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과 예술작품에 나타난 장소와 색에 관한 연구

        김일석,조철호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5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5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a certain space could be changed into a precious memorable place through experiencing special colors, and, with that observation, to look for the meaning of those places according to the time lin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environment and the identity of the memories are formed. This study includes the installations and the sculptures of the specific spaces and the structures in the urban places. First of all, the paper will analyze the artificial nature installation and Olafur Eliasson’s work. For the sculpture part, this paper will talk about works of the famous American minimal sculptor, Richard Serra. Moreover, architecture will be analyzed through Guggenheim Museum Bilbao of the deconstructivist architect, Frank Gehry. After all, the places could form more specific atmosphere and identity through experiencing the colors. Therefore, they are more likely to be remembered, and this could be observed through different architecture and artworks analyzed in this study.

      • 브랜드 돼지고기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김일석,진상근,송영민,하경희,류현지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3

        경남 진주 소재 대형유통매장에서 유통경과일자가 비슷하고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5개 회사 제품(Ha, E, H, J, P)의 냉장돈육 목심을 구매하여 과도한 지방과 결체조직을 제거한 후 육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성분은 지방 함량이 높은 처리구들이 수분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Ha와 H 브랜드 돈육은 정상육의 pH를 나타내었으며, P 브랜드 돈육은 PSE육에 다소 가까웠으며, E와 J 브랜드 돈육은 PSE 육으로 판단되었다. pH가 낮은 브랜드육들이 가열감량이 높게, 보수력은 낮게 나타났다. E 브랜드육의 L〈sup〉*〈/sup〉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Ha와 H 브랜드육의 L〈sup〉*〈/sup〉 값은 다른 브랜드육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a〈sup〉*〈/sup〉 값은 Ha, H, J 브랜드육이 높게 나타났으며, b〈sup〉*〈/sup〉 값은 Ha와 P 브랜드육이 낮게 나타났다. Ha와 J 브랜드육이 관능검사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방산 조성은 J 브랜드 돈육이 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다가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E 브랜드 돈육의 linoleic acid(Cl8:2)와 arachidonic acid(C20:4) 함량은 다른 브랜드 돈육보다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사후 저장기간에 따른 계육 근원섬유단백질의 추출성과 분해도

        김일석,진상근,민중석,신대근,허선진,하경희,이무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7 No.1

        The pH value of both muscle stored at 4oC gradually fell during postmortem storage and that of breast and leg muscle reach to 5.9 and 6.0, respectively. While, that of the chicken muscle stored at 30oC decreased rapidly from 6.8 to 5.6 in breast muscle and 6.9 to 5.7 in leg muscle. After 4oC 8 hours of slaughter, ultimate pH value was attained. No appare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extractability of myofibrillar proteins during 12 hours of storage at 4oC and the first 2 hours of storage at 30oC But, after 2 hours of postmortem storage at 30oC the extractability decrease rapidly. The change occuring in the myofibrillar protein of both muscle during postmortem storage was the gradual degradation of troponin T. The relative weight of troponin T in the myofibrillar proteins extract decreased during postmortem aging. Myofibrils from pectoralis major and adductor longus muscle aged at 30oC (higher storage temperature) illustrated the disapperance of troponin T are caused by the action of endogenous proteolytic enzymes during the storage of the chicken meat. 30,000 dalton component from chicken muscle during the postmortem storage at 4oC and 30oC,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simultaneous increment of a 30,000 dalton component during postmortem storage in myofibrils isolated from leg and breast muscle. the change occuring in the myofibrillar proteins of chicken muscle during postmortem storage was the gradual degradution of troponin T and the increment of the 30,000 dalton component.

      • KCI등재

        AWS Lambda Serverless Computing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딥러닝 기반 이미지 인식 서비스 시스템

        이현철,이성민,강석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9 No.6

        최근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의 발전에 따라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분야의 이미지 인식 성능이 향상되고 있으며, 또한 Serverless Computing이 이벤트 기반의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서비스를 위한 차세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로 각광받고 있어 딥러닝과 Serverless Computing 기술을 접목하여 실생활에 이미지 인식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erverless Computing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딥러닝 기반 이미지 인식 서비스 시스템 개발 방법을 기술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Serverless Computing 기반 AWS Lambda Server를 이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대형 신경망 모델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AWS Lambda Server의 단점인 Cold Start Time 문제와 용량제한 문제를 해결하여 효과적으로 대형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는 Serverless Computing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을 보인다. 실험을 통해 AWS Lambda Serverless Computing 기술을 활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이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처리 시간 및 용량제한 문제를 해결하여 대형 신경망 모델을 서비스하기에 효율적인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Recent advances in deep learning technology have improved image recognition performance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and serverless computing is emerging as the next generation cloud computing technology for event-based clou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services. Attempts to use deep learning and serverless computing technology to increase the number of real-world image recognition services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how to develop an efficient deep learning based image recognition service system using serverless computing technology. The proposed system suggests a method that can serve large neural network model to users at low cost by using AWS Lambda Server based on serverless computing. We also show that we can effectively build a serverless computing system that uses a large neural network model by addressing the shortcomings of AWS Lambda Server, cold start time and capacity limitation. Through experiments,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system, using AWS Lambda Serverless Computing technology, is efficient for servicing large neural network models by solving processing time and capacity limitations as well as cost reduction.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울금 추출물 함유 저지방 소시지의 냉장저장 중 품질 특성

