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천문월령론과 기상절후법의 자료 전개

        김일권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the process of how the monthly order was developed and how the seasonal descriptions were changed over time in ancient Asia. In ancient China, various theories had been attempted to explain the change of seasons, especially in terms of both astronomical and experiential aspects. For example, one year was divided to 12 months according to the lunar and solar calendar, and can be divided to 24 seasonal divisions, and also to 72 seasonal features reflecting 5 days weather change. Since this way of explanation of the year and the season had been changed as time passed, 8 kinds of Chinese books about the monthly order were analyzed in this paper and were compared with Korean calendric system in Koryo Dynasty to examine the cultural change process. As a conclusion, this research reveal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monthly order system and the way of seasonal description which were the basic and fundamental source of seasonal folk customs.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적 자연학의 한 갈래이자 계절의 변화를 천문기상학적 이론으로 접근시킨 고대 월령론이 성립하고 전개되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때 고대 동아시아적 월령론이 정초되는 사상과 이론의 기초로서 천문학과 기상학 관점의 논의를 주목하였고, 특히 계절의변화에 따라 배태되는 자연물의 관찰경험적 지식이 광범위한 물후론으로 성립하는 측면을 드러내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그 계절의 변화론을 천문관측이론으로설명하려는 『상서』 「요전」의 사중성 문제를 살펴보았고, 이를 확대하여 매월의 별자리 관찰과 물후로 연결시킨 『대대례기』 「하소정」의 월령론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진제국의 통일이념서 역할을 하였던 『여씨춘추』 「십이기」에서 비로소 본격적인 1년 12월령 체계가 수립되었고, 이는 전한시기 『회남자』 「시칙훈」과 『예기』 「월령편」으로 계승되었는 바, 이 세 종류문헌에 수록된 구체적인 천문과 물후월령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러는 사이에 월령론은 자연의 계절변화를 설명하는 적합한 이론틀로 인식되고 확산되었으며, 그 끝에 후한대 성립으로 추정되는 『일주서』 「시훈해」는 1년 12월 24절기 체제를 더욱 공고하게 만든 1년 72후법을 처음으로 규범화하고 체계적 설명틀로 수립하였다. 이제 자연의 계절 변화가 매뉴얼화되어 달력이 없더라도 규범화된 각 절기의 물후곧 절후법을 통해 쉽게 자연의 변화를 인지하고 생활 속에서 활용할수 있게 된 것이다. 그 72후의 절후법에는 1년 태양의 변화에 따라 규칙적으로 발생하는기상상태와 동식물의 반응양태가 다분히 경험학적으로 반영되었으므로 이 규범체계의 확산력은 매우 광범위하였다 하겠다. 남북조시대에 들어서 6세기 중반에 반포 사용된 『위서』 「정광력」은드디어 72절후법을 역법의 주요 요소로 평가하여 수록하였으며, 다만』일주서』와는 다른 계통의 72후 체계를 엮어 제시하였다. 이후로 「역지」 계통에는 반드시 72후법을 수록하는 것이 항례가 되었다. 수나라의 <황극력 72후법>이나 당나라 전기의 <인덕력 72후법>은 이를전승한 주요한 흐름들이며, 당나라 중기 <대연력 72후법>은 기존의72후 순서나 내용을 다소 개변하였고, 당나라 후기 <선명력 72후법> 은 이 대연력 계통의 72후법을 전승한 것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가 국초부터 당나라 <선명력>을 수용하여 사용하였으므로, <선명력 72후법>의 이론으로 자연변화를 인식하고 설명하였을 것이다. 고려말에 도입된 <수시력 72후법>은 기존의 72후내용에 약간의 변화를 주었으며, 이 체계가 조선전기에도 습용되어 조선의 학인들이 자연을 인식하는 주요 규범틀로 작용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72후에 기초한 물후월령은 월령론의 천문기상학적 접근이자 전근대시대 자연의 변화를 해석하는 주요 통로로 기능하였다고정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우리로서 그 물후월령을 통해 자연과 동화되고 적응하는 삶을 구가하는 것이며, 이는 달리말하면 우리의 일상생활을 우주론적으로 성화시키는 자연학적 기제가여기에 놓인 것이라 이를 수가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의 논의는 월령자연학으로 열리는 방향이라 하겠다. 조선 후기에 널리 성립하는 각종 세시기 문헌의 세시월령이나 각종시가 작품으로 전하는 월령체 문학 또는 각종 구비전승으로 전개되는민속월령 ...

