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lumimium Titanate-Mullite 복합체: Part1, 열적 내구성
김익진,강원호,고영신,Kim, Ik-Jin,Gang, Won-Ho,Go, Yeong-Sin 한국재료학회 1993 한국재료학회지 Vol.3 No.6
The composites in the system aluminium titanate-mullite were synthesized by stepwise alkoxide hydrolysis of tetraethylorthosilicate, Si(OCLH5), and titaniumtetraethoxide, $Ti(OC_{2}H_{5})_4$ in $Al_{2}O_{3}$ ethanolic colloidal solution. All particles produced by sol-gel-process were amorphous, monodispesed and had a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Sintered bodies at $1600 ^{\circ}C$ for 2h were subjected to prolonged durability tests-on the one hand annealing at the critical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1100 ^{\circ}C$ for lOOh and on the other cyclic thermal shock between 750 and $1400 ^{\circ}C$ for 100h. The best thermal durability was achieved by a composition containing 70 and 80 vol% aluminium titanate, which showed little change in microstructure and thermal expansion cycles during the tests. The microstructural degradation of samples studi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and dilatometry, was presented here.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edict the service life of aluminium titanate-mullite ceramics formed by this processing route.
Aluminium Aluminium Titanate-Mullite 복합체: Part2. 열충격성
김익진,강원호,고영신,Kim, Ik-Jin,Gang, Won-Ho,Go, Yeong-Sin 한국재료학회 1994 한국재료학회지 Vol.4 No.2
Aluminium titanate-mullite composites with varying chemical compositions were prepared by the stepwise hydrolysis of $Si(OC_2H_5)_4$, and $Ti(OC_2H_5)_4$in $AI_2O_3$ ethanolic colloidal dispersion. Sintered bodies having 20-50~01% mullite at $1600^{\circ}C$ for 2h have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n aluminium titanate with moderately high strength and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is was obtained by inhibiting grain site of aluminium titanate with mullite and microcracks. Those with 80-70vol % aluminium titanate have excellent thermal shock resistance and has room-temperature strengths of 31-45MPa. The relation between thermal shock resistance and strength, Young's modulus, sound velocity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was discussed.
김익진(Kim, Ik-J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5
이번 연구는 문학의 치료적 기제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그 다양한 적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것이다. 문학적 행위가 치유적 가치를 갖기 위해서는 비판 정신, 즉 ‘생각하는 힘’이 개입되어야 한다. 생각하는 힘은 데리다가 강조하는 파르마콘의 양면성에 대한 인식이 균형적으로 유지될 때 발휘될 수 있다. 문학을 통한 치유의 근원에는 생각에 대해 생각하기, 즉 철학하기라는 개념이 있다. 철학과 문학은 인간의 아픔을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논리의 로고스와 웅변의 파토스를 통해 서로 만나게 된다. 치료적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문학의 작동 양태는 서양의학에서 치료를 정의하는 관점에 따라 나뉘는 카테고리의 틀 속에 대입될 수 있다. 한 카테고리는 서양의학의 주된 치료방법인 이종요법이며 다른 하나는 이 이종요법과 대비되는 개념의 ‘동종요법’이고 또 다른 하나는 현대의학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대증對症요법’이다. 문학의 치유적 기능을 이야기할 때 치유는 질병으로부터의 치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필연적으로 마주쳐야 하는 실존 환경에서 지극히 인간적인 문제들로 인해 야기되는 일상의 고통으로부터의 치유를 의미한다. 이 고통들의 원인은 대부분의 경우 근본적으로 제거될 수가 없다. 따라서 문학의 치유적 활용은 원인요법적 치료 철학보다는 대증요법적 치료 철학을 그 행동의 근거로 삼을 수밖에 없다. 쓰기나 읽기 혹은 분석하기 등의 다양한 문학행위는 병인제거를 위한 치료guerison의 도구라기보다는 돌봄soin의 도구다. 치료에 있어 문학의 역할은 우리 아픈 마음의 병인을 제거해주는 일보다는 그 병이 주는 고통을 극복할 수 있도록 혹은 그 병과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사고와 표현 그리고 감응의 능력, 즉 소통의 능력을 키워주는 일이다. 