        김일석,진상근,박기훈,정기종,동훈,양미라,정영신,Kim, Il-Suk,Jin, Sang-Keun,Park, Ki-Hoon,Jeong, Ki-Jong,Kim, Dong-Hoon,Yang, Mi-Ra,Chung, Young-Si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3

        울금 추출물을 0, 2.5 및 5.0%를 첨가하여 제조한 저지방 소시지를 냉장 저장시키면서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울금 추출물의 첨가에 의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처리구의 조지방 함량, pH 및 TBARS 값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p<0.05), 저장 전 기간 동안 대조구와 처리구 간 보수력, 가열감량, 전단가, 육색, 조직감 및 총균수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2.5% 투입한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받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울금 추출물은 지방산화 억제 및 관능적 측면에서 2.5% 첨가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curcumin extract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were studied. Sausage products were produced with three different formulations including 0%, 2.5%, and 5.0% curcumin extract. Low-fat sausages made with the addition of curcumin extract had lower (p<0.05) crude fat content, pH and TBARS values than the control sample. The addition of curcumin extract did not affect the water 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shear force, meat color, texture profile, and total bacterial count in low-fat sausages duringstorage (p>0.05). With regard to sensory evaluation, 2.5% curcumin extract added to low-fat sausages resulted in a high overall acceptability (p<0.05). In conclusion, low-fat sausages with added 2.5% curcumin extract had a higher acceptability and lipid oxidative stability during storage than products without curcumin extract.

      • KCI등재

        솔잎, 깻잎 및 녹차분말이 함유된 유화형 소시지 품질특성

        김일석,진상근,하경희,류현지,박기훈,Kim, I.K.,Jin, S.K.,Hah, K.H.,Lyou, H.J.,Park, K.H. 한국축산학회 2005 한국축산학회지 Vol.47 No.4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인 솔잎분말(T1), 깻잎분말(T2), 녹차분말(T3)을 각각 0.4% 첨가하여 제조된 유화형 기능성 소시지를 $9{\pm}1^{\circ}C$에서 40일간 저장하면서 10일 간격으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는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보수력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저장 40일 보수력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경도, 씹힘성, 검성과 파쇄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BARS는 저장 1일에는 T3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40일에는 T1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육색은 T2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들은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이 다소 감소하였고, a*값은 대조구가 가장 높게, T2와 T3는 월등히 낮게 나타났다. 잔존 아질산염은 저장 전 기간 동안 법적 규정이내를 유지하였다. 저장 40일차에 대조구가 가장 높은 유산균수(107CFU/g)를 나타내어 모든 처리구들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30일차까지 C가 5.5-6.5, T1은 4.8-6.0, T2는 4.8-5.8, T3는 4.3-4.8 범위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들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육제품 생산 시에는 솔잎, 깻잎, 녹차분말의 첨가수준이나 첨가형태 및 사용되는 향신료 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functional material(T1; pine needle powder, 0.4%, T2; perilla leaves powder, 0.4%, T3; green tea powder, 0.4%)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The samples were stored at $9{\pm}1^{\circ}C$ for 40 days and analyzed with an interval of 10 days. The pH of all emulsion-type sausages in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Water holding capacity(WHC) of all treatments were slightly in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and rapidly decreased on 40 days of storage. In texture analysis,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were increased with storage in all treatments group. TBARS values of T3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at 1 days of storage, while that was the slightly higher in T4 at 40 day of storage. The L* values was decreased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a* values was highest in C, while it was the lowest in T2 and T3. The residual nitrite content of all samples were in very safe range during the whole storage period. During the storage period 40 days, the Lactobacilli spp. of C were higher($10^7$CFU/g) than those of 3 treatments. In sensory evaluation, the score of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r in the order of C(5.5-6.5)>T1(4.8-6.0)>T2(4.8-5.8)>T3(4.3-4.8). In the manufacture of functional sausage containing pine needle, perilla leaves and green tea powder, further studied are needs on addition type/ratio of functional materials and the use of added spices.

