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의 모색: 인천시 강화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이재 ( Eje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체험활동과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교육프로그램의 특성과 제약요인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개성과 흥미를 살리고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자유학기제의 성공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과 지역사회의 연계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였지만, 준비가 부족한 학교 현장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다. 인천시 강화군을 중심으로 진행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범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미래마을 프로젝트`는 자유학기제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지역의 특수성을 충실히 반영하고 지역 공동체와의 협력하는 과정이 생략된 채 교육청 주도로 단기적 성과위주의 프로그램이 조급하게 시행되고 일회성 행사가 반복되다 보면 지역주민들과 평범한 학생들의 소외감은 커질수밖에 없다. 특히 학교 밖 교육활동에 관해 자신감과 전문성이 부족한 교사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형식적으로 운영하게 되면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적 의미는 축소·왜곡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직된 관료주의에 부딪쳐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잠재력이 훼손되기도 한다. 학교를 넘어 지역사회와 자유롭게 소통하는 문화, 학습자를 중심에 놓고 유연하게 경계를 `넘나들며 배우는` 학습 공동체의 형성, 교육·학교·성공의 의미에 대한 깊은 성찰과 새로운 관점의 도입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촉진하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성공적 실천을 위한 핵심 과제가 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the ways to empower individual learners through creative fieldwork by analyzing the condition of the successful educational program to foster or learning local commun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ree-semester education system,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links between creative fieldwork and local communities. To tackle the problems caused by lack of preparation for creative fieldwork in schools, `the local community-linked model` was suggested by experts. Creative fieldwork program in Gangwha such as `future village` project has been touted as a successful case. However, the educational supervisors seeking for a short-term success without the long-term vision seem to make the difficult situation more complex. Teachers lacking expertise and passion for creative fieldwork seem to view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utdoor learning program as useless tools or even big burdens.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ich are sensitive to the political agenda can prevent young learners and local communities from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s through creative fieldwork. Active interactions with local communities, critical reflections on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and alternative ideas to surpass the conventional boundaries of school, such as `learning to leave` concept, can help to fulfill its diverse potentials.

      • KCI등재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홀대 현상과 원인 분석 -국가주도 사회과 교육과정의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이재 ( Eje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9 No.2

        아세안은 중국에 이어 한국에게 가장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부상했고 한국과 동남아 간 인적·문화적 교류도 급증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신남방정책으로 한국 외교에서 동남아의 위상이 주변 4강국 수준으로 제고되었지만, 한국 사회에서 동남아에 대한 무시와 홀대 현상은 여전하다.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 국가 교육과정까지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동남아 관련 내용 비중과 변화 추이를 고찰하고, 동남아 홀대 현상의 원인을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역사 속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 요목기에서 1차 교육과정기 사이 출판된 한국 중학교 교과서가 한국 교육사상 동남아 내용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사회과 교육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인 교수요목기 교과서에서는 동남아의 인문·자연지리적 요소를 균형있게 다루며 개별 국가의 특성도 충실하게 기술하였다. 그러나 1차 교육과정 이후 정부 주도로 사회과 교육의 기계적 통합 논리가 강화되고 서구중심적인 교육과정이 본격화되면서 중학교 사회 교과서 속 동남아 비중은 계속 축소되고 동남아에 대한 고정관념도 강화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사회과 세계지리 영역의 메타지리 체계가 변화하고 부티크 다문화주의가 유행하는 가운데 한국 중학교 교과서에서 동남아의 비중은 여전히 낮고 편견은 더 심해지고 있어 국가 교육과정의 대대적 혁신이 시급하다. ASEAN (Associations of Southeast Asian Nations) has emerged recently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conomic partners of Korea with a sharp increase of person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 The NSP (New Southern Policy), the signature foreign policy initiative launched by Korean President Moon Jae-in, has been supposed to open a new chapter in relations with ASEAN since 2017. However many Koreans still seem to neglect Southeast Asia and expose prejudice on Southeast Asians. Analysis of contents and changing status of Southeast Asia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n Korea since 1946. The findings suggest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published between 1946 and 1st National Curriculum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outheast Asian cont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nations with balanced approaches of human and physical geography. However, Southeast Asia has been marginalized under the euro-centric National curriculum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eduction controll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percentage of Southeast Asia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has been diminished since the 1st National Curriculum, while stereotypes on Southeast Asia has become stronger. Boutique multiculturalism seems to make the bad situation worse under the new meta-geographical framework introduced in the 2007 revision National Curriculum. Extensive innov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made immediately to correct deeply-rooted prejudices on Southeast Asia in the Korean society and even educational world.