문학과 철학을 통해 소통의 능력을 키우는 일은 결국 마음의 병을 일으키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면역 및 저항능력을 키우는 행위가 되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we observe the mechanism of the humanities therapy to find the diverse possibilities of its application. If we want the therapeutic value of the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power of thoughts’, in other words to philosophize, and to seize what means the pharmakon in the text of Derida. The good understanding of this Greek word will allow us to seize substance and the attribute of the mechanism of the therapy by the literature. On the therapeutic plan, the modalities of the therapeutic application of the literature correspond to those of the medicine : allopathy, homoeopathy and symptomatic treatment, causal treatment. Among them, the humanities therapy by the literature takes the shape of symptomatic treatment. It’s because the literary therapy does not mean forcing the cure, but the care. The causes of the pain after which the literature has to look are the passions which cannot be removed from our existence. It is the reason why philosophy of the symptomatic treatment becomes the model of the humnities therapy by the literature. Therapy by the literature or the philosophy is an action to look after the capacity to think and to express thus to communicate which immunizes people against the suffering of the disease of modern time.
특집논문 : 감성, 공동체, 치유 ; 인문치료의 구성요소로서의 감성
김익진 ( Ik Jin Ki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49
21세기 학문적 정체성의 위협을 받고 있는 현대 심리학은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변화의 근간에는 인간의 전체성(wholeness)과 복잡성(complexity)에 대한 인식이 깔려있다. 인간이 의식이나 사고, 행동, 인식 등의 개별 요소로 분해될 수 없는 존재임을 인정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모습은 인간학이어야 하는 심리학이 인문학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며 사회과학을 거쳐 자연과학의 범주로 분류될 지경에 이른 시점에서, 어찌 보면 제자리를 찾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의 중심에는 “행복의 과학적 연구”를 모토로 내세우는 긍정심리학이 있다. 그러나 사실 따지고 보면 심리학의 최신 흐름인 긍정심리학이 연구의 중심에 놓고 있는 “행복”은 본래인문학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다. 행복은 이성적 사고와 수리적 계산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느낌이다. 그 느낌을 가장 잘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우리의 머리가 아니라 가슴이다. 정서(情緖)는 논리가 아닌 서정(抒情)으로 표현될 때 그 실체가 온전하게 드러날 수 있다. 수치로 증명할 수 없는 진실, 논리로 증명할 수 없는 진실은 분명 존재한다. 그러나 감성적 접근이 배제된 상태에서는 이런 진실을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재 강원대학교 인문한국연구팀에서 진행하고 있는 감성지수 및 공감지수의 개발과 주관적 행복감의 증진방안 연구 등은 이러한 의식이 바탕이 되어 출발한 작업들이다. 특히 감성적 접근을 통한인간의 이해는 우리가 애초에 치료방법론의 골격으로 삼았던 소통의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It is here a question of the Gamsung as constituent element of Humanities therapy. We develope the theme in three stages. At first we verify the daily usage of the term comparing with that of reason to seize its connotation. Then we draw up the list of his usage in the field of psychology. Finally from the conception established after these researches we try to answer such problems: which meaning “Gamsung” can have in Humanities Therapy? And which role he can play in Humanities Therapy? The current psychology risked to lose its identity as human sciences tries hard to be renewed. And this movement of renovation signify the appearance of the consciousness which reports on the wholeness and the complexity of human being. It means that the man must be understood in global not by the elements separated as unconsciousness, behavior, cognition, etc.. And in the center of this movement locate the positive psychology of which the first concern is the happiness. But the happiness is always the final goal of all studies of the human sciences. The happiness is not to be understood but to be felt. And it can be better expressed lyrically that logically. There is a beauty or the truth of which we are incapable to prove the existence without resorting to the emotion. Thus it is almost indispensible to integrate the emotion into the Humanities therapy as constituent element.