      • KCI등재후보

        고구려 고분벽화의 도교와 유교적 신화 도상 분석

        김일권 동북아역사재단 200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5

        Although Koguryo mural paintings have lots of Taoist matter except for several Buddhist mural tombs, the studies in view of Taoism are rare in recent Korean studies. At this article, I have an effort to show the meaning and data about Taosit and mythic subjects from mural paintings. Koguryian people considered the ceiling space as a mythic sky, they represented the heavenly host stars, many mythic birds, odd animals and mystical plants, so on. I would like to say the tendency like this was placed in Taoist Bi-sun, namely flying sunnism, which is a Taoist ideal character not dying, flying on the sky. I divide mural imgaes into several morphological classes as follows: the god-human binding type like demigod, anomalous type transformed from actual animal, meaning mythifying type and specialized mythic characters. When I classify the mythic painting images in the view of subject or function, there are civilization deity, mythic strong man, gate guardian deity, safe-guard deity, repulsing wicked deity, medicine deity, long life deity, property and fortune deity, recital deity and mystic decoration pattern, constellation myth of four direction, and os on. Moreover, there are other Confucian mythic animals like the unicorn with virtue politics and golden drag- on with sacred king myth. The studies above are expected to deepen the Taoist aspects about Koguryo mural paintings. 현재까지 발견된 고구려 벽화고분은 불교적 색채가 강한 한두 고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도교적 색채가 짙은 것에 비해 이에 대한 국내 연구가 매우 미진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벽화 속의 도교 및 신화적 제재에 대한 자료 고찰을 도모한 글이다. 고구려인들은 벽화고분의 천장부를 신화적 하늘 공간으로 묘사하여, 일월성수를 비롯한 온갖 선금이수의 신화상들을 수놓았다. 천공을 유영하거나 용이나 봉황을 타고서 악기를 연주하는 다양한 선인들이 여러 신화동식물 속에 어울어져 있어, 천장부 벽화의 주된 지향성이 도교적 비선에 두어져 있음을 보게된다. 이에 도교적 신화도상을 형태적으로 분류하면, 반인반수처럼 사람이 결합된 신인형과 실제 동물에서 변형된 신이형 및 실재하는 동물이지만 의미가 신화화된 상서형 신화동물, 전문화된 의미나 능력을 가진 선인형 신화인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화도상을 주제 또는 기능적으로 분류를 하면, 문명신, 역사상, 수문신, 수호신, 벽사신, 의약신, 수명신, 재복신, 기악선인 등과 장엄장식문, 부상수, 연리수, 연화화생, 사방위 별자리 신화 등을 꼽을 수 있다. 한편 도교로 분류하기보다 유교적 세계관이 강하게 뒷받침되어 있다 여겨지는 대표적인 사례로, 유교 덕치 신화의 기린상, 성왕 정치의 황룡상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처럼 종류와 갈래가 너무 많아 더욱 정치하고 정합적인 신화 만신전은 앞으로 확충하여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이상을 통해 고구려 벽화의 도교적 비선과 천공의 신화 관점을 수립할 수 있는 토대 검토를 하였다는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