      • KCI등재후보

        삼점검사 및 척도묘사분석을 이용한 국내산 및 수입산 목심의 관능적 품질특성

        김일석,신대근,민중석,이상옥,장애라,진상근,이무하,Kim Il-Suk,Shin Dea-Keun,Min Joong-Seok,Lee Sang-Ok,Jang Aera,Jin Sang-Keun,Lee Mooha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4 No.4

        국내 시장에 유통중인 국내 및 수입산 냉장ㆍ냉동 목심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6종의 수입산 및 국내산 냉장ㆍ냉동 목심을 구입하여 연령 및 성별로 구분된 60명의 관능검사요원을 대상으로 조사ㆍ분석하였다. 제품의 외관평가 조사결과, 소비자들은 지방색 및 지방부착도에서 높은 선호 경향을 나타낸 국내산 냉동 목심 A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척도 묘사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령별 기호도 조사에 의하면 젊은 층인 20대의 소비자들은 국내산 냉장 목심 A를 30대와 40대의 소비자들은 북미산 냉동 목심 A를 가장 선호하였다. 삼점검사법을 이용한 외관 및 조리육의 식별 특성 조사에 있어서는 국내산 냉동 목심 B와 북미산 냉동 목심 A의 조합에서 가장 높은 식별강도를 나타내었다(p<0.001). To evalu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or imported chilled and frozen pork butts, six samples were purchased and investigated. Sixty panels of sensory evaluation were consisted of six groups by sex and age. In the appearance test, many panels preferred the domestic frozen butt A obtained good scores in fat color and fat attachment (p<0.001). In the age group, the 20's consumer preferred the domestic chilled pork butt of A company, whereas the 30's and 40's consumers preferred the imported frozen butt of A company.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triangle test, the combinations of domestic frozen butt B and imported frozen butt A was the most significantly distinguished among the pairs of raw and cooked but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공조건이 Pork Cutlet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일석,민중석,이상옥,장애라,동훈,진상근,이무하,Kim Il-Suk,Min Joong-Seok,Lee Sang-Ok,Jang Aera,Kim Dong-Hoon,Jin Sang-Kuen,Lee Mooha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국내산 냉동 및 냉장 등심의 가공조건을 달리하여 Pork cutlet를 제조하고 물리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국내에서 비선호 부위인 냉동 등심의 외식용으로서의 소비 확대를 꾀하고자 수행되었다. Pork cutlet원료용 돼지고기 등심은 냉장육(T1), 염지 및 마사징처리 냉장육(T2), 염지 및 마사징처리 냉동육(T3), 냉동육(T4), 마사징처리 냉동육(T5)으로 처리조건을 달리한 후 Pork cutlet를 제조하여 물리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보수력 측정 결과, 모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냉장육인 경우에, 염지와 마사징 처 리(T2)가 무처리구(T2)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처리구간 T4가 가장 낮은 보수력을 나타내었다. 육색 측정 결과 냉장육의 경우 처리구간 L$^{*}$ 값, a$^{*}$ 값 및 b$^{*}$ 값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냉동육인 경우 L$^{*}$ 값은 T3 및 T5 처리구가 T4 처리구보다 높았고, b$^{*}$ 값은 T5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01), a$^{*}$ 값은 모든 처리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냉동육을 염지와 맛사징한 등심을 이용하여 제조한 T3 처리구의 Pork cutlet이 가장 낮은 전단력을 보여 상대적으로 가장 연도가 우수하였고(p<0.001), 무처리된 냉동육을 이용한 T4 처리구의 Pork cutlet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밀가루 반죽과 고기 표면과 분리율은 T4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식별강도는 T1 : T3조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척도묘사분석의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평가된 T4 처리구를 제외한 전 처리구간에서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냉동육만으로 pork cutlet를 제조하면 냉장육으로 제조한 pork cutlet와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에서 큰 차이를 보이므로 냉동육을 염지하거나 맛사징 처리하여 pork cutlet를 제조하면 냉동 돈육 등심의 소비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cutlet produced from chilled pork loin (T1), the cured and massaged chilled pork loin (T2), the cured and massaged frozen pork loin (T3), frozen pork loin (T4), massaged frozen pork loin (T5). Water holding capacity (WHC) of pork cutle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chilled pork loin, WHC of T2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1. T4 showed the lowest WHC among all treatment group. In meat color, CIE L$\^$*/, a$\^$*/. b$\^$*/ values in chilled pork loi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1 and T2. L$\^$*/ values of T3 and T5 were higher than that of T4. a$\^$*/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all treatments. T3 produced through the curing and massaging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tenderness in shear force (p< 0.001), while force value (kg/㎤) of T4 were the highest among all treatments. Separation ratio of wheat dough from pork cutlet was highest (p.<0.001) in T4. In triangle test, T1 : T3 combin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pairs. No differences in acceptability of sensory evaluation were observed among T1, T2, T3, and T5 groups, while the frozen pork showed the lowest (p<0.001) acceptability. In conclusion, pork cutlets from T4 with the curing and/or massaging process showed similar acceptance than those from chilled pork loins, and this treatments may contribute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frozen pork lo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