      • KCI등재

        한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교수요목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서술내용 분석

        김이재(Kim, Ej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2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한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를 고찰하였다. 한국 사회과 교과서의 세계지리 영역에서 동남아가 차지하는 비중의 변화 추이와 함께 그 원인과 배경을 살펴보고, 특히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관련 서술 내용과 동남아가 재현되는 방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대 한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중에서 교수요목기(1945년∼1954년) 교과서의 동남아 지역 비중이 가장 높았고, 동남아에 대한 설명도 비교적 충실했다. 이는 당시 지리교육이 인문지리 및 자연지리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고, 미국식 사회과 교육의 영향이 본격화되지 않았기에 가능한 방식이었다. 둘째, 1차 교육과정 이후 한국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동남아 관련 내용 비중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동남아에 대한 내용 서술도 부실해졌다. 또한 여전히 제국주의 시선에 갇힌 교과서는 동남아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시키고 급변하는 동남아의 현실을 파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여러 문제와 부작용을 낳고 있다. 셋째, 최근 정부 주도로 다문화 교육이 강조되며,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 화려한 축제나 음식을 통해 동남아를 소개하고 있으나, 오리엔탈리즘에 오염된 내용을 피상적인 관광객 접근법에 의해 제시함으로써 부티크 다문화주의에 그치는 한계를 지닌다. 동남아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넘어 동남아의 현실과 잠재력을 정확하게 포착하려면 지리적 상상력을 적용한 참신한 교육 소재와 콘텐츠 개발이 시급해 보인다. Since 1945, researchers have analyzed the changing contents of Southeast Asian textbooks, by focusing on Korean primary schools. The content analysis highlighted Southeast Asia as the biggest unit, with detailed descriptions in the syllabus during the 1945-1954 period. However, since the period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downsizing of geography under the influence of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on Korean schools, content related to Southeast Asia has decreased and has even been marginaliz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primary school textbooks. In addition, Southeast Asia has been stereotyped, mainly because of the euro-centric content structure embedd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inertia of textbook writers. Despite the recent introduction of interesting educational material such as Southeast Asian festivals and foodscape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migrants from Southeast Asia, the perspectives on Southeast Asia remain superficial and even distorted by Orientalism. The removal of prejudices against Southeast Asia and the cultivation of geographical imagination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ducational resources and creative content that show the true face of Southeast. Refashioning Southeast Asia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to overcome boutique multiculturalism is also long overdue.

      • KCI등재

        스페셜티 커피와 공정여행의 연계 -인도네시아 커피산업과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김이재 ( Eje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6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6 No.4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아시아 2위의 커피 생산국이다. 현재 인도네시아 커피 생산의 75% 이상이 수마트라에 집중되어 있으며, 자바·발리·셀레베스 등에서도 생산량이 늘고 있다.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는 커피의 높은 고용 창출효과와 다양한 부가가치에 주목해 지속가능한 커피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 중인데, 커피 산업의 전문화·다각화를 장려하기 위해 커피 가공식품의 국내 수입 관세를 대폭 인상해 인도네시아 국내 커피 가공시설 도입과 생산량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농림부는 미국·유럽 스페셜티 커피 협회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인도네시아 커피를 세계에 알리고 말레이시아·일본·한국에서 개최된 커피 홍보 이벤트에 참여하였다. 인도네시아 지방정부 역시 고급 스페셜티 커피의 생산량 및 수출액 증대, 커피 생산과 관광개발 및 연관 산업과의 연계, 커피 생산 및 가공 과정에서 국내외 자본의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 동남아 등 아시아의 중상류층 소비자를 중심으로 원두커피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커피밭 면적은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인도네시아의 커피관련 산업은 미래에 다양한 투자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높다. 아세안경제공동체의 핵심 국가인 인도네시아 커피 산업의 구조적 특성을 고찰하는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식·음료 산업의 현황과 정책 방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donesia is the 2<sup>nd</sup> largest coffee-producing country in Asia and the 4<sup>th</sup> in the world. Coffee was introduced to Java first as a lucrative cash crop in the 18<sup>th</sup> century by the Dutch East Indies Company and expanded into outer islands such as Celebes, New Guinea, Bali and Sumatra. Sumatr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ffee regions in Indonesia occupying more than 75% of national coffee production. Recently Indonesian government has introduced diverse coffee-related policies to increase the volume of coffee production and the employment rate in the agricultural secto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ffee industry. Ministry of Agriculture has hosted the coffee festival to promote indonesian coffee in Malaysia, Japan and Korea for its first time. Region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central government of Indonesia are keen on linking Indonesian specialty coffee promotion with fair travel to visit local coffee farms and caf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donesians try to attract the foreign capital to improve the facilities to produce and process coffee beans. Recently Indonesian government started to impose high import duty on coffee products to boost local coffee-processing industry. Indonesian coffee has a big potential as an industry with rapidly-increasing population in the age of ASEAN Economic Community. Indonesian coffee could be an attractive investment target for Korean companies which want to secure the high-quality coffee beans in the competitive global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