      • 한국인의 윷놀이판 바위그림에 투영된 천체우주론적 관점 고찰: 井邑 斗升山 望華臺의 바위그림 자료 소개를 덧붙여

        김일권 한국암각화학회 2004 한국암각화연구 Vol.5 No.-

        In this paper, I have researched into the ancient Korean cosmological diagram what we called the "Yut-nori-pan", that was found at overall sites in South Korea. We think it may be carved in prehistoric period or ancient Three kingdom dynasties in Korea. The shape of Yut-nori-pan diagrams we found by this time in South Korea is all round-shaped having the cross-shape at the center part. There are 9 rock holes in the cross line, and 20 rock holes in the outer round circle. In brief, the Yut-nori-pan consists of one circle and plus sign shape. If we analyze it into several perspectives, it can be made of one center hole and the remnant twenty-eight holes. And if we divide twenty-eight holes four equal parts, each part has seven holes. Having seen such these structures, many past Confucians at Chosun dynasty actually thought the one center hole of Yut-nori-pan symbolized the polaris star and the other twenty-eight holes meant the astronomical twenty-eight constellations. In according to my another analysis, it can be divided into one polaris star and four Big Dipper constellations. As above analyses, ancient Korean rock art, Yut-nori-pan, may be created as the celestial moving model or the astronomical diagram. In my other articles, I suggested that some ancient Korean people would have observed the celestial motions and developed into the Yut-nori-pan diagram. Chosun dynasty's Confucians thought there were an astronomical principle in the playing method, too. So to say, the shortest cut way to the goal after stating means the sun's motion at the winter solstice and the longest way moving entire circuit symbolizes the orbit of sun's motion at the summer solstice. They also believed each two ways of half the circle motion corresponded to vernal and autumnal equinoxes. In addition to above research, I also suggested the new rock arts of Manghwa-Dae recently found at Jungup Doosung Mt. in South Korea succeeded to ancient Korean rock astronomical tradition.

      • KCI등재

        『승정원일기』의 인조-효종대 역사기상일지적 성격과 기상기록 특성 고찰

        김일권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동국사학 Vol.61 No.-

        본 연구는 세계기록유산인 조선후기 『승정원일기』의 역사기상학적 기록가치 를 드러내는 일환으로 『인조일기』와 『효종일기』를 중심으로 그 기상기록 방식과 현황을 검토하고 인조원년에서 효종10년 동안(1623~1659)의 기상기록 특성을 분 석하였다. 기상기록은 날짜칸과 함께 제시된 <표제기상부>와 일기 본론의 <본면 기상부>로 나누어 접근되었고, 전자는 1차 기상요소인 청음우설풍(晴陰雨雪風)의 5대 기상현상 중심으로 기록하였고, 후자는 기상실체성이 강한 비와 눈, 안개와 서리, 우뢰와 우박, 햇무리와 달무리 등의 2차 기상요소에 대해 아침 낮 늦녘 저녁 밤 새벽 등의 구간별 시간대 관찰과 자축인의 12시진법 등으로 매우 구체적인 발 생시각과 지속시간을 관찰하여 기록한 특성을 보였다. <표제기상부>에서 가장 많이 기록된 기상으로 맑음과 흐림이 주목되었고, 맑 음은 인조대 연평균 286일간이고 효종대는 270일이어서 16일간 줄어든 변화를 보 였다. 이는 일조시간의 변화로 연결되는 면이어서 이 시기 기상변화와 흉작황 문 제에 일정한 기상사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라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강우일수를 분석하여 연평균 50일 이상의 다우년과 연평균 10일에 못미치는 과우년을 검출하 여 제시하였고, 특히 연속된 과우년은 당시 심각한 가뭄 상태를 초래하였을 것이 므로 이에 관련한 기양 기우제 기록이 더욱 빈번해지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본면기상부>에서 가장 많이 기록된 기상은 햇무리와 달무리 현상이었으며, 이를 집중 분석한 결과, 햇무리는 연평균 79일간, 달무리는 연평균 38일간 기록빈 도를 보였고, 각기 매월 7일씩과 3일씩 관찰된 결과였다. 두 무리의 연도별 분포도 는 매우 유사한 변동 곡률을 보이고 있어서 대응성이 강한 기상현상임이 확인되었 다. 계절별 분포로 본 결과, 둘다 봄철이 가장 높은 가운데, 햇무리는 봄>여름>가 을>겨울 순으로, 달무리는 봄>겨울>가을>여름 순의 발생빈도 특성을 보였다. 끝으로 서리 기록 63건을 추출하고 그 중 가을 첫서리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 과, 첫서리 시기가 9월 19일에서 10월 21일 사이의 33일간으로 변동하였으며, 10 월 서리에 비해 9월 서리 비율이 43% 비율이고, 그 첫서리 평균일자는 10월 3일경 으로 분석되었다. 그런데 『고종일기』를 통한 19세기 후반 고종대 44년간(1864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역사민속 물산지리지로서 『세종실록지리지』의 팔도 곡물 분포와 특성 연구

