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내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의 EMCs 및 유출 부하량 산정

        김이형(Kim Lee-Hyung),고석오(Ko Seok-Oh),이병식(Lee Byung-Sik),성길(Kim Sunggil)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6 No.2B

        최근 들어 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과 함께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오염총량이란 하천수질의 개선을 위하여 도입하였으며 유역이란 개념을 도입하였다. 하천수계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부하량은 점오염원 부하량, 비점오염 부하량 및 안전율의 합으로 산정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역 및 강우 특성에 기인하여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특수성 때문에 안전율을 보통 10% 정도로 두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는데, 모니터링을 통한 기초자료의 부족이 가장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비점오염원 중에서 포장율이 높아 오염물질의 유출이 높은 고속도로 지역에서의 오염물질 유출 부하 원단위 산정을 위하여 가장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오염물질의 EMC 및 유출부하량 산정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속도로의 경우, 높은 포장율과 많은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하여 건조기간 동안 오염물질들의 축적이 높은 지역이며, 강우시 집중적으로 인근 수계로 유입되기에 비점오염원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토지이용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비점오염원에 관한 기초 연구가 미흡하여 고속도로 등을 포함한 각종 토지이용에서의 비점오염원에 관한 기초 자료의 부족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 5개의 고속도로 지점에서 모니터링이 수행되었으며, 각 지점별 자동 유량 및 강우량 측정계를 설치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니터링 자료는 고속도로에서의 비점오염물질 EMC 및 부하량 산정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EMC에 관한 95% 신뢰구간을 살펴보면, TSS의 경우 45.52-125.76 ㎎/ℓ, COD는 52.04-95.48 ㎎/ℓ TN은 1.77-4.48 ㎎/ℓ 그리고 TP의 경우 0.29-0.54 ㎎/ℓ의 범위로 나타났다. 부하량에 관한 95% 확신범위는 TSS가 712.7-2,418.4 ㎎/㎡의 범위를 보였으며, COD의 경우 684.1-1,779.6 ㎎/㎡의 범위로 나타났다. The nonpoint source control is based on TPLMS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program. Recent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has programed TPLMS for 4 major large river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rivers by controling the total pollutant loadings from the watershed area. Usually the urbanization is the main pollutant sources, particularly for nonpoint pollutants, because of high imperviousness and high pollutant mass emissions. The storm water runoff from urban areas is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such as sediments, metals and toxic chemicals due to human and vehicle activities. Of the various land uses, the highways are highly polluted landuses because of high pollutant accumulation rate by vehicle activities during dry periods. Therefore, this research is achieved to provide pollutant EMCs (Event Mean Concentrations) and mass loadings washed-off from highways during rainfall periods. Five monitoring locations were equipped with an automatic rainfall gage and an flow me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EMC ranges for 95% confidence intervals in highway land use are 45.52-125.76 ㎎/ℓ for TSS, 52.04-95.48 ㎎/ℓ for COD, 1.77-4.48 ㎎/ℓ for TN, 0.29-0.54 ㎎/ℓ for TP. The ranges of washed- off mass loading are 712.7-2,418.4 ㎎/㎡ for TSS and 684.1-1,779.6 ㎎/㎡ for COD.

      • KCI등재후보

        강우시 철로 역사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경향 및 특성

        김이형(Lee-Hyung Kim),어성욱(Sunguk Oa),이선하(Seonha Lee) 한국철도학회 2005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8 No.1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re designing the TMDL(Total Maximum daily Load) program for 4 major large rivers to improve water quality from possible pollutants. It can be successfully performed as controling of nonpoint pollutants from watershed area. Railway stations are stormwater intensive land use because of high imperviousness and high pollutant mass emissions from various activities. Especially the metal pollutants from the railway station were recognized as an important pollutants because of its toxicities.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washed-off pollutants, the monitoring were performed on a railway station during storms. Pollutant concentrations are exponentially decreasing during the storm duration.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pollutant concentrations in an hour storm duration ranges from 61.6 to 115.4mg/L for TSS(mean=88.50mg/L), 103.8-244.1mg/L for COD(mean=174 mg/L) and 7.68-17.32mg/L for Oil & Grease(mean=12.5mg/L). The ranges of metals were 39.2-84.0ug/L for total Cu(mean=61.6ug/L), 14.0-25.8ug/L for total Pb(mean=19.9ug/L) and 182.2-376.1ug/L for total Zn(mean=279.2ug/L). The first flush criteria for best management practices can be suggested to 50% pollutant mass emissions during 30% of the total flow.