김익진(Kim Ik-J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1
중독에 이르는 사람들에게는 자신들이 중독에 이르게 되는 필연적 상황을 이끌어내는 나름의 논리가 있다. 이러한 논리는 사고적인 논리, 즉 객관적인 논리가 아니라 소위 “정서적인 논리”다. 정서적인 논리란 주관적인 논리를 말한다. 중독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독이 일으키는 성격변화를 이해해야한다. 모든 사람들에게는 다수의 내면자아가 있다. 알코올중독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중독증 환자들은 이 내면자아 중에서 순간적 쾌락이나 행복감을 추구하는 자아의 지배를 받는다. 그 충동적 자아는 자기 정당화를 위해 소위 정서적 논리를 끊임없이 만들어낸다. 그 논리는 반이성적이며, 반사회적이고, 비도덕적이며, 무책임할 때가 많다. 그리고 이 충동적 자아의 논리의 끝은 자기 파괴로 이어진다. 인문치료의 관점에서 볼 때 알코올중독 치료는 이 주관적이며 정서적 논리를, 객관적이고 사고적인 논리의 체계로 바꾸어 놓는 작업이다. 몸에 염증이 있으면 소염제를 투여하여 염증을 제거해야한다는 치료적 원칙은 상식이지만 일반인이 염증의 원인이 무엇이며 또 종류는 어떤 것인가 그리고 그 염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소염제는 무엇인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 역할은 내과의사의 역할이다. 건전한 사고와 원활한 소통이 인간의 정신건강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사실을 인식하는 일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사고와 소통의 부재가 어떤 원인에서 오는지 그리고 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인지적 사고를 유도해야하는지를 판단하는 일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 역할은 생각하기와 표현하기를 연구하는 학문인 인문학을 기반으로 탄생한 인문치료의 몫이다. The alcoholism is a chronic disease describing an individual's addiction in the ethanol. The abstinence is often lauded to stop the evolution of the dependence and return to a ‘normal’ life. The disease being chronic, we do not speak about ‘cure’ but rather about ‘restoring’. And for this restoring, it is obvious that their own will to recover plays the most important part. Nevertheless the only will would not assure the success without the help of people around them and the professionals who encourage and drive them to arrive to a desirable state. Humanities therapy is a cognitive therapy to develop a judgment of the individuals more or less alienated on themselves or their own situations. Thus, we have an axis towards which the therapeutic means revolve. It is the improvement of the capacity of communication. The incapacity of the communication engenders the degradation of the cognitive functions. For people suffering from the alcoholis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r to restore the capacity of communication so that they resist to their impulsiveness. Because the impulsiveness which results from the neglect of the autocontrol provoke emotional logics which disturb to share with others what they feel. On the field, at first, we make them laugh, cry, listen and speak to learn how to feel and how to express themselves. We try all the means possible to draw their attention and willingness. In the following stage, we make them philosophize. This means that we make them know how to think about their own situation, and then make create a context of their life, which will allow to live positive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rational logic.