        김일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7 한국문화연구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spersion of grains throughout the eight provinces in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fact that natural environment and local products affects people’s life and culture. As analyzing local products, especially about grains through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世宗實錄地理志), this paper approached further understanding on staple grain of each province. As a result, grains mainly consumed were categorized as 3 kinds; rice, bean, and minor grains which includes several subclasses. Each province showed different diet of grains according to their natural background and richness. For example, bean was produced all over the province, while red bean and grean bean were not produced in Pyeongan and Hamgil province which is the northernmost province of the country. This shows the north limit line of these bean growth at that time. Besides, wheat was harvested at the entire province, while barley was grown only at the Gyeonggi, Hwanghae, Hamgil province. This result shows wheat was more common in the past, and implies the chinese character ‘麥[maek]’ meaning ‘barley’ nowadays might have referred to ‘wheat’ at that time, because wheat was named as 眞麥[Jinmaek]’ which means ‘real barley’. Because difference of the diet formed different food culture and people’s life, this research can help underst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of local food. 본 연구는 지리지에 대한 역사학과 생태학 및 민속학을 융복합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역사민속지리지 연구를 목표로 삼아, 그 방향성을 생태․물산․풍속이라는 키워드로 열고자 하였다. 본고는 향후 더욱 전면적이고 치밀한 물산지리지를 구축하는 일환으로 토산식물의 서술적 범주와 자료적 범주에 주목하여 그 개황을 살폈고, 그중에 8도 「물산총론편」 수록 곡물류 물산의 분포와 특성 규명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8도별 <전부>조의 기록을 분석하여, 주식물인 곡물의 종류와 분포 상황을 검토하였고, 이를 미곡류와 두맥류 및 잡곡류로 갈라서 고찰하였으며, 조미물과 직물류에 대한 수록상황도 아울러 살폈다. 그 결과 당시 미곡물 종류가 볍쌀(稻米), 찹쌀(糯米), 좁쌀(粟米), 핍쌀(稷米)의 4종류가 추출되었으며, 그 다음 두곡류로 콩은 8도 공히 생산되었고, 팥과 녹두가 평안 및 함길도에는 수록되지 않아 북방 작물한계선을 시사하였다. 그 다음 맥곡류로 밀이 전국 8도에 걸쳐 재배된 반면에, 보리는 경기, 황해, 함길의 3도에만 채록되는 드문 상황을 보였다. 이런 때문에 당시로서 맥(麥)이란 글자가 근대처럼 보리로 인식되기 보다는 밀로 인식되는 면이 강하였을 측면이 상정되며, 이에 우리말 이두식 한자어 진맥(眞麥)은 ‘밀’이야말로 참 맥(麥)이라는 인식의 결과물이라 하게 된다. 나아가 이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도별 주식 곡물 및 종류별 소비 형태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세종지리지』가 역사민속 물산지리지로서 지니는 성격을 드러내는데 일정한 의의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고구려 5세기 금석문에 나타난 干支曆日 자료와 曆法 연구

        김일권 동북아역사재단 201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6

        This article treats the Koguryo calendar system. It is difficult to find detailed information of that calendar due to the limited historic data. Further, only a few sexagenary cycle records from Koguryo are handed down through Samguksagi , the oldest Korean history. I examined not only Koguryo records, but also fifth century epigraphic data from Koguryo. In particular, I found that an intercalary month record first appeared during the reign of King Jangsu(412~491) in the Koguryo Annals in Samguksagi . That occurred in 488, during the reign of King Jangsu. This record of an intercalary month means that Koguryo used the lunar-solar calendar system at least around the fifth century. That calendar may be the Xuanshi Calendar(412~522), which the Northern Wei dynasty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Koguryo’s position for the intercalary month differs from that in Chinese documents from the same period. Koguryo used an eighth month intercalary month, but Northern Wei used the ninth month intercalary month. Owing to this difference, I believe Koguryo established a calendar system that differed from the Chinese calendar. To analyze several fifth century epigraphic data, including the Deukheung-ri mural tomb, I knew that it was possible for Koguryo to use its own calendar, which differed from the Chinese Taeshi Calendar used from 265 to 420 in Eastern Jin. As a result, I raise a new hypothesis of the existence of a Koguryo calendar. I have named this the Yongnak calendar of the Koguryo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