      • 통합물관리와 비점오염원관리 제도개선 방안

        김이형 ( Lee Hyung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2018년도 기준 4대강 유입부하량의 기여율을 살펴보면 BOD의 약 78.1%, TN의 약 58.7%, TP의 약 75.3%가 비점오염원에서 기인하고 있다. 유역 토지이용의 고도화(도시화, 산업화, 가축분뇨 자원화, 농업 경작변화 등)는 년도별 비점오염 배출부하량(kg/d)을 증가시키면서 비점오염기여율을 더욱 증가시키고 있다. 2020년 기준 한국의 도시화율은 81.4%에 달하고 있으며, 전국 광역시의 평균 불투 수면적률은 30%를 넘었다. 또한 2018년 기준 하수도 보급률은 93.9%이며 고도처리인구 보급률은 90.5%에 도달하였으며 가축분뇨 자원화율은 70.5%에 도달하였기에 통합유역관리 기반 물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 동안 비점오염원관리는 1990년 [환경보전법]에서 수질보전관리조항이 분리되어 [수질환경보전법]이 제정하면서 수질오염총량제 도입으로 시작되었다. 2006년 [수질환경보전법(현 물환경보전법)] 제53조 1항에 ‘개발사업 및 사업장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신고제도’가 도입되고, 제54조에 ‘비점오염원관리지역 지정제도’가 도입되면서 본격적 비점오염관리시대가 시작되었다. 비점오염원 관리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지만 수질오염총량제의 관리대상 물질이 BOD(향후 TOC)와 TP 위주로 운영되면서 어류폐사, 녹조대발생, 탁수유발, 수생태 훼손 등을 유발하는 다양한 수질오염물질(중금속, 탁수유발물질, 유해화학물질, 녹조유발물질, 강우폐기물 등)의 관리에 한계를 나타냈다. 특히 유역의 다양한 토지이용에서 기인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의무조항 없이 구조적 시설만으로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환경부의 비점오염원 관련 제도와 정책을 평가하고 향후 통합물관리 시대 비횽효율적 물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비점오염원관리 정책 및 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의 경우, 불투 수면적률을 저감, 그린인프라 및 LID 도입, 인공계 및 자연계 물순환을 연계 등의 다양한 제도적 및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농촌은 축산과 연계되는 농업지역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며, 기저유출수 관리를 위한 그린-블루 네트워크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환경정책과 주민참여 환경관리 방안 도입이 필요하다.

      • 통합물관리와 비점오염원관리 제도개선 방안

        김이형 ( Lee Hyung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2018년도 기준 4대강 유입부하량의 기여율을 살펴보면 BOD의 약 78.1%, TN의 약 58.7%, TP의 약 75.3%가 비점오염원에서 기인하고 있다. 유역 토지이용의 고도화(도시화, 산업화, 가축분뇨 자원화, 농업 경작변화 등)는 년도별 비점오염 배출부하량(kg/d)을 증가시키면서 비점오염기여율을 더욱 증가시키고 있다. 2020년 기준 한국의 도시화율은 81.4%에 달하고 있으며, 전국 광역시의 평균 불투 수면적률은 30%를 넘었다. 또한 2018년 기준 하수도 보급률은 93.9%이며 고도처리인구 보급률은 90.5%에 도달하였으며 가축분뇨 자원화율은 70.5%에 도달하였기에 통합유역관리 기반 물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 동안 비점오염원관리는 1990년 [환경보전법]에서 수질보전관리조항이 분리되어 [수질환경보전법]이 제정하면서 수질오염총량제 도입으로 시작되었다. 2006년 [수질환경보전법(현 물환경보전법)] 제53조 1항에 ‘개발사업 및 사업장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신고제도’가 도입되고, 제54조에 ‘비점오염원관리지역 지정제도’가 도입되면서 본격적 비점오염관리시대가 시작되었다. 비점오염원 관리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로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지만 수질오염총량제의 관리대상 물질이 BOD(향후 TOC)와 TP 위주로 운영되면서 어류폐사, 녹조대발생, 탁수유발, 수생태 훼손 등을 유발하는 다양한 수질오염물질(중금속, 탁수유발물질, 유해화학물질, 녹조유발물질, 강우폐기물 등)의 관리에 한계를 나타냈다. 특히 유역의 다양한 토지이용에서 기인하는 비점오염물질을 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의무조항 없이 구조적 시설만으로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환경부의 비점오염원 관련 제도와 정책을 평가하고 향후 통합물관리 시대 비횽효율적 물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비점오염원관리 정책 및 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의 경우, 불투 수면적률을 저감, 그린인프라 및 LID 도입, 인공계 및 자연계 물순환을 연계 등의 다양한 제도적 및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다. 농촌은 축산과 연계되는 농업지역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며, 기저유출수 관리를 위한 그린-블루 네트워크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환경정책과 주민참여 환경관리 방안 도입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