김익진(Kim, Ik-J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자활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치료과정에서 개인 면담이나 집단 상담을 통해 우리는 이들을 무기력하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부정적인 자아개념이라는 점에 주목할 수 있었다. 우리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기로 결정하였고 자활참여자 500여 명을 대상으로 2개월여에 걸쳐 자아정체성 정도를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더불어 자활참여자들의 마음치유를 위해 과연 인문학적 방법이 유효할 것인가를 예측하기 위해 인문학적 접근의 가능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도 첨가하였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 이들의 자존감은 예상대로 낮았으나 인문학의 활용에 대한 가능성은 기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2000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자활사업이 처한 한계가 무엇이며 또 인문학적 차원에서 그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자아정체성 설문조사를 통해 발견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것은 자활대상자들이 자활사업 참여기간의 길고 짧음과 관련 없이 자아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자활대상자들에게도 가장 필요한 것은 삶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긍정적 시각이다. 자활대상자들을 무엇을 해주어야 할 사람들로 설정해온 지금까지의 자활개념은 이제 보다 적극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자활대상자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인가, 무엇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인가?’를 알아내고 이를 적극적으로 표출하게 유도하여 근본적인 자기변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맞춤형 인문학 교육과 인문학을 기초로 한 상담을 포함하는 인문치료는 이러한 지원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얼 쇼리스의 말대로 “빈민은 열악한 환경과 불운이라는 포위망에 둘러싸인 사람들이다. 포위망에 갇히면 할 수 있는 일이란 생존을 위한 즉각적 대응밖에 없다. 하지만 즉각적 대응 대신 반성적이고 성찰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면 삶이 달라”질 것을 우리는 믿는다. With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workfare" in the policy of self-sufficiency about ten years ago, diverse programs were exercis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institutions. And since a few years the interventions of humanities for these programs are denmanded. Because we admitted that humanities play a important role to liven up the will of concerned people. By exercising the programs of Humanities Therapy for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s of the regional centers of self-sufficiency, we noticed that one of the elements most negatifs which humper the people to recover is lack of self-concept. Thus, we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s of self-sufficiency. It was on the self-identity, one of the preliminary elements which compose self-concept with other elements like the self-etimation. And we added 3 questions to know in which degree it is necessary for them the humanities therapy.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ir status of self-identity is low and it is necessary of the approach humanitude for them.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of the programs exert no influence on the to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It says that the current programs of self-sufficiency which put the focus in the financial and technical plan must be completed by humanities that allow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s to have a vision for their own life. We considered the participants as people for whom we have to make something. We have to consider them as individuals who want to make something and can make something. Thus the role of humanities therapy in this domain is to promote their self-estimation so that they can get out of their difficulty.
김익진(Kim Ik-J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5
심리치료의 주요이론들이 지니고 있는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인간에 대한 철학, 즉 고유의 인간관을 바탕에 깔고 있다. 둘째는 인간의 성격 및 발달에 대한 설명이 체계적이다. 셋째는 확고한 병인론이 존재한다. 넷째는 정신병리 현상의 종류와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 구축되어 있다. 다섯째로 정신병리의 치료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기법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과정을 자체 평가하여 문제점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검증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인문치료의 이른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치료현장에서의 경험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는 심리학의 대 이론들이 지니고 있는 논리적 타당성을 인정하며 그 구조의 틀을 응용하였다. 인문치료에서 보는 인간은 소통의 리비도를 지닌 존재다. 현대사회에서의 인간의 가장 큰 문제는 소외의 문제인데 소외된 존재가 생겨나는 이유는 소통의 부재 때문이며 인문치료행위는 소통의 문제를 완화시켜 사회의 제반 소외현상을 개선해 나가는 일이다. 우리는 소통이란 인지, 공감, 표현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단계별로 혹은 동시에 작동하는 행위로 본다. 인문치료사의 역할은 이 소통의 모델에 기초하여 효율적인 소통 방법을 알려주고 소통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일이며 동시에 소통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자아 및 환경에 대한 인식의 부족분을 채워줄 수 있는 지식 습득을 유도하는 일이다. 이러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우리는 인문 예술적 방법론을 활용한다. The big theories in the field of the psychotherapy have the common features at the level of their structure. In the first place, they have their own vision on the human being. Secondly,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the man, their theories are systematic. Thirdly they contain the solid etiologies. Fourthly the dignostic systems are well elaborated. Fifthly the therapeutic steps are effectively ordered. Finally they arm themselves with the system of auto-estimation. Humanities Therapy adapts this common structure of the big theories to establish its own theory, hoping that the logic of the robust structure of these theories give us the same persuasive tone. The man communicates. He has a libido of communication, one of the strongest desires of man. Everyone knows that the biggest problems we meet daily in our society is the alienation provoked by the absence of the communication. Humanities Therapy has to playa curative and preventive role against this kind of disease or malaise. Humanities Therapy considers the communication as an action consisted essentially of three elements: cognition, empathy, and expression. Thus, the therapist of the Humanities Therapy has to inform or teach, if necessary, the means of the communication by the force of the humanistic and artistic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