid sensitive issues such as ideological debates that landlords would be reluctant to consider. As such, the report did not touch upon issues of the financial problems of the administration, the landlords’ authority in the local administration of poor relief, or the cause of the poverty among the laborers. Consequently, the report could propose a reform that reflected the interests of landlords without undermining their authority. The report was enacted as the New Poor Law with overwhelming support in Parliament. This falls in line with A. Brundage claims that the New Poor Law obtained its continuity as a follow-up to its predecessor through upholding landlords’ authority in the administration of poor relief. Still, the report strongly criticized how the laborers’ right to subsistence was heavily dependent on the paternalistic management by the landlords and proposed the principle of less-eligibility to get rid of the right to relief. The New Poor Law distinguished poverty from indigence, declaring that the able-bodied have no right to relief. Therefore, in this aspect, the New Poor Law embodies discontinuity from the Old Poor La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wer class. 본 논문은 1834년 신빈민법 제정에 기초가 된 『1834년 보고서』의 전략적 역할을 살펴보면서 신빈민법의 제정 목적을 고찰하려 한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빈민법 폐단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면서 신빈민법 제정에 이르기까지 빈민법 폐단에 대한논의만 분분할 뿐 실제적인 개혁안이 나오지 않았다. 그것은 지주들이 온정주의 통치 방식으로 지방의 빈민구제를 관리하여 왔고, 그 결과 빈민구제가 관습과 얽혀져서 빈민법 개혁은 상당히 까다롭고 어려운 문제였기 때문이다. 『1834년 보고서』는 빈민 행정에서 다양한 경험과 이해 관계를 지닌 지주들 앞에 던져질 개혁을 제안하는 보고서였기 때문에 이데올로기적 논쟁이나 지주들이 꺼려하는 민감한 요인들을 피해야만 했다. 보고서에는 빈민 행정의 재정문제, 지방빈민 행정에서의 지주들의 권한 문제, 노동자들의 빈곤의 원인에 관한 분석이 없었다. 따라서 『1834년 보고서』는 지주들의 권한을 훼손하지 않고 지주들의 이해를 반영하는 개혁안들을 보여줄 수 있었다. 『1834년 보고서』는 의회에서 압도적 다수로 지지를 받아 신빈민법으로 제정되었다. 이런 점에서 브룬디지의 주장처럼빈민행정에서 지주 권한이 지속됨으로써 구빈민법과 신빈민법은 지속성을 보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834년 보고서』는 지주들의 온정주의 빈민행정 속에 얽혀있는 노동자들의 생계부양 권리를 강하게 비판하였고, 이를 제거할 수 있는 구제 원칙인 열등처우 원칙을 제안하였다. 신빈민법은 빈곤과 극빈을 구분하여 빈곤한 근로능력이 있는 노동자는 구제받을 권리가 없다고 선언하였다. 따라서 신빈민법은 아래로부터의 시각에서 보면 구빈민법과 단절성을 보인다.

      • KCI등재

        편의점도시락의 서비스스케이프가 브랜드 이미지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장인을 중심으로

        김자경 (사)한국조리학회 2020 한국조리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brand image and repurchase intention as perceived by convience store lunch-box consumers and employed people. Online survey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consumers who are employed and have experienced in the convenience store lunch box. Total 300 participants were collected, and 250 data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checking outliner test and unfaithful repling. Results have shown that three elements of servicescape: function, conveinece, and attraction, have partially influnced on brand image. Namely, the convience and attr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rand image, but the function was not signifcant factor. In addtion, this study verified the critical relationships among servicescape of convenience store lunch box and repurchase intention. All three factors of servicescape have significantly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Last, current study has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re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 for developers or companies of convenience store lunch box especially for employed consumers.

      • KCI등재

        아동용 목재 가구 재료 및 마감법에 따른 친환경성 연구

        김자경 한국가구학회 2019 한국가구학회지 Vol.30 No.4

        As children’s furniture i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e market for wooden furniture products using wood is increasing. However, wooden furniture does not guarantee environmental friendliness. There are various types of wood furniture and various processing methods. So even if the raw materials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ey can contain harmful substances such as adhesives and finishes during the processing. However, it is difficult for real consumers to grasp the effect of furniture on indoor spa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checked how much harmful substances are discharged according to wood and surface finishing methods that are used for eco-friendly wooden furniture for children.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ve emission of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the finishing method of each wood material were derived by using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rather than the chamber method or the three-dimensional method of measuring the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by each wood plate material. The test materials include 2 ash and maple wood among the wood used in children's furniture, 3 cypress, cedar and pine wood laminated board, 1 natural birch plywood, 1 MDF, 1 PB (particle board) and 1 general plywood. These materials were used as the main raw materials, an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measuring formaldehyde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which are